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격만곡증(Nasal septal deviation)과 수술적 치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중격만곡증(Nasal septal deviation)과 수술적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코의 해부 및 기능
1. 코의 해부
1) 외비(external nose)
2) 비강(nasal cvity)
3) 부비동
4) 비중격
5) 외비의 혈관분포
6) 외비의 감각신경
2. 코의 기능

Ⅱ. 비중격만곡증(Nasal septal deviation)
1. 정의
2. 발생 원인
3. 증상
4. 분류
5. 진단

Ⅲ. 비중격성형술(Septoplasty)
1. 수술개요
2. 수술 적응증
3. OP procedure
1) 절개
2) 비중격 연골 및 골부의 노출
3) 비중격연골의 이동 및 교정
4) 고정
5) Packing
4. 수술 후 합병증
5. 수술 후 관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상이며 4,7형은 이 두 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5. 진단
이학적 검사인 전비경 검사(anterior rhinoscopy)로 비교적 용이하게 비중격 만곡증을 진단할 수 있다. 비점막혈관 수축제로 코 점막을 수축한 후 검사를 실시하면 비강 내부를 더 잘 볼 수 있다. 환자의 뺨을 외측으로 당겨 전비공(앞콧구멍)을 열어주어 환자의 코막힘이 나아지는 현상을 확인하는 검사도 진단에 사용된다. 비강의 저항이나 용적을 측정하는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에 도움을 주고, 대표적인 비강 기능검사로 면적을 비교할 수 있는 음향 비강통기도 검사가 있다. 그 외에도 X선 단순촬영을 통하여 전반적인 비중격 모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골절이나 비부비동염의 동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산화 단층촬영(CT)을 시행하기도 한다.
Ⅲ. 비중격성형술(Septoplasty)
1. 수술개요
연골과 뼈로 구성되어 있는 비중격(비강 중앙에 있는 가로막)은 코의 골부와 연골부의 가장 중요한 지지구조로서 코 끝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만곡이 있는 환자에서 휘어져 있는 뼈 부분을 잘라내고, 연골의 탄성을 이용하여 휘어 있는 연골을 교정하는 수술이다.
2. 수술 적응증
① 비중격 기형으로 비강내의 기능적 장애가 있을 때
② 비내 수술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때
③ 주위 기관에 합병증을 일으켰다던가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때
④ 다른 곳의 수술에 필요로 하는 연골이나 골편을 얻기 위하여
⑤ 비중격을 통해 뇌하수체 적출술을 시행할 때
⑥ 기능적 또는 미용적 외성형술 rhinoplasty
3. OP procedure
Drap하기 전에 비점막 수축과 혈관 수축으로 인해 출혈을 감소를 시키기 위해 packing 용액을 묻혀둔 nasal packing 거즈를 packing 해둔다. packing이 끝나면 0.5% 클로르헥시딘으로 painting 한다.
1) 절개
① Packing gauze를 제거하고 2% lidocaine과 epinephrine을 1:10만으로 mix한 용액을 비중격에 10cc injection한다.
② 비중격 전단부 전방의 혈관이 적은 부위에 수직으로 전 길이에 걸쳐 일측에 blade #15번으로 반관통절개(hemitransfixion incision)를 가하여 비중격연골 전체 및 하부의 상악릉이 잘 노출되게 한다. 이 부위는 점막이 두터워 쉽게 찢 어지지 않고 또한 찢어져도 봉합하기가 비교적 쉽다.
2) 비중격 연골 및 골부의 노출
① 절개 부위에서 점막성 연골막을 확인하여 cottle elevator 나 freer elevator
등을 사용하여 연골과 연골막 사이로 박리하면서 dissection plane을 만든다.
② 그 후 아래쪽에서 동측 상악릉 주위의 점막성 골막을 분리해 공간을 만들고 (동측 inf. tunnel) 전비극의 앞쪽이나 연골의 하단부를 통해 반대쪽 상악릉 주위의 점막성 골막을 분리해 공간을 만든다.
③ 그 후 ant. tunnel inf. tunnel을 전 시야에서 보면서 상악릉-비중격연골 연결부위의 두꺼운 결체조직을 제거하여 하나의 tunnel을 만든다.
3) 비중격연골의 이동 및 교정
① 연골 하부를 골부로부터 분리하여 굽은 연골을 피면서 생긴 잉여연골(excess cartilage)을 제거하여 연골, 골부를 분리시키고, 연골을 정중앙에 위치시킨다.
② 이를 위해 폭 3-4 mm 의 연골을 제거하여 비중격 연골을 상악릉, 서골 및 사골 수직판과 분리한다.
③ 사골 수직판과 비중격연골(septal cartilage) 연결부의 상부 1cm 부위는 남겨서 술 후 안비를 방지한다.
④ 연골을 분리하여(freer+ cottle이용) 만곡된 사골 수직판 및 서골의 일부를 conchotomy scissor, septum punch를 이용하여 자르거나 gauge와 mallet으로 골절시켜 펴 주고 심한 것은 제거한다.
4) 고정
① 수술 후 만곡이 남거나 만곡의 재발 가능성이 우려되면 잉여 연골 (excess cartilage) 등 잘라 내었던 연골편을 교정된 연골에 대고 봉합하거나 양측 점막
을 같이 봉합하여 편평한 모양이 유지되게 고정한다.
② 수술 후 만곡이 남거나 만곡의 재발 가능성이 우려되면 잉여 연골 (excess cartilage) 등 잘라 내었던 연골편을 교정된 연골에 대고 봉합하거나 양측 점막을 같이 봉합하여 편평한 모양이 유지되게 고정한다.
5) Packing
① 양쪽 비중격 점막에 silastic sheet를 긴 타원형 모양으로 잘라서 물에 담궈 놓 는다.
② 비중격에 봉합하여 고정한 후 multicel과 nasal packing gauze의 한쪽 면에만 tarramycin을 바른다.
③ Multicel은 packing 직전에 saline에 한번 담궜다가 바로 packing한다.
4. 수술 후 합병증
비중격 만곡증에 의해 비후성 비염이 발생하거나, 감기와 같은 급성 비염에 취약해진다. 비강 내 기류의 변화로 점막이 건조해지면 가피(딱지)가 생겨 궤양이나 비출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심할 경우 부비동염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5. 수술 후 관리
수술 후 부기가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심하지 않다. 콧구멍 안에 지혈을 위해 거즈를 넣는 경우에는 수술 후 2일이 지난 후에 제거하며, 제거한 후에도 몇일 동안 코가 막힌 듯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수술한 비중격을 지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막을 코 안에 넣어 두는데 보통 5일에서 7일 후에 제거한다. 수술 부위에 감염이 생기지 않도록 감기에 걸리지 않게 조심하며, 날짜에 맞추어 소독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술 부위가 약해져 출혈의 위험도 있으므로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An Atlas of Head & Neck Surgery, BARI M LOGAN, 2008
2.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9, 일조각
3. 수술실환자간호, 윤혜상, 2004, 청구문화사
4. 성인간호학Ⅳ, 서문자 외, 2004, 수문사
5. 인체해부학, 신문균 외, 1998, 현문사
6. 제 4판 성인간호학, 전시자외, 2005, 현문사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4.24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