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발전방안,지역발전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상북도발전방안,지역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P.4
Ⅱ. 본론
1. 경상북도 소개 ====================================== P.4
1) 인구
2) 경제적 특징
3) 지리적 특징
4) 역사적 특징
5) 문화적, 정치적 특징

2. 경상북도의 강점 ===================================== P.6
1) 풍부한 산림자원
2) 전통문화 관광산업 발달
3) 국제 교류의 증가
4) 대구 및 근접지역과의 인프라 구축
5) 우수한 인적 자원
6) 산업의 발달
7) 동해안 해양 수자원 풍부

3. 경상북도의 약점 ===================================== P.8
1)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
2) 미약한 교육시설
3) 부족한 의료시설
4) 교통으로 인한 지역 간 단절
5) 빈약한 재정
6) 낙후된 국가 산업 단지

4. 경상북도의 기회 ===================================== P.11
1) 귀농 귀촌 인구 증가
2) 한 미 FTA 효과
3) 교통의 연계성 증가
4) 체험관광 (오감관광)의 선호도 증가

5. 경상북도의 위협 ===================================== P.12
1) 세계 시장 침체
2) 공장의 해외 이전화 현상
3) 한중 FTA 효과
4) 종주도시화 심화 (중심도시화)

6. SO, ST, WO 전략 ===================================== P.14
1) SO 전략
① 신라 문화권 클러스터
② 가야 문화권 클러스터
③ 유교 문화권 클러스터
2) ST 전략
① FEIC - 경북융합개발교육산업지구
3) WO 전략
① 우리들이 행복해지는 시 - 우행시 프로젝트(웰빙 + 귀농 + 힐링)

7. 지역 통합 ========================================== P.18
1) 주요 중심 도시를 통한 통합과, 그 효과
① 구미와 칠곡의 통합
② 안동·예천 통합안
③ 포 항
④ 통합의 기대효과와 3도시 파급효과
2) 중심 도시 외 통합 논의
① 영주 - 봉화 통합

Ⅲ. 결론 ============================================= P.23

참고문헌 ============================================= P.24

본문내용

지역 청년 역외유출 원인과 해소방안 연구> / p.3 참고
15) 출처 : Ibid. p.36
16) 출처 : 경상북도 교육청 / (http://www.gbe.kr/contentsView/view.fs?menuSeq=123) 참고
17) 출처 : <메디컬 투데이> / ‘OECD 인구 1000명당 평균 활동 의사 3.1명, 우리나라는?’ / 2012,10,24 참고
18) 출처 : 기획예산처, 한국개발 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 <중앙선(도담-안동) 복선전철화사업> / 2004, p.51 참고
19) 출처 : 이상인,권태범, 대구경북연구원 / <도시교통 중장기 발전계획> / 2010, pp.6~8 참고
20) 출처 : 한근수, 대구경북연구원 / <중앙선 복선전철화 및 틸딩(Tilting)열차화 방안> / 2009, pp.7~9 참고
21) 출처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참고
22) 출처 :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 <구미 국가산업단지 구조고도화방안> / 2012, pp.33-36 참고
23) 출처 : 국무총리실 / <귀농귀촌 지원 실태 분석 평가 보고서> / p1, p2 참고
24) 출처 : <국민일보> / ‘귀농 1번지는 경북지역… 2010년 이후 4194가구, 광역단체 중 최다.’ / 2012.10.18 참고
25) 인용 : <전통문화 컨텐츠 연계를 통한 관광산업 육성> / 리포트, 인문/어학 (http://www.happycampus.com)
26) 출처 : 박재현 한국공공정책연구소 / <정책학> / 공공정책21 참고
27) 출처 : <중앙일보> / “외환위기 때 끄떡없던 포스코마저 … ” / 2012.11.19 참고
28) 출처 : <경북경제> / 통권 제 290호, 경상북도 / 2012년 1월
29) 출처 : <아이뉴스> / ‘국내 휴대폰·가전·TV 70~90% 해외서 만든다.’ / 2012.10.08 참고
30) 출처 : <지식 경제부 보도자료> / (http://www.mke.go.kr) / 12.11.01 참고
31) 출처 : <한·중 FTA의 주요 쟁점에 대한 연구> / 김규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p.44 참고
32) 출처 : 편집부 / <2012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 p.45, p.191 참고
33) 출처 : <연합뉴스> / ‘한중 FTA 과수·채소 10년 피해액 12조원’ / 2012.10.24 참고
34) 출처 : <매일신문> / 이용객 하루 2만여명 껑충…대구-경산 '상생철' 달린다/ 2012.10.20 참고
35) 출처 : <영남일보> / http://www.yeongnam.com/mnews 참고
36) 출처 : ‘Kosis’ 기준으로 전구 문화재의 18.5%가 경상북도 내에 위치. 확인
37) 출처 : 북도청 홈페이지 경북경제 12.10월호 / 구미-칠곡 통합 대상 발표 '반발' / (http://www.gyeongbuk.go.kr) 참고
38) 출처 : Firon Eduaction Industrial Complex(이하 FEIC)는 직접 생각한 개념으로 fiber+it+iron라는 융합 교육 지구를 말한다.
39) 참고 :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 (http://www.gyeongbuk.go.kr) 참고
40) 참고 : 군위군청 홈페이지 / (http://www.gunwi.go.kr) 참고
41) 참고 :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 (http://www.gyeongbuk.go.kr) 참고
42) 출처 : <2011년 경북 통계연보> / p63 인구 Part 참고
43) 출처 : 에코힐링족의 증가 /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650487
44) 출처 : <국민일보> / ‘귀농 1번지는 경북지역… 2010년 이후 4194가구, 광역단체 중 최다.’ / 2012.10.18 참고
45) 출처 : <헤럴드 경제> / 삶의대안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20906001018&md=20120909003212_AN) 참고
46) 출처 : 김주석(2007) / <대구경북지역 시,군간 연계 및 분업구조 분석을 통한 지역통합성 제고방안 연구> / 대구경북연구원 p60 참고
47) 출처 : 한국산업단지공단 / (http://www.e-cluster.net/new_app/indust/condition/danji_info.jsp) 참고
48) 출처 : <칠곡신문> / 구미-칠곡 통합 대상 발표 '반발' / 2012.06.18 참고
49) 인용 : 구미와 칠곡의 통합에 주민들이 60%이상 찬성한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 지방행정체제개편 추진 위원회.
50) 출처 : <국민일보> / ‘경북도청 신도시 공사현장을 가다… 공정률 20%, 새 청사 1∼2층 골조공사 한창’ / 2012.11.15. 참고
51) 출처 : 행정안전부 2012년 6월 일반회계기준 / (www.mopas.go.kr)
52) 출처 : <충북인뉴스> / ‘청주청원 통합시 경제효과 10년 동안 4480억원, 경철수 기자’ / 2009. 8.27 참고
53) 출처 : 이상인 권태범 / <도시교통 중장기 발전계획> / 대구경북 연구원 / 2010, pp.6 참고
54) 출처 : 남기범(서울시립대학 도시사회학과 교수) / 한국 토지 신탁 2007년 겨울호, <우리나라의 도시와 통합> 참고
55) 출처 : 지방행정론 6주차강의 프린트 6p 참고
56) 출처 : 경북매일 / ‘봉화,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유치’ / 2012.10.10. 참고
57) 출처 : 영주 , 비전 2020 계획안 / http://www.yeongju.go.kr/cityguide/vision2020_2(3).pdf
58) 출처 : <영주정치이야기> 오공환 / ‘영주, 봉화 소통합 가능할까?’ - http://blog.daum.net/ssu1471/16905254 참고
59) 출처 : <위키피디아> / ‘경상북도 국회의원 선거구’ (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 참고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05.06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3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