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식물 특징][은행][은행열매][은행(은행열매) 효능][은행나무 특징][은행나무 효능]식물의 분류, 식물의 구조와 기능, 은행(은행열매)의 특징, 은행(은행열매)의 효능, 은행나무의 특징, 은행나무의 효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식물 특징][은행][은행열매][은행(은행열매) 효능][은행나무 특징][은행나무 효능]식물의 분류, 식물의 구조와 기능, 은행(은행열매)의 특징, 은행(은행열매)의 효능, 은행나무의 특징, 은행나무의 효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식물의 분류
1. 나자식물[Gymnosperm]
2. 은화식물[隱花植物, cryptogams]
3. 현화식물[顯花植物, flowering plant]
4. 경엽식물[莖葉植物, cormophyte]
5. 엽상식물[葉狀植物, thallophytes]
6. 관속식물[vascular plant]

Ⅱ. 식물의 구조와 기능
1. 잎의 구조와 증산
2. 줄기의 구조와 물질수송
3. 뿌리의 구조와 흡수

Ⅲ. 은행(은행열매)의 특징

Ⅳ. 은행(은행열매)의 효능
1. 기침할 때
2. 어린이의 야뇨증(夜尿症)
3. 부녀자의 대하증(帶下症)
4. 아이가 밥을 안 먹을 때(감병-疳病)
5. 고혈압

Ⅴ. 은행나무의 특징

Ⅵ. 은행나무의 효능
1. 잎
2. 열매
3. 은행과즙
4. 수피
5. 목재
6. 조경·분재
7. 가로수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품으로서도 다양한 개발이 진행 중이며 보건복지부는 은행잎을 차의 원료로 사용토록 허가한 바 있다.
은행잎에 관한 세계 특허가 90여종에 이르며 국내 62개 제약회사와 12개 화장품회사에서 관련제품이 생산되고 연구가 진행되는 것을 보거나 독일 프랑스 등에 수출한 예를 보더라도 은행잎의 효용성은 더할 나위가 없다.
더구나 한국 은행잎의 유효성분 함량이 다른 나라의 그것보다 20-100배에 달한다고 하니 기대가 크다.
음력 5월에 따서 그늘에 말린 은행잎 35그램에 감초 15그램을 넣고 달인 물을 수시로 마시면 몸 안에 쌓인 독을 풀어주고 혈압을 내리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2. 열매
은행열매는 외종피 중종피 내종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종피는 연질로 되어있고 나무에 붙어있을 때는 냄새가 나지 않지만 떨어져 으깨지면 고약한 냄새가 나고 옻이 타는 경우도 있다.
고약한 냄새 때문에 가로수로서 암나무는 적당하지 않으나 이십년 이상 자라온 실생묘 가로수에서 은행이 열리는 나무를 어찌하랴.
어떤 이는 고약한 냄새가 은행나무를 이토록 오랜 세월 지켜왔던 무기라고 주장한다.
중종피는 살구처럼 하얀색을 띄고 있으며 두개 또는 세 개의 주름이 있고 시중에 가장 많이 유통되는 형태이다.
식용으로 쓰이는 연질부분을 덮고 있는 얇은 막이 내종피인데 이는 열을 가하면 쉽게 벗겨지고 은행의 독성이 이곳에 있다고 하므로 식용으로 복용할 때는 반드시 제거해야 할 부분이다.
은행의 주요 성분은 수분 55% 단백질 5% 탄수화물 35% 지방 1.5%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g당 에너지는 172Kcal 정도이다.
은행알은 맛과 향이 뛰어나고 영양이 풍부하여 각종 음식의 재료나 술안주로 이용되고 은행술을 담그기도 한다.
또한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폐결핵환자나 천식환자가 복용하면 기침에 좋고 가래를 삭이는 역할을 한다. 이런 효과는 은행이 호흡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염증을 억제하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은행은 또한 가래 천식 숙취 전신피로회복 성욕감퇴 여성대하증 어린이야뇨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은행알은 독이 들어있어서 날로 먹거나 한꺼번에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으며 동의보감에 의하면 많이 먹을 경우 배아픔 구토 설사 발열증세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은행에 중독되었을 경우 사향을 한 스푼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시거나 감초 달인 물을 마시면 해독이 된다.
얼마나 많이 먹으면 해가 되고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는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기보다는 민간요법에서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성인기준 하루 4-5개씩 먹으면 좋다는 견해도 있고 15-20개씩 먹으면 좋다고도 한다.
그러나 경험에 의하면 맛과 향이 좋아서 4-5개만 먹는 것은 보통의 인내심으로 어려운 일이며 하루 30-40개씩 수개월을 복용했는데도 해가 되는 징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익혀서 먹으면 은행에 있는 독소가 없어지는 것은 확실한 것 같다.
익혀 먹는 방법도 여러 가지이다 손쉬운 방법은 종이 우유팩에 은행알을 10-20개 넣고 전자렌지에 1-2분 익혀서 먹는 방법도 있으나 후라이팬에 식용유와 소금을 약간 넣고 익히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
현재 은행은 중국 일본 한국에서 주로 생산되며 중국이 전생산량의 90%이상을 차지하고 홍콩 일본 싱가포르 태국 대만 등지로 수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생산량은 연간 약1000톤정도이며 40%이상이 충청남도에서 생산되고 있다.
3. 은행과즙
은행과즙은 심장기능과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폐를 튼튼하게 한다고 하여 가래 천식 가슴앓이 설사 등을 치료하는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은행알을 주워 모아서 깨끗한 푸대에 담아두면 상당히 많은 양의 과즙이 생기는데 복용 시 특유의 냄새가 나지만 익숙해지면 복용의 어려움은 없으니 조석으로 소주잔으로 반잔씩 장기간 마시면 좋은 효과를 볼 수가 있다.
4. 수피
나무껍질은 염재를 얻는데 사용되며 9월경에 물에 20분 정도 끓여서 색소를 추출하여 옅은 갈색을 얻을 수 있으나 더 연구해야할 분야이다.
5. 목재
실생 은행나무의 경우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목재로서의 가치 또한 기대가 된다. 특이한 문양이 없어 가구재나 내장용도로는 부적합하나 재질이 우수하여 바둑판 소반 도마 공예품 제작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아직 목재용도로의 계획적인 재배사례가 없어 용도 또한 개발되지 않고 있으나 생산량이 많아진다면 나이테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고 수축률이 낮으며 두틀림현상이 낮은 점 등을 이용하여 생활소품의 재작 등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6. 조경·분재
가을-단풍-노란은행잎으로 연상되리만큼 은행나무는 노란은행잎이 가을의 추억과 상징으로 대표되는 나무이다.
신사다운 의젓함, 병충해를 가까이 하지 않는 청결함의 멋을 고루 갖춘 은행나무 분재를 상상해보자. 은행나무는 훌륭한 조경수의 모든 자격도 함께 갖추었다. 우선 수형이 아름답고 생장성이 양호하여 여름에는 푸른잎을, 가을에는 노란단풍의 정취를, 겨울에는 늠름한 자태를 보여주는 이보다 더 훌륭한 조경수가 어디 있겠는가.
7. 가로수
서울시의 시수가 은행나무이며 전국 어느 도시 어느 지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가로수는 은행나무이다. 어디서나 잘 자라고 공해에 강하며 특히 관리비용이 적게 드는 가로수로서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기에 가장 많은 市木, 道木, 郡木, 校木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을까.
전국의 모든 도로에 은행나무 가로수를 심어 노란색으로 하늘을 물들이는 수십 년 후의 도시풍경을 상상해 보자.
애써 주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할 필요도 없다 전지전정도 필요 없다. 심은 후 초기에 시비만 잘 해준다면 이처럼 관리비 예산이 적게 드는 가로수는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상진, 역사가 새겨진 나무이야기, 김영사, 2004
박홍덕·박재홍·박선주·정병갑, 식물계통분류학, 월드사이언스, 2006
이우철, 한국식물 명의 유래, 일조각
이유성, 현대 식물분류학, 도서출판 우성, 2004
이유미,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나무 백 가지, 현암사, 1995
홍태희·김기원·최은숙·기대현·정의숙·김숙희, 현대식품재료학 - 은행의 성분, 지구문화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