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차시에 ‘지식 탐구 학습 모형’ 적용이 적절한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 차시에 ‘지식 탐구 학습 모형’ 적용이 적절한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읽기 수업의 특성
2. ‘2-2-4. 마음을 주고받으며 읽기 1차시’ 수업 소개
3. 각 모형의 적용방안 및 장․단점
4. 본 차시의 적용하기 가장 적합한 모형
5. 지식 탐구 학습 모형에 따른 수업안
6. 결론

본문내용

순서와 방법을 안내한다.
▣ 학습할 순서와 방법을 알아본다.
학습 활동 순서
【활동 1】시와 그림 보기
【활동 2】글쓴이의 마음이 되어 읽기
【활동 3】쪽지 쓰기
자료탐색하기
내용
탐색하기
【활동 1】시와 그림 보기
▣ 시를 다 같이 읽어보게 한다.
▣ 교과서 내용을 탐색하게 한다.
교과서 내용에 대해 발표시키기
- 시의 제목은 무엇 입니까?
- 교과서의 그림은 어떤 장면인가요?
- 이 시의 장소는 어디인 것 같습니까?
- 여자아이는 왜 까마귀를 쫓을까요?
- 시에 나오는 여자아이의 가족의 구성이 어떠한 것 같습니까?
- 여자아이는 오빠에게 왜 존댓말을 한 이유가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 시를 다 같이 읽어본다.
▣ 교과서 내용을 탐색한다.
교과서 내용에 대해 발표하기
- ‘홍시’입니다.
- 여자아이가 감나무 밑에서 까마귀를 쫓고 있습니다.
- 시골이요. 감나무 밭 같아요.
- 까마귀가 홍시를 따먹을까봐, 까마귀가 무서워서 등
- 오빠가 있습니다.
- 오빠와 나이차이가 많이 나서, 오빠를 좋아해서 등

프레젠테이션, 시와 삽화자료
☞ 보이지 않지만 유추할 수 있는 배경을 질문함으로써 시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지식발견 및 적용하기
지식
발견하기
【활동 2】글쓴이의 마음이 되어 읽기
▣ 시에 나타난 상황을 파악하게 한다.
-까마귀가 나무에 앉아 무엇을 하였을까요?
-“어저께도 홍시 하나/ 오늘도 홍시 하나”는 무슨 뜻인가요?
-여자아이가 홍시를 남겨둔 까닭은 무엇인가요?
-“후락 딱딱/ 훠이훠이!”에는 어떤 마음이 나타나 있나요?
▣ 시에 어떤 마음이 나타나 있는지 알아보게 한다.
-둘째 연에서는 여자 아이의 어떤 마음을 알 수 있나요?
▣시에 나타난 상황을 파악한다.
-홍시를 먹고 있습니다.
-까마귀가 어제도 오늘도 찾아와 홍시를 먹는다는 뜻입니다.
-오빠가 오면 맛을 보여주려고 남겨두었습니다.
-까마귀를 쫓아서 오빠가 먹을 홍시를 지키려는 마음, 오빠를 그리워하는 마음 등
▣ 시에 어떤 마음이 나타나 있는지 알아본다.
-까마귀가 감나무에 앉지 말기를 바라는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0´
☞ 읽는 이의 느낌에 따라 답은 다를 수 있으므로 하나의 답으로 통일하지 않는다.
☞ 글쓴이의 마음을 알아보면서 마음을 나타내는 몸동작도 함께 해본다.
지식
적용하기
-셋째 연에서는 여자 아이의 어떤 마음을 알 수 있나요?
-이 시에는 오빠에 대한 어떤 마음이 나타나 있나요?
▣다시 한 번 시를 실감나게 읽어 보게 하기
【활동 3】쪽지쓰기
▣ 글쓴이가 되어 까마귀에게 쪽지를 써보게 한다.
▣ 쓴 글을 여자아이의 말풍선에 부치고 발표를 시켜본다.
-오빠를 생각하는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빠를 기다리는 마음이 나타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시를 실감나게 읽어 보게 하기
▣ 글쓴이가 되어 쪽지를 까마귀에게 써본다.
▣ 쓴 글을 여자아이의 말풍선에 부치고 발표를 해본다.
- 까마귀야 우리 오빠가 먹을 홍시니까 먹지마.
10´
포스트잇
까마귀에게 말하는 여자아이의 말풍선 그림
정리하기
학습활동
정 리
▣학습내용을 정리한다.
시를 읽고 글쓴이의 마음을 생각하며 실감나게 시를 읽도록 하기
▣학습내용을 정리한다.
시를 읽고 글쓴이의 마음을 생각하며 실감나게 시를 읽어보기

☞글쓴이의 마음이 드러나도록 몸동작과 함께 어조와 빠르기를 주의하여 읽도록 하게 한다.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 공부할 내용을 예고한다.
▣다음시간에 공부할 내용을 알아본다.
마음이 나타난 부분을 생각하며 글 읽어봅시다.
다. 판서 계획
4. 마음을 주고받으며
♣ 글쓴이의 마음을 생각하며 실감나게 시를 읽어 봅시다.
<학습활동 순서>
【활동1】시와 그림 보기
【활동2】글쓴이의 마음이 되어
읽기
【활동3】쪽지 쓰기
까마귀에게 말하는
여자아이의 말풍선 그림
라. 형성 평가 계획
평가
영역
평가 내용
평가척도
평 가 기 준
평가
시기
평가방법
인지적
글에서 마음이 나타난 부분을 찾는가?

글에서 마음이 나타난 부분을 찾아 글쓴이의 감정을 적절한 단어로 말한다.
수업 중
관찰

글에서 마음이 나타난 부분을 찾는다.

글에서 마음이 나타난 부분을 찾지 못한다.
기능적
시에서 나타나는 마음을 생각하며 시를 낭독하는가?

글쓴이의 마음을 생각하며 실감나게 시를 낭독한다.
수업 중
관찰

글쓴이의 마음을 생각하며 시를 낭독한다.

글쓴이의 마음을 생각하며 시를 낭독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정의적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글을 읽으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는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글을 읽으며 흥미를 갖고 참여한다.
수업 중
관찰

글을 읽는 활동에 성실하게 참여한다.

글을 읽으려는 태도가 소극적이다.
6. 결론
위 분석에서 우리는 2학년 2학기 4.마음을 주고받으며 수업의 1차시를 대상으로 적절한 모형을 비교분석 해보았다. 우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위 수업은 총 6차시중 1차시에 해당한다.
2. 차시의 흐름상 ‘이해학습’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3. 해당 차시의 언어 사용 목적은 ‘정서표현’이 아닌 ‘사회적 상회작용’이다.
4. 해당 차시의 목표는 ‘마음 알기’와 ‘분위기 있게 읽기’이다.
5. 해당 차시의 제시된 작품은 문학이지만 수업상 목표는 텍스트 안에서 정보를 찾는 것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위 분석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우리는 지식 탐구 학습 모형을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물론 처음에 밝힌대로 위 모형이 해당 수업에 완벽하게 적합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기타 모형의 적용에서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이나 ‘역할 수행 학습 모형’, ‘직접 교수 모형’도 비교적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어떠한 모형이 완벽하다고 정의할 수 없으므로 교사의 노력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업모형간 재구성, 통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자료 및 문헌
신헌재외 10, 초등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박이정, 2009.
교육과학기술부(2009). 국어 교사용 지도서(2-2). 미래엔컬처그룹 주식회사
김병수, 초등학교 국어과 통합적 수업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0
박기용, 국어과 교육의 구조와 이론, 월인, 200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10.0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