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환경][친환경도시][개발제한구역][친환경도시의 방향]도시환경의 개념, 도시환경의 결정요인, 친환경도시의 개념, 친환경도시의 목표, 친환경도시의 개발제한구역, 향후 친환경도시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환경][친환경도시][개발제한구역][친환경도시의 방향]도시환경의 개념, 도시환경의 결정요인, 친환경도시의 개념, 친환경도시의 목표, 친환경도시의 개발제한구역, 향후 친환경도시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도시환경의 개념

Ⅲ. 도시환경의 결정요인

Ⅳ. 친환경도시의 개념

Ⅴ. 친환경도시의 목표

Ⅵ. 친환경도시의 개발제한구역

Ⅶ. 향후 친환경도시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신천복원운동 그리고 매립지 생태복원운동 등을 통해 도시녹화 운동의 선례로 알려졌다. 부산시의 경우 2002년 한일 월드컵과 부산 아시안 게임을 맞이해 푸른부산 가꾸기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해 민, 관, 언론이 하나가 된 마을 만들기 사례로 부산의 이미지 모습을 바꾸어 놓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태양에너지와 녹색도시를 지향하는 광주시는 최근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선진환경친화도시 만들기에 도전하고 있다. 푸른 길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슬럼화되는 폐선로 주변을 방지하고 가로수 등의 도시환경에 노력하고 있는데 이 프로젝트는 성공할 경우 민관파트너십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또한 경북 상주시는 자전거도시로 부각되고 있다. 상주시는 지형적으로 평탄한 곳에 도시가 형성되어 자전거를 탈수 있는 공간이 많이 확보되어 있는데 해마다 상주 자전거 축제를 여는 등 다양한 행사를 벌이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환경친화적 도시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친환경도시계획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며 살기 좋은 도시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안제(1979) : 환경과 국토, 서울 : 박영사
박병욱(1991) : 우리나라 환경 오염의 현황과 오염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태윤(1996) : 환경친화적 지역개발제도의 구축방안, 한국환경기술개발원
시민환경연구소 : 생태도시로 가는 길
양윤재(1982) : 도시환경과 녹지공간, 한국조경학회지 10(1)
이노우에 도시히코(2004) : 세계의 환경도시를 가다
장원(1999) : 우리나라 도시환경정책과 NGO의 활동, 도시문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 가격5,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