금리의 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변동금리채의 의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금리의 개념, 기능 및 효과
1. 금리의 개념
2. 금리의 기능과 효과
3. 금리의 종류
4. 금리상승과 환율변동

Ⅱ. 금리의 움직임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저축과 투자활동에 미치는 영향
2. 물가에 미치는 영향
3. 나라 사이의 자금흐름에 미치는 영향

Ⅲ. 금리의 결정과 조절
1. 금리결정 및 변동요인
2. 우리나라의 금리결정
3. 재할인금리 조정을 통한 금리조절
4.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금리조절

Ⅳ. 변동금리채의 의의와 현황
1. 의의
2. 변동금리채의 경제적 기능 및 기대효과
(1) 발행자 측면
(2) 투자자 측면
(3) 채권시장의 활성화 및 선진화
(4) 금리위험관리의 기초수단
3. 변동금리채의 현황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결정일의 금리가 적정금리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의 산술평균으로 기준금리를 정하는 것은 특정일의 금리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를 피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또한, 은행 prime rate, 재할인율 등과 같이 시장수급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금리가 기준금리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들 금리는 시장실세를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로는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특이한 발행조건을 가진 변동금리채로는(패널 D) 외화채권이 7회 발행되었으며, 사모채권이 25회 발행되었으며, 교환채권이 4회 발행되었다. 후순위채는 74회 발행되어 발행금액 기준 9.7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IMF 위기 이후 금융채 후순위채가 많이 발행되었다. 옵션을 포함한 변동금리채도 발행된 바 있는데, 풋옵션이 1회, 콜옵션이 4회, 금리상하한이 9회, 금리상한이 10회 발행되었으며, 이중 금리상하한 및 금리상한부 변동금리채는 예금보험공사가 발행한 채권이다.
(4) 변동금리채의 거래현황
<표 4> 월별 발행잔액과 거래량(99.9. ~ 2000.10.)
거래량(억원)
발행잔액(억원)
시장전체
변동금리채
비중(%)
시장 전체
변동금리채
비중(%)
1999년 9월
640,101
342
(0.05)
3,989,688
323,070
(8.10)
1999년 10월
1,443,953
3,526
(0.24)
4,034,389
323,470
(8.02)
1999년 11월
995,970
3,743
(0.38)
4,086,224
357,946
(8.76)
1999년 12월
868,775
6,986
(0.80)
4,119,418
385,015
(9.35)
2000년 1월
900,148
25,268
(2.81)
4,206,519
384,515
(9.14)
2000년 2월
1,141,525
23,343
(2.04)
4,270,193
384,515
(9.00)
2000년 3월
1,250,177
11,417
(0.91)
4,363,950
385,255
(8.83)
2000년 4월
1,170,451
11,159
(0.95)
4,414,820
388,305
(8.80)
2000년 5월
1,120,884
15,197
(1.36)
4,429,051
389,805
(8.80)
2000년 6월
1,626,435
24,095
(1.48)
4,484,587
393,895
(8.78)
2000년 7월
2,106,016
31,744
(1.51)
4,551,576
400,805
(8.81)
2000년 8월
1,674,147
29,280
(1.75)
4,622,934
407,205
(8.81)
2000년 9월
1,386,599
17,120
(1.23)
4,638,496
407,204
(8.78)
2000년 10월
2,181,140
17,651
(0.81)
4,670,288
409,504
(8.77)
자료원 : 한국증권전산
<표 4>에서는 99년 9월 ~ 2000년 10월 기간 중 변동금리채의 거래현황과 발행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99년 9월에 342억원에 불과하던 변동금리채의 거래량은 2000년에 들어서면서 1조원대를 상회하고 있어 변동금리채의 유통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채권시장 전체 대비 변동금리채의 거래비중도 99년 9월에는 0.05% 수준에 불과하였지만, 2000년에 들어서면서 1%를 상회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변동금리채의 발행잔액 비중과 비교하면, 발행잔액 비중은 8%를 상회하는 반면, 거래비중은 1%대이어서 변동금리채의 발행규모에 비해서 유통시장이 침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 론
일정시점에서 시장실세금리는 금융시장내 자금의 수급관계를 가장 정확하게 반영함으로써 자금에 대한 객관적 지표가 되므로 이를 내부금리 결정체계의 기본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며 규제금리가 시장의 실세금리와 다를 경우 금융시장내 자원배분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은행의 내부금리가 시장금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경우 왜곡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시장실세금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기준금리로 삼는 것이 중요하며 기준금리과 다른 내부금리의 적용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그 이유와 배경논리를 조직구성원에게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해를 구해야 할 것이다.
은행의 계정과목에 따라서는 시장의 실세금리가 그 특성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계정별로 일정한 조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조정은 가급적 최소화하는 것이 자금배분의 왜곡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모든 계정을 망라하는 평균비용 대신 개별계정 또는 거래의 특성을 반영하는 한계비용을 내부금리결정의 기준으로 삼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정시점에서 일정한 거래에 수반되는 자금의 가장 객관적인 값은 시장에서의 한계비용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한편 시장실세금리 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만기이므로 시장에 존재하는 만기수익률곡선을 내부금리 결정의 출발점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업점을 금리위험으로부터 면역시키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영업점의 시장/고객 밀착형 경영을 위해 대고객금리 및 여신에 관한 결정권을 대폭 위양하고 금리위험은 자금부에 집중시킴으로써 영업점을 금리위험으로부터 면역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 고 문 헌>
방근석, 최두열, 2000, 자산의 유동화, 한국경제연구원
안창모, 1996, 변동금리부 채권의 가격결정, 증권학회지, 제19집, pp. 229-249.
재경부 재정투융자과, 1998.1.16., 공공자금관리기금의 예탁금리 개편, 보도자료
최도성, 2000, 장기자본시장의 발전과 국채유통시장의 역할, 경영논집, 제34권 제2호, pp. 143-166.
최도성, 고봉찬, 정재만, 2000, 변동금리채의 가격결정: 차익기회 검증을 중심으로, 미발표논문, 서울대학교
Black, F., 1975, The Pricing of Commodity Contracts,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Vol. 3, 167-179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1.2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