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체험광관의 현황과 개선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농촌관광의 의미와 국내외 동향
(1) 농촌관광의 의미
(2) 국내 농촌관광 동향
(3) 선진국의 앞선 경험

2. 농촌관광의 필요성
(1) 관광적 측면
(1) 경제적 측면
(1) 환경적 측면

3. 농촌관광의 전망

4. 농촌관광지의 성공사례
(1) 포천 교동마을
(2) 서천 합전마을
(3) 화천군 신대리 (토고미 마을)

5. 농촌관광의 개선점
(1) 농촌관광 기반 구축
(2) 농촌관광 공급 부문 관리
(2) 농촌 수요 부분 창출
(4) 농촌다움을 보존하고 재창조
(5) 주민주도로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관광 아이템을 개발
(6) 소프트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외부 자원을 네트워킹

본문내용

)
주요생산품목 : 버섯, 사과, 감자, 옥수수 등
연간농가소득 : 37,000,000원/가구당
위치: 487-933 경기 포천군 관인면 중리 교동 135
□ 논농사 위주의 교동마을은 농산물을 단순 생산-판매해서는 미래가 없다고 보고, 체험민박 마을로의 변신을 추진
- 마을 리더격인 이수인씨가 1994년에 한 관광학 교수의 ‘보고, 듣고, 느끼는 예술적 농업 을 하자’는 강의를 듣고 감명 받은 것이 계기가 됨
□ 1999년부터 6개 농가가 협력해서 체험민박 프로그램을 운영
- 한탄강, 제2땅굴, 궁예성 등 주변 관광자원을 연계
- 있는 그대로의 시골 모습을 체험상품으로 개발 하고 관광객을 유치
□ 청정지역임을 내세워 농산물 직거래도 시작
- ‘토종마을’ 브랜드로 ‘정’을 상품으로 하여 마을 가꾸기를 계속
- 목화재배와 솜타기, 재래식 탈곡기로 벼수확하기 등 새로운 체험프로그램을 개발
(2) 서천 합전마을
□ 충남 서천의 정의국시는 1997년부터 소비자를 찾아가는 농업이 아닌, 소비자가 찾아오는 농업을 본격 모색
- 선친이 1948년부터 조성한 아리랜드 농장의 변신을 시도
- 마을 주민들을 설득하여 영농조합법인을 만들고 도시민들이 원하는 농촌자원을 발굴하는데 주력
□ 2000년부터 주민들과 함께 ‘계절별 농촌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 5,000평 규모에 조성된 동백나무, 목련, 왕벗나무, 수선화 등을 휴양자원으로 활용
- 마을 앞 갯벌에서 조개캐기, 게잡기, 바다낚시, 조개잡기 등을 실시
- 두부 만드는 아주머니 집, 새끼 꼬는 할아버지 집 등에서 보듯이 가구별로 나이와 능력에 맞게 테마를 발굴하고 민박을 유치
□ 체험프로그램을 매개로 하여 친환경 농산물도 판매
- 유기농 야채, 죽염제품, 토종 돼지, 오리농법 쌀 등을 판매하여 5천만원의 농외소득을 올렸음
(3) 화천군 신대리 (토고미 마을)
□ 1998년 위암수술을 받은 마을 출신 한상열씨가 무공해 농산물에 관심을 갖고 무농약 쌀을 재배하기 위해서 귀향
- 2년간 혼자서 재배방법을 연구한 후 2000년에 7가구로 오리농법 작목반을 결성
□ 2001년부터 오리쌀의 판로 확보를 위해 도시 회원을 모집하고 토고미 오리축제를 개최
- 도시 회원이 3만원을 내면 추석에 무공해쌀 한 말을 보내주는 전략을 채택
- 오리축제에는 마을이 생긴 이래 최대인 1,200명의 회원이 방문
□ 마케팅에 눈을 뜬 주민, 헌신적인 공무원, 외부전문가가 협력하여 성공 사례를 만들어냈음
- 도시민 가족회원 대폭증가 (150호에서 1,100호로 증가)
- 주민의 자신감과 역량 강화
- 경제적 소득 증대 (부가가치 창출액 호당 300만원)
- 농업 농촌 자원의 가치 재발견
5. 농촌관광의 개선점
(1) 농촌관광 기반 구축
믿을 수 있는 농산물 생산, 아름답고 개끗한 농촌 환경과 경관 정비, 기업가정신 갖춘 인적자원 육성, 대중관광과 차별적인 체험 프로그램 제공 등
(2) 농촌관광 공급 부문 관리
정책적으로 이미 육성한 관광마을에 대한 평가와 관리를 도모하면서, 향후 관광 마을 육성은 단계별로 접근
(3) 농촌 수요 부문 창출
“휴가는 농촌에서” 국민적 인식의 보편화와 정착을 위해 5도2촌, 1사1촌운동 등 수요자 동기 자극 정책 구체화, 초중학교 학생의 농촌체험학습 제도화 등 시도하고 중앙정부, 지자체, 기업, 민간의 역할 분담과 협력체계를 구축
(4) 농촌다움을 보존하고 재창조
□ 농촌관광의 기본자원이 농촌다움의 보전과 재창조에 있음을 명심
- 도시의 번잡함과 대조되는 조용함, 자유로움, 쾌적함 등을 느낄 수 있도록 경관 및 어메니티를 정비
- 꽃길 조성, 건물외관 정비, 마을 숲 가꾸기, 자연친화형 하천정비 등의 사업을 추진
□ 도시민들이 농촌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소프트를 개발
- 소비자가 농촌을 찾아와서 직접 체험을 하고 무공해 농산물도 구입할 수 있는 네트쿼크를 구축
- 도시민들이 안전한 먹거리의 구매, 자연체험, 휴양 등을 통해 농촌에 대해 관심을 가지도록 도농교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
(5) 주민주도로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관광 아이템을 개발
□ 주민의 의식 개혁 및 지역공동체 형성이 농촌관광의 성공을 위한 전제 조건
- 농촌관광의 많은 시도들이 성공하지 못하는 것은 발전방향에 대한 비전이 없는 주민들의 열정과 참여가 부족하기 때문
- 처음에는 주민 의식전환과 참여, 공감대 형성, 인재육성 등에 중점을 두고 점차 전문가 교육, 선진사례 벤치마킹 등을 실시
- 마을 발전을 주도할 리더를 발굴하고 추진 조직을 갖추면서 대표 농가를 집중 육성
□ 외부지원이 자칫 주민들의 자발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부는 생활 인프라, 행정규제 완화 등 간접적 여건 조성에 주력
- 지역의 자체 역량을 축적하면서 자연경관 정비, 환경 친화적 기반시설건설 등을 장기적으로 추진
- 농지구입 농가주택 임대, 농가주택 개조 등에 대해 규제와 세부담을 완화
(6) 소프트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외부 자원을 네트워킹
□ 주민의 전문지식 및 서비스 능력을 배양
- 농업생산에 익숙한 농업인들은 관광서비스업에 대한 마인드와 노하우가 부족하므로 이를 보완해 주어야 함
□ 문화유산, 자연환경 등 지역이 보유한 유무형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의 소프트 자원을 축적
-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지적재산권으로 등록하거나 캐릭터와 이야기 등으로 변형시켜 가치를 제고
□ 내외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해당 마을이 부족한 핵심역량을 보완
-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여 주민들에게 지역문화, 마케팅, 고객접대, 회계, 시설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
- 도시소비자 및 각종 단체와 도농교류 네트워크를 결성
- 타 지역의 마을, 중앙 및 지방 행정기관들과 협력하여 사업아이디어를 발굴하고 필요시 행정지원을 획득
<참고문헌>
농촌관광의 현실과 비전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관광의 가능성과 발전방향 / 삼성경제연구소
2008 농촌지표 / 농촌진흥청
농촌관광마을사업 평가 / 국회예산정책처
아리랜드 http://new.hi-farm.com/store/
교동마을 http://www.xn--9d0bz7jhpfs8p.com/
한국농촌관광대학 http://www.slowtour.net/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6.23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