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생산화를 통한 생산혁신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기업의 생산화를 통한 생산혁신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육가공 식품의 생산화를 통한 생산혁신 사례
2. SKC 천안공장, 이제는 9명이 리튬전지 생산
3. 기존기술 응용 첨단공장 변신 - SKC 천안공장
4. 삼성석화, 생산량 아시아 바닥서 세계3위로 - 삼성석화 서산공장
5. 제일모직, 전자재료 소재기지로 변신 - 제일모직 구미공장

본문내용

된다. 이 곳에서 생산하는 전해액은 휴대폰과 노트북PC, 캠코더 등에 사용되는 리튬 2차 전지 핵심 소재 중 하나다. 매달 250t 규모의 전해액을 생산해 지난해 세계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했다. 공장을 안내해 준 홍대근 차장은 기자의 휴대폰을 가리키며 "현재 사용하고 있 는 휴대폰 노트북에도 이 곳에서 생산한 품목이 들어 있다"면서 "이제는 의복 뿐 아니라 첨단 정보기술(IT)제품에도 제일모직의 기술력이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단을 올라 전자파 차폐재(EMS) 생산공장을 향하자 홍 차장의 설명이 보다 명 확해진다. 전자파 차폐재는 휴대폰이나 노트북PC 등에 발라 유해 전자파를 차 단해 주는 액상 형태 도료다. 생산이 완료되면 페인트통처럼 생긴 캔에 담겨진다. 전자재료 생산ㆍ관리 담당 김문상 과장은 완제품을 가리키며 "크기는 작아보여 도 한 통에 100만원 이상씩 하는 고부가가치 품목"이라면서 "그 동안 우리 기 업들이 일본 스미토모ㆍ아사히 등에서 거의 전량을 수입해온 품목을 대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로 옆에 위치한 CMP슬러리 생산공정으로 걸음을 옮긴다. CMP 슬러리는 반도체 웨이퍼 표면의 절연층을 연마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 고집적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지난해 4월 설비 증설에 따라 연 간 생산 규모가 4500t에서 9000t으로 배 이상 늘었다. 또다시 걸음을 옮겨 닿은 곳은 페이스트 라인. 이 곳은 지난해 10월 증설 이전 한 최신 공정이 이뤄지고 있다. 미세한 먼지까지 빨아주는 에어샤워룸을 지나 안으로 들어선다. 이 곳 역시 PD P 기판 등에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제품을 양산한다. 전자재료 사업에 어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김문상 과장은 "전자재료는 첨 단 제품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 중 하나기 때문에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 h Risk, High Return)' 사업"이라면서 "양산 공장을 지어 놓고도 납품하기까지 1년이 걸린 품목도 있다"고 말했다. 노재용 제일모직 홍보팀 과장은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이지만 한 번 품질을 인정받기 시작하면 수익성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는 특징이 있다"면서 "그룹 차원에서 국내 최대 정보통신소재 업체 도약을 목표로 구미 사업장을 육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일모직은 전자재료 사업 육성과 관련해 의왕 연구소는 연구개발(R&D)센터로, 구미공장은 첨단 설비로 구성된 대규모 IT 생산기지로 이원화해 운영할 방침이 다.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