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기본 조형 요소인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건축적 예시와 함께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의 기본 조형 요소인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건축적 예시와 함께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
2. 삼각형
3. 사각형
4. 오각형
5. 육각형
6. 건축물 예시 사진

본문내용

균형을 갖는 다는 것이다. 사각형과 같이 육각형끼리 결합될 때의 빈 공간을 아낌없이 사용할 수 있다. 꿀벌이 벌집의 형태를 육각형인 형태로 발전시키면서 벌집 무게에 30배나 되는 양의 꿀을 저장할 수 있는 경제적인 육각형의 형태를 취한 것이다. 꿀벌의 육각형은 힘을 균형적으로 배분하는 안정적인 구조이다. 정사각형의 경우도 공간의 활용도는 높지만 벌꿀의 형태를 가진다고 하면 재료가 많이 필요하며 공간이 좁아지고 특히 정사각형이 직각을 갖는 다는 특성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작용하기가 쉽다. 다른 재료로 쓰이는 특성에서도 골판지의 단면은 육각형의 조합으로 구성되어서 가볍지만 강도가 뛰어나다. 영국에서 국가복지사업으로 실시한 에덴 프로젝트[Eden Project]12)가 육각형을 이용한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콘월지역의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은 지역의 웅덩이를 생물권 실험실로 만들고자 한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이다. 에덴 프로젝트의 환경 복합물은 여러 가지 기후 조건을 수용할 수 있게 만들어져야했다. 한 돔에는 열대의 식물들이 다른 한 돔에는 온대의 식물들이 자라나는 환경을 가져야 했고 당연히 외부 환경으로부터 일조량 등 식물들이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 유지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했다. 즉 온도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도움이 필요했는데 이것을 육각형의 외피가 해결했다. 육각형이 지닌 구조적인 활용성으로 외피에 공기를 담아놓고 이로 인해 온도를 조절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는 건축물을 지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사실 건축이전에 도형은 유치원 때나 배우는 기초적인 것이라고 생각했다. 사물을 인식하는 세부적인 디테일 보다는 그냥 전체로써의 그림을 보았다. 비슷한 그림이라도 그 안에 담겨진 작은 차이가 분명 관찰자로 하여금 다른 느낌을 줄 것인데 그 원인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모르고 살았다. 조형을 공부하고 과제를 하면서 내가 느꼈던 감정들의 원인이 무엇인지 조금이나마 인식할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건축가 돼서 설계를 할 때에 도형들을 잘 다뤄서 의도에 따라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더 공부해야겠다고 느꼈다.
1) 만다라 [mandala / 인도]
2) 판테온 [Pantheon/ 고대 로마]
3) 구겐하임 미술관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
4) 피라미드 [pyramid/ 고대 이집트]
5) 파리 에펠탑 [Effel Tower]
6) Eastern Design Office- On the corner
7) 펜조일 빌딩(Pennzoil Place)
필립 존슨(Philip Cortelyou Johnson)
8) 자유의 여신상 [Statue of Liberty]
9) 유트레히트 대학 도서관 [Utrecht University Library]
윌 아레츠
10) 시그램 빌딩(Seagram Building)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
11) 펜타곤 [Pentagon]
12) 에덴 프로젝트 [Eden Project]
  • 가격1,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5.15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7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