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관계(인간관계)의 정의, 형성, 친구관계(인간관계)의 부정적 요인,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특성,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일상적 사기,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인식 사례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친구관계(인간관계)의 정의, 형성, 친구관계(인간관계)의 부정적 요인,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특성,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일상적 사기,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인식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친구관계(인간관계)의 정의

Ⅲ. 친구관계(인간관계)의 형성

Ⅳ. 친구관계(인간관계)의 부정적 요인
1. 개인의 낮은 자존감과 인격의 문제
2. 타인에 대한 존중․함께 사는 훈련
3. 관계 맺음(우정)의 원리나 실제에 미숙한 경우
4. 또래 그룹 형성의 문제
5. 왕따

Ⅴ.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특성
1. 친구관계의 구조적 특성
2. 친구관계의 질적 특성

Ⅵ.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일상적 사기

Ⅶ. 노년기 친구관계(노인 인간관계)의 인식 사례
1. friend-family contrast
1) Blau(1973)
2) Riley와 Foner(1968)
3) Row(1970)와 Wood and Robertson(1978)
4) Felton과 Berry(1992)
2. The gendered context of friendship
1) Wright(1982)
2) Parker와 de Vries(1993)
3) Dickens와 Perlman(1981)
4) Gilligan(1982)
5) Birren(1992)
6) Reis(1986)
7) Daly(1978)
8) Wright(1982)
3. Life events and circumstances
1) family event
2) life event
3) life circumstance
4. The meaning and function of friendship

참고문헌

본문내용

lan, 1979). caregivig의 책임이 더 커지고 친구에의 접근에 제한적일지라도, 좀더 넓은 우정의 기반을 가진 여자에게 있어서, 은퇴는 덜 영향적이다(e.g., Brody, 1985).
이사 또한 친구 접촉과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나이가 들수록 접촉을 늘이기 위하여 친구에게 더 가까이 이사를 가거나 친구에 대한 접근과 접촉을 제한하고 친족에 더 가까이 이사한다(미래나 혹은 지금 당장의 caregiving service를 위하여, 자진해서 혹은 자식들이 권하여)(e.g., Johnson & Troll, 1994). 매일 매일의 혹은 잦은 접촉이 우정을 위하여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건은 아니다.
질병과 노쇠는 동년배간의 사교성(sociability)에 커다란 장해를 낳게 한다(Johnson, 1983). Johnson의 연구에 의하면, 입원하였다가 건강 향상과 기능적 지위(functional status)를 경험한 사람은 가족과의 접촉은 감소하고 친구와의 접촉이 늘어났고, 반대로 장애를 가진 채로 남아 있는 사람은 가족과의 접촉이 계속되고 친구와의 접촉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Johnson과 Troll(1994)은 또한 증가된 장애(disability)는 노노인들 간의 친구 관여(friend involvement)에 중요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불균형적인(imbalanced) 상호성과 장애에 대한 도구적 요구가 관계의 표현적 성격(expressive nature)을 흐리게 한다.
3) life circumstance
Johnson과 Troll(1994)는 노노인 샘플의 반 이상이 성인기 혹은 65세 이후에 친구관계를 형성하였고, 45%는 85세 이후에 새 친구를 사귀었다. 남자들의 경우, 이러한 친구들은 지역적 조직이나 단체(교회와 같은)에 기초하고 있고, 여자들의 경우는 이웃(neighborhood)에 기초하고 있다.
home setting은 65세 이상 노인에게 있어서 우정의 일차적 자원이고, 학교, 직업, 클럽 그리고 가족이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인 자원이다(de Vries et al., 1996)
몇몇 연구자들은 민족적 요소(ethnic factor)가 노인들의 우정의 성질과 범위, 그리고 비형식적 지지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e.g., de Veries et al., 1996; Penning & Chappell, 1987). 민족성은 문화, 유산(heritage), 민족성(peoplehood)의 주관적이고 공유된 감각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는 사회적 망의 성질(그리고 정의)에, 특수하게는 우정에 영향을 미친다.
Johnson과 Barer(1990)은 늙은 흑인(African American)이 친구와의 관계를 재정의 하는 것에 의해 가공의(fictive) 친족 관계(“play\"혹은 ”foster\" kin으로도 간주되는)를 만들어낸다고 말하고 있다.
프랑스인은 다른 그룹보다 더 적은 수의 친구를 갖고 그들의 친구와 더 가까이 살며 가장 잦은 접촉을 한다.
4. The meaning and function of friendship
친구간의 우정은 비귀속적(nonascribed)이고 사회적으로 규정되지 않고(Aries & Johnson, 1983), 친구관계의 참여자에 의해 재협상되며, 서로 좋아하는 것(mutual preference)에 기초하여 유지되는 질(quality) 때문에 주목 받을만하다 : friendship은 애정(affect)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역할 계속성(role continuity)을 유지하고 자아의 형성과 발달을 돕는다. : friendship은 자아 발달, 행동, 생각이 평가되는 적절한 비교 기준을 제공한다.
우정은 참가자의 자발적인 수용과 선택을 통해서 형성되고, 자아 존중감과 자아 인식을 고양한다(Adams & Blieszner, 1994).
친구는 또한 지지와 격려, 신뢰의 자원으로 작용한다.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개인은 자아 존중감, 자아 인식이 증가되고, 확실한 방법으로 행동하는 자유는 역할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가족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한계(boundary)를 규정한다. 이처럼, 친구 상호작용은 만족과 소속감 그리고 empowerment의 근원이다.
친구는 또한 애정적 영역에서 의미 있게 작용하고(Johnson, 1983), 그 구성원은 다른 방법으로 애정, 감사, 동정, 도움을 주고받으며, 레크리에이션을 함께 즐기고, 이야기하며 비밀을 들어주어서 근본적으로 우정의 내용과 조직의 사적 특성을 유지한다(Allan & Adams, 1989).
개인이 그들의 친구를 자기 존중, 인식, 정의, 발달의 척도로 보는 것과 같은 우정의 자기 정보 센터(self-clearing-house) 작용은 life course에 걸쳐서 그 힘을 유지하는 것 같다. 이러한 작용은 과도기에 더욱 작용하여 친구가 인생의 도전을 극복하도록 도와주고, 그 밖의 모든 것이 붕괴될 때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남아 있으며 완성해야할 관련된 과업을 확인하도록 도와준다.
Roberto와 Stanis(1994)는 여성에게 있어서의 인생 후반기의 친구의 죽음을 조사하였는데 대부분의 여성들은 상실감을 보고하였다. 여성들은 그들의 노화와 죽을 운명을 더욱 많이 인식하게 된다고 한다.
friendship의 중요한 특성은 이러한 적은 설명(대조점(point of contrast), 애정적 영역, self-awareness, 자기 발전, 생의 전환과 도전의 관리 등)으로 풍부하게 증명되는 것 같다.
참고문헌
▷ 김명희(2011), 초등학생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 김민경(2011),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이 친구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 김보경 외 2명(2010), 수줍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친구관계 비교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 김은정(2010), 한국판 친구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 신유림(2011), 공격적 아동과 가장 친한 친구의 친구관계 질, 한국가정관리학회
▷ 최진현 외 1명(2012), 아동의 놀이성과 친구관계 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