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카메라와 카메라기자, 카메라녹화, 카메라와 카메라옵스큐라, 뷰카메라, 카메라와 감시카메라, 방송카메라, 카메라와 HDTV(고화질텔레비전)카메라, 웹카메라, 카메라와 무인카메라, 폴라로이드카메라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카메라]카메라와 카메라기자, 카메라녹화, 카메라와 카메라옵스큐라, 뷰카메라, 카메라와 감시카메라, 방송카메라, 카메라와 HDTV(고화질텔레비전)카메라, 웹카메라, 카메라와 무인카메라, 폴라로이드카메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카메라와 카메라기자

Ⅱ. 카메라와 카메라녹화
1. 녹화 준비
2. 녹화

Ⅲ. 카메라와 카메라옵스큐라

Ⅳ. 카메라와 뷰카메라
1. 특징
2. 장점
3. 단점

Ⅴ. 카메라와 감시카메라

Ⅵ. 카메라와 방송카메라

Ⅶ. 카메라와 HDTV(고화질텔레비전)카메라

Ⅷ. 카메라와 웹카메라
1. ToUcam Pro의 화각
2. 천체의 화각

Ⅸ. 카메라와 무인카메라

Ⅹ. 카메라와 폴라로이드카메라

참고문헌

본문내용

.35
천왕성
0.07
해왕성
0.04
명왕성
0.0002
화각을 보면 달은 33.5분 각, 500mm로 31×27분 각이므로 500mm이하의 렌즈가 아니면 달의 전체상은 촬영할 수 없게 된다.
현재 사용 중인 경통(SC200, f = 2000mm)에 2.5배 바로렌즈를 쓰면 합성 초점거리는 약 5000mm, 3분 각 정도의 크기가 화면 전체가 되므로 목성과 토성의 촬영에 적합하다.
Ⅸ. 카메라와 무인카메라
7대 도시 경찰청 소관 교통법규위반 단속용 무인카메라는 총 712대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울이 238대로 가장 많았고 부산이 142대 그 밖의 지역은 90대 미만이었다. 이들 무인카메라는 속도위반, 신호위반 등의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범위는 12~30M 정도로 운전자의 얼굴을 일부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는 차량번호판을 위주로 촬영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없다고 답변하였다.
이들 무인단속카메라에 찍힌 사진은 범칙금 부과를 위한 것으로 민원에 대비해 일정기간 보존할 필요가 있다. 경찰청의 「교통단속처리지침」에서는 촬영된 사진을 10년 간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남지방경찰청(광주)의 경우 보존기간이 5년이라고 답했으며, 울산은 준영구라고 답해 보존 기간에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광주와 울산이 경찰청의 지침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과연 10년이라는 보존기간이 타당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무인감시카메라 역시 음성 녹취는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당 설치비용은 2000만 원에서 8000만 원까지로 성능, 설치 구조물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당 설치비용을 약4500만 원으로 계산했을 때 712대를 설치하기 위한 총 비용은 320억 원 정도가 되며 실제로는 서버 등의 비용이 더 추가되어 이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Ⅹ. 카메라와 폴라로이드카메라
즉석에서 사진을 볼 수 있게 한 방식의 카메라. 정식 명칭은 폴라로이드 랜드 카메라이고 1분 카메라라고도 한다. 1947년 미국의 폴라로이드사의 사장 H.랜드 박사가 고안하여 발표하였다. 암실조작이 필요 없으며, 카메라내에서 현상, 정착이 이루어져 촬영한 장소에서 바로 완성 인화가 되는 즉시성이 특징이다. 흑백 필름의 구조는 네거필름, 포지인화지와 현상액으로 되어 있으며 촬영 후 필름을 빼내는 과정에서 1매 마다에 첨부된 현상약대가 카메라에 저장되어 있는 롤러에 눌려 터져서 필름 막면상에 고르게 발라진다. 현상에 의하여 형성된 네거상에 대한 반대상인 포지상의 성분은 용제에 의하여 용해되어 밀착하고 있는 인화지에 확산, 전사되어 포지사진이 된다. 컬러 필름의 구조는 파랑, 초록, 빨강에 감응하는 각 유제층과 황, 마젠타, 시안의 3색소 현상약층 1매마다에 첨부된 처리제와 인화지로 되어 있다. 노광을 받은 할로겐화은을 환원하면 그 자신은 산화되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 남으며, 미산화의 색소 현상약은 알칼리 가용이므로 현상조제에 의하여 확산전사가 가능하게 되어 인화지의 수상층에 전사된다. 색소상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칼리 성분은 포지 인화지에 있는 알칼리 수용층에서 중화되어 색화상이 정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사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필름이 나오게 되었고, 용도도 광범위하다. 촬영 후 흑백 필름은 10초간, 컬러 필름은 약 1분 만에 인화가 된다. 1964년 세계 최초로 전자셔터식 AE카메라인 폴라로이드 오토매틱 100을 내놓았고, 이어서 72년 접는 식의 1안 리플렉스 전전동 카메라인 폴라로이드 SX-70을 시판하였다. 또한 중형 카메라용 필름 홀더도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많은 기종이 개발되었다. 용도로는 일반 카메라 외에도 공업용, 의학용, 상업용, 보도용 등에 널리 사용된다.
참고문헌
○ 김민기 외 1명(2011), HDTV영상의 원본비참조 화질평가 방법, 한국정보통신학회
○ 김성훈 외 2명(2010), 웹 카메라와 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 김석원(2004), 관찰자의 시점과 카메라 옵스큐라와 카메라 -베르메르와 드가를 중심으로, 한국다큐멘터리사진학회
○ 문해민 외 1명(2009),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콘텐츠진흥원(2005), 디지털 시대, 카메라기자의 새로운 도전을 위하여
○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2007),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포토라인 준칙 운영 포럼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