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에 대한 이해 -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이론, 에릭슨의 정신분석 발달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Ronald Goldman의 종교적사고 발달단계, Fowler의 신앙6단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에 대한 이해 -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이론, 에릭슨의 정신분석 발달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Ronald Goldman의 종교적사고 발달단계, Fowler의 신앙6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유아교육에 영향을 준 인물들

2. 발달이론
a.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의 정신 분석이론
b. 에릭슨(Erik Erikson 1902-1994)의 정신분석 발달이론
c. 피아제(Jean Piaget 1896-1980)의 인지발달 이론
d. Ronald Goldman의 종교적사고 발달단계
e. Fowler의 신앙6단계

참고 자료

본문내용

다.
e. Fowler의 신앙6단계
신앙의 전 단계: 신뢰, 용기, 희망, 사랑의 씨앗이 미분화된 상태로 융합되어 신앙발달의 후기에 나타날 모든 것의 기저에 깔려있게 된다고 본다.
① 제1단계 직관적 투사적 신앙(intuitive projective faith, 4-8세); 의미 있는 타자인 부모의 가시적 신앙풍토, 모범, 행위의 모방에 의해서 형성된다. 무한한 환상과 상상의 시기이다. 사실과 환상이 아직 구분되지 않고 있다.
② 제2단계 신화적 문자적 신앙(mythic literal faith), 7, 8-11, 12세: 아직 초보적이지만 실재와 환상의 세계를 분간하기 시작한다. 하나님과 자신에 대한 이해와 실재의 의미를 문자적이며, 구체적인 이야기로 표현한다. 신앙공동체의 사람들의 설명에 합세, 귀속하는데 이 단계를 병합적 신앙단계(affilative faith stage)라고 한다.
③ 제3단계 종합적 관습적 신앙(synthetic conventional faith), 11-12세: 스스로 성찰하고, 사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문자적이거나 구체적인 신앙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대중적인 관습에 따라 삶을 해석하고 관계지우고 의미를 찾는다. 의미있는 타자의 기대와 판단에 성실히 응답하려고 한다. 아직 자신의 정체성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다. 따라서 어떤 관점이라는 것은 아주 무비판적이며, 무의식적으로 형성되어 지는 것이지 개인의 독자적인 종합은 아니다. 종합적 관습적 신앙에서는 종교적 문제를 제도적 권위에 의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④ 제4단계 개별적 반성적 신앙(individuative reflective faith), 17-18세: 개별적 반성적 단계이다. 관습적 종합에서 분리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인간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보다 개인적인 입장에서 선택하고, 다른 사람의 태도와 기대들과 자의식적인 구분화가 이루어지고 3단계처럼 단순하게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반성적으로 선택한다.
⑤ 제5단계 결합적 신앙(conjunctive faith): 중년기: 이단계가 갖는 복잡성으로 인하여 Fowler는 명확한 설명에 어려움을 느낀다. 4단계까지는 이것이나 저것으로 볼 수 있었다면 5단계에서는 문제의 양면성, 다면성을 동시에 보기 시작한 것이다. 타인과의 대화 모색, 불완전한 자신의 인식과 지식들을 통해 진리를 친히 확인한다. 3단계는 의존적, 4단계는 자기 의존적, 5단계는 상호 의존적이라고 할 수 있다.
⑥ 제6단계 보편화된 신앙(universalizing faith): 일상의 구체적인 언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단계로 자아 중심적인 참고를 중지하고 궁극적인 것이 대신 자리를 잡는다.
Abraham kuyper는 신앙은 성령의 특별한 사역에 의해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로 보았다. Fowler는 회심과 절대적인 관계를 갖는 성령의 사역을 인정하지 않고, 그의 발달과정 전체에서 성령의 개입은 불가능하게 보인다. Fowler는 발달심리단계이론을 신앙에 적용시켜 종합적으로 세분화하기 위하여 4-88세의 400명을 8년간 다양한 계층의 대상을 면담하여 보편타당성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Piaget의 인지발달의 좁은 견해를 확장시키며 Erikson의 심리사회적발달, 정서적발달을 종합하여 인간전체의 이해를 위하여 노력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경회, 문혁준 외 저, 보유학개론, 창지사 2013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공동체 2012
조성연, 이정희 외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문미옥 저, 교육과 보육을 위한 영유아 교육과정, 창지사 2013
김정원, 심은희 외 저, 보육학개론, 양서원 2013
이순형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2.0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