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덱싱,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이미지특징,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TREC(세계검색컨퍼런스),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한국특허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일본특허데이터베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덱싱,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이미지특징,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TREC(세계검색컨퍼런스),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한국특허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일본특허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덱싱
1. 단일 술어 인덱싱(single predicate indexing)
2. 이중 술어 인덱싱(double predicate indexing)

Ⅲ.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이미지특징

Ⅳ.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TREC(세계검색컨퍼런스)

Ⅴ.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한국특허데이터베이스
1. KIPRIS
1) 운영기관
2) 위치
3) 제공 데이터 종류
4) 이용료
5) 특징
2. KINITI
1) 운영기관
2) 위치
3) 제공 데이터 종류
4) 이용료
5) 특징
3. WIPS
1) 운영기관
2) 위치
3) 제공 데이터 종류
4) 이용료
5) 특징

Ⅵ.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일본특허데이터베이스
1. 탐색방식
2. 연산기능
3. 출력 레코드형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필드 제공방식, 특허번호 탐색방식, 그리고 복잡한 탐색이나 전문검색자들을 위해서 여러 가지 연산기호나 필드제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탐색방식 등이 그 대표적인 탐색방식이다.
비교대상 사이트에서도 이와 큰 차이가 없는 바, WIPS에서만 위의 3가지 탐색방식을 동시에 제공하고, 나머지 3개의 사이트에서는 단 하나의 탐색방식, 즉 JPO와 EPO는 필드 제공방식만을, DIALOG에서는 복합 탐색방식만을 제공하고 있다. 단, WIPS에서의 특허번호 탐색방식은 특정 특허번호에 해당하는 발명명칭만 보여줄 뿐 실제 레코드를 보여주지 않으므로 이를 보기 위해서는 필드 제공방식이나 복합 탐색방식을 이용해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2. 연산기능
어떤 탐색엔진이나 웹 사이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탐색식 작성관련 연산기능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산기능을 위해서 사용하는 연산기호는 각 사이트마다 공통적인 경우가 많기는 하나, 사이트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 경우 또한 많으므로 연산기능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탐색할 경우 전혀 엉뚱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많다.
먼저 논리연산기능의 경우 4개의 사이트 모두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모두 동일한 연산기호를 사용하고 있다.
인접연산기능의 경우에는 EPO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사이트에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WIPS와 JPO는 연산기호에서도 같은 반면 DIALOG에서는 기호가 전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인접연산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ADJn(또는 nW)는 두 탐색어의 위치순서를 고려하여 두 탐색어가 나란히 인접한 경우를 탐색하고, NEARn(nN)는 순서에 상관없이 두 탐색어가 인접한 경우를 탐색한다. 여기에서 \"n\"은 대체로 1-99의 숫자로서 두 탐색어 사이에 다른 용어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최대 용어 수이다. WITH(또는 S)는 두 탐색어가 동일 문장(sentence) 안에 들어있는 경우를 탐색하며, SAME(또는 F)은 두 탐색어가 동일 단락(paragraph) 안에 들어있는 경우를 탐색한다.
탐색어를 특정 필드에서만 검색하도록 하는 필드제한기능의 경우에 있어서도 인접연산기능과 마찬가지로 EPO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사이트에서 이 기능을 제공한다. WIPS와 JPO에서는 탐색대상 필드에 따라 \"탐색어.필드명약어.(예, A01B009-00.ICM.)\" 또는 \"@필드명약어=\'탐색어\'(예, @PN=\'01005401\')\"를 사용한다. 반면 DIALOG에서는 \"필드명약어=탐색어(예, PN=JP 01005401)\"를 사용한다.
용어절단기호의 경우에도 EPO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사이트에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이트마다 기호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DIALOG에서는 단 하나의 문자만을 대신하고자 할 경우에는 \"rod\"와 같이 스페이스를 하나 띄고 다시 의문부호를 입력하면 된다.
수치필드(예, 특허번호, 출원일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위지정기호의 경우에는 WIPS와 DIALOG에서만 제공하며, JPO와 EPO에서는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구(phrase) 탐색기호인 이중인용부호는 JPO와 EPO에서만 제공하며 WIPS와 DIALOG에서는 제공하지 않는다. 참고로, WIPS에서는 구 검색을 위해서 이중인용부호(\" \")를 사용할 경우 검색된 레코드의 발명명칭 리스트만 나타나며, 서지 및 초록정보를 보기 위해서 특정 발명명칭을 클릭하면 \"Not signed on to a database\"와 같은 메시지만 나타나고 서지 및 초록정보는 보여주지 않는다. 결국 이중인용부호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다. DIALOG에 있어서도 종전에는 이중인용부호를 사용한 구 검색을 허용하였으나 현재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끝으로, 연산기호를 사용한 탐색식의 우선순위를 바꾸고자 할 때, 즉 우선적으로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괄호는 4개 사이트 모두에서 제공하고 있다.
3. 출력 레코드형식
비교대상인 4개 사이트에서 탐색한 결과 검색된 레코드의 출력형식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원칙이다. 4개의 사이트 모두 일본 특허정보기구인 JAPIO에서 제작하여 제공하는 PAJ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이트별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바 각 사이트에서 검색된 레코드의 주요 필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최초로 특허 출원한 국가를 우선권 국가로 지정하는 우선권과 동일 특허에 대한 각국의 특허출원 현황을 나타내는 대응특허의 경우 매우 중요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EPO에서만 둘 다 제공할 뿐 WIPS에서는 우선권만을 제공하며 JPO와 DIALOG에서는 둘 다를 아예 제공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특허기술의 기본적인 구성을 알 수 있는 대표도면의 경우에도 WIPS와 DIALOG에서만 제공하며 JPO와 EPO에서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또한 DIALOG에서는 자사의 JAPIO(File 347)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모든 레코드에 대해서 주제별 및 계층적으로 색인어를 작성수록하여 제공하고 있는데, 이것은 탐색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에 대한 이유는 다음 장에서 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EPO에서는 EP에서 자체 사용하는 EP 분류표에 의거하여 PAJ 레코드를 분류수록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DIALOG에서는 JAPIO 분류표에 따라 PAJ 레코드를 분류수록하여 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명선 외 1명(1999), 지능적 웹 이미지 검색 엔진의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이응봉(1999), 정보검색시스템 및 검색기법의 평가를 위한 테스트 컬렉션의 구축 : TREC(Text REtrieval Conference)을 중심으로, 국회도서관
유재복 외 1명(2000), 한국특허 웹 데이터베이스의 검색효율성 비교분석 연구, 국회도서관
유재복(2000), 일본특허 데이터베이스(PAJ)의 검색효율성 비교분석 연구, 국회도서관
윤성웅 외 2명(2008), 질의 내부 단어 인접도를 이용한 검색 효율 향상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조용춘 외 1명(2000), 오디오 데이터 인덱싱의 검색 효율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