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보고서] 계몽주의, 로크, 자연주의, 루소, 바제도, 신인본주의,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 프뢰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 보고서] 계몽주의, 로크, 자연주의, 루소, 바제도, 신인본주의,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 프뢰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계몽주의
가. 계몽주의 시기
나. 계몽주의의 개념
다. 계몽주의의 배경
라. 계몽주의란?
마. 계몽주의의 전개
바. 계몽주의의 사상적 특징
사. 계몽주의의 교육

2. 로크(John Locke, 1632~1704)
가. 로크의 생애
나. 로크의 사상
1) 인간관
2) 백지설(Tabula rasa)
3) 경험론적 인식론
4) 실천적 이성관
다. 로크의 교육론
1) 교육 목적
2) 교육 사상의 내용 및 방법
3) 체육론
4) 덕육론
5) 지육론
6) 가정교육론
라. 로크 교육사상의 의의

3. 자연주의 교육사상
가. 자연주의 교육목적
나. 자연주의 교육내용
다. 자연주의 교육의 등장배경
1) 시대적 배경
2) 사상적 배경

4.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eau : 1712~1778)
가. 생애와 저서
나. 『에밀』에 나타난 자연주의 교육사상
1) 교육의 목적
가) 자연성의 계발
나) 사회성의 계발
2) 교육의 내용
가) 유아기 (0~5세)
나) 아동기 (5~12세)
다) 소년기 (12~15세)
라) 청년기 (15~20세)
마) 여성교육론
3) 교육사적 의의
4)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한계
5) 자연주의 교육이 현대교육에게 주는 시사점

5. 바제도(Johann Bernhard Basedow, 1723~1790)
가. 생애
나. 범애학교
다. 교육목적
라. 교육내용
마. 교육방법

6. 신인본주의
가. 신인본주의란?
나. 시대적 특징
다. 교육적 흐름
1) 국가주의
2) 계발주의
라. 교육적 특징
1) 조화로운 전인교육
2) 언어교육
3) 인간교육

7. 페스탈로치(Johann H. Pestalozzi,1746~1827)
가. 생애와 활동.
나. 페스탈로치의 사명과 자각
다. 교육 목적
라. 교육 내용
마. 교육 방법
1) 자발성의 원리(자기창조의 원리)
2) 직관의 원리
3) 조화의 원리(균형의 원리)
4) 사회의 원리
5) 단계적 방법의 원리
6) 일반 도야의 원리
7) 생활교육의 원리
8) 노작교육의 원리
9) 합자연교육의 원리
바. 교육 사상
1) 삼육론
2) 가정교육론
3) 인간성 삼단층론
4) 사회교육론
5) 체벌교육론
6) 전인적 직업교육론
7) 전인적 체육론
사. 루소와 페스탈로치의 교육 사상 비교
아. 교육에 미친 영향
① 교육의 수단과 방법에 미친 영향
② 교실의 일반적 정신에 미친 영향
③ 현대교육사적 의의
자. 결론

8. 헤르바르트(J. F. Herbart, 1776~1841)
가. 생애
나.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개요
1) 윤리학으로부터 추론하는 그의 교육목적은 덕(德)에 있다.
2) 심리학적 입장에서 생각과 덕스러운 행동을 연결할 수 있다.
다. 헤르바르트 교육목적론
1) 내적 자유의 이념
2) 완전성의 이념
3) 호의의 이념
4) 정의의 이념
5) 보상 또는 공정의 이념
라. 헤르바르트 교육방법론
1) 관 리
2) 교 수
3) 훈련(훈육)
마.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비판점
바.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의의
2) 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9. 프뢰벨(Fr. W. A. Frobel, 1782~1852)
가. 18~19 세기의 교육사상과 프뢰벨
나. 프뢰벨의 생애
다. 교육목적
라. 형이상학적인 개념
1) 통일의 원리
2) 만유재신론
3) 노작의 교육의 원리
마. 프뢰벨의 유아관
바. 놀이이론
사. 은물과 작업
아. 노래와 게임
자. 옥외활동
차. 정원활동
카. 프뢰벨의 교육사적 의의

본문내용

한다.
따라서 교육은 만유재신론의 이념을 통해 영원히 신의 기능인 초월적 성격을 지향해야만 한다.
노작의 교육의 원리
프뢰벨은 노작을 높게 평가했는데 그 이유의 하나는 유아에게 있어서 의식발전의 원리로서의 노작 우위를 인정했기 때문이다. 페스탈로치에 따르면 자기 활동을 통해 개개의 대상과 인격적인 체험을 할 때 직관은 참으로 순수함을 얻는다고 하여 철저히 노동과 작업을 신성하게 여기고 이것을 교육의 마당에 도입하였다. 프뢰벨은 페스탈로치와 같이 단순한 유아의 생명활동의 모두를 노작으로 보았으며 더 나아가 생명을 활동, 작업, 창조로 보았다.
노작교육은 예로부터 공리주의 내지 실용주의 입장에서 직업에 대한 직접 준비의 길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페스탈로치에 이르러서 노작은 직업에 대한 직접 준비는 아니고 직관과 독자적인 관련을 갖고 있는 인간형성의 원리로 되었다. 이것이 프뢰벨에 이르러서 더욱 발전되어 노작은 그 자체가 목적이며 어떤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보지 않았다. 그의 노작은 인간의 본질 즉 신성의 표현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한다. 또 그의 노작은 인간의 생명의 창조적이며 자발적인 활동인 것이다. 노작교육은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바로 그 자체가 목적이며, 인간의 본질, 즉 신성의 표현을 직접적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프뢰벨의 유아관
어린이는 오랫동안 어른들에 의하여 돌보아져야 하기 때문에 무기력한 존재라고 생각 하는데 반해 자기 자신 속에 생명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 생명을 자기활동적으로 발전시키려 한다고 말한다. 이 어린이의 자기활동은 지각이나 감정이 하나로 융합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프리벨은 어린이의 행동을 ‘몰두한다’라고 표현하면서 이 상태가 자연과 인간과 신의 삼위일체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래서 그는 어린이가 참된 인간으로 발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몰두한다’가 작업충동이 되도록 기르는 길 밖에 없다고 하였다.
놀이이론
신성의 소유자인 어린이의 생활을 연속적 발전으로 보고 인간내면의 창조적 자기활동을 중시한 프뢰벨은 놀이의 교육 의의를 강조했다. 왜냐하면 자기활동을 중시하는 교육은 반드시 어린이들의 흥미를 중요시하고, 이 흥미의 대상이 바로 놀이가 되기 때문이다. 어린이의 생활은 구체적으로 놀이이다. 즉 어린이의 놀이는 단순히 신체나 손발의 감각을 키우고 강하게 하는 것만이 아니고 심성의 발달이나 정신도치 및 내적 감상의 각성을 촉진시키는 것, 다시 말해 내면적이고 정신적인 의의에 중점을 두었다.
은물과 작업
어린이의 자발학습을 가능케 하고 창의력을 기르게 하기 위하여 고안한 교육적인 장난감인 은물과 작업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먼저 은물과 작업은 모두 형체, 면, 선, 점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여기에 재구조라는 종합의 영역을 추가하였다. 즉 형체에서 평면으로, 평면에서 직선으로, 직선에서 점으로, 점에서 선으로, 선상에 있는 것으로부터 평면으로, 평면에서 입체로 나아가는 일련의 순서를 가진다. 또한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가벼운 것에서 무거운 것으로, 잘 알려진 것에서 덜 알려진 것으로 나아간다. 프뢰벨은 그의 은물체계를 통하여 어린이의 발달은 형체이서 면으로, 면에서 선으로, 그리고 선에서 점의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노래와 게임
프뢰벨은 노래와 음률을 감각을 통하여 마음에 이르게 하는 매개로 보았다. 그리하여 많은 음률활동에는 음률과 노래가 곁들여진다. 이러한 활동에 대하여 만년의 저작 (어머니의 노래와 사랑의 노래)에서 상세히 밝히고 있다.
50개의 놀이노래는 어린이의 어린이가 어머니가 친밀하게 어울려 팔, 다리와 감각을 훈련시키고 나아가 예감이 가득한 상징적인 방법으로 어린이를 생명과 세계를 이해시킬 수 있는 길로 이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그림의 윗부분에 손과 손가락 놀이를 위한 그림이 있는데 이 놀이는 손과 손가락을 노래에 맞춰 훈련하기 위해서다.
옥외활동
유아가 뛰어 오르락 내리락라거나, 팔을 휘두르거나, 움직이는 경험을 즐겁게 하기위해 옥외활동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중시한 것은 외적인 활동에서 내적 감정과 몽롱한 지각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확신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신체적 놀이에는 음률과 노래가 동반되는데 여기에는 세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 조심스러운 방향으로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둘째. 리듬이나 박자감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사회협동의 충동을 강화할 수 있다. 프뢰벨은 계속하여 게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적 개발의 이점을 강조하였다.
정원활동
자연연구와 정원 가꾸기는 그의 저작들 속에서 표현하고 있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하나의 형태이다. 그가 말하는 이상적인 정원은 각 어린이를 위하여 꾸며놓은 작은 터와, 꽃과 야채를 위하여 배려된 구역이 있는 평범한 곳이다. 이 정원 활동을 통해 어린이는 식물의 생육의 필수적인 원리, 또한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배우게 될 것으로 기대되며, 정원 가꾸기는 어린 이가 ‘볼 수 없는 힘’의 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간주된다.
프뢰벨의 교육사적 의의
첫째, 유아교육의 본질을 재정립했고, 유아교육은 부녀자의 사명이라는 생각에서 부모교육 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둘째, 사랑을 전제한 모성애적 보살핌에 의해서 유아의 생활은 유지될 수 있으며, 유아양육은 모성애적 본성의 발휘에서 가능하다고 했다.
셋째, 몸, 마음, 정신의 균형과 조화를 중시하여 전인교육의 바탕을 마련해 주었다.
넷째, 유희를 자기표현의 가장 가치 있는 교육으로 생각하여 놀이와 게임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다섯째, 아동교육은 그들의 활동, 욕구, 흥미에 의거하여 자유롭고 자발적인 성장과 타율적 강제가 아닌 자율적, 자발적인 계발을 중시하였다.
여섯째, 근대교육에 있어서 개성존중, 아동중심주의 등의 교육사조가 프뢰벨에서 구체화되었다.
일곱째, 교육은 자연적 과정을 따라야 한다는 점과 행함으로써 배운다는 점을 강조했다.
여덟째, 자기활동·연속발전·개성화·사회화·직관·노작·생활경험 등은 현대교육의 바탕을 이루게 하였다.
아홉째, 프뢰벨의 유치원 교육의 발달로 말미암아 여교사의 양성과 보모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이 발달하게 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12.11.2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