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필요성 및 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필요성 및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보육제도 평가인증제도란?
2. 보육의 질의 결정요인
3. 평가인증제도 도입의 필요성
4.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목적
5.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과정
6. 보육시설 평가 인증 지표
1) 내용
2)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에 따른 평가 예시
7. 외국의 평가인증제도
1) 미국
2) 호주

참고자료

본문내용

를 구성하여 지표에 따라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개선 계획을 세워 자체점검보고서를 작성한 다음, NCAC로 제출한다. 3단계(현장관찰)에서는 현장관찰자들이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을 방문하여 평가한 후 현장관찰보고서를 NCAC로 제출한다. 4단계(심의)에서는 심의위원들이 보육시설의 자체점검보고서, 설문지, 현장관찰보고서의 내용을 참고하여 각 시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 질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작성한다. 마지막 단계(인증 결정)에서는 시설에 대한 모든 자료를 바탕으로 NCAC가 최종인증(인증, 불인증)을 결정한다. 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은 사후점검을 통해, 불인증된 보육시설은 6개월 내에 개선안과 자체점검보고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사후관리가 실시된다.
평가인증지표는 1994년에 처음 제정된 이후 2002년에 개정되어 52개 평가 항목의 내용을 10개 영역으로 재편성하면서 35개 항목으로 축소되었다. 이는 다시 2005년 이후 7개의 영역 33개의 평가 항목으로 축소되어 2006년 6월부터 평가인증 과정에 적용되었다. 또한 2006년부터 개발하고 있는 통합된 평가인증제도(CCQAS)에서는 17개 영역 61개의 평가항목으로 지표를 구성하여 모든 보육시설에 동일하게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낼 경우 영유아보호수당(CCB; Child Care Benefit)인 양육비를 자녀보육보조금의 형태로 약 80%의 보육비용을 지원하고 부모는 20%의 보육비용을 부담한다(이순영 외, 2008).
위에서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 표와 같다.
미국, 호주, 한국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체제
구분
미국
호주
한국
목적
교육,보육의 질 향상과
전문성 발달
양질의 보육을 종사자
이용자에게 모두 제공
종사자 및 부모의 참
여 보육시설의질개선
대상
자발적으로 인증평가를
신청하는 모든 유아교
육기관
4세이하 유아를 위한 모
든 기관 (의무적)
자발적으로 평가 인
증을 신청하는 보육
시설을 대상으로선정
주관
기관
NAEYC
(전미유아교육협회)
NCAC
(전국보육인증위원회)
보육시설평가인증사무국
단구
· 자체평가
· 외부평가자
· 자체평가위원회
· 평가자
·자체평가위원회
· 조력자

인증위원회
조정관
NCAC
· 현장관찰자
· 평가인증심의
위원회
절차
·자체점검신청(Enrolling in self-study)
·자체점검 진행(Becoming a candidate)
· 현장관찰 준비
(Becoming a candidate)
·현장관찰 및 심의
(Meeting the program
standards)
· 참여신청
· 자체점검
· 현장관찰
· 심의
· 인증결정
·인증신청 및 접수
· 자체점검
· 현장관찰
· 인증결정
· 사후관리
결과
· 인증
· 인증 지연
· 인증거부
· 인증
· 불인증
· 인증
· 인증유보
· 불인증
결과
활용
간접적 영향
(원아모집 및 지원금모
금에 도음)
재인정 기간에 차이가
있음, 부족한 부분에 대
한 실행 계획 세움
정부지원금 연계계획
내용
1. 관계
2. 교육과정
3. 교수
4. 아동평가
5. 건강
6. 교사
7. 가족
8. 지역사회와의 관계
9. 물리적 환경
10. 리더쉽과 운영
1. 아동과의 관계
2. 아동에 대한 존중
3. 가족과의 관계
4. 교사와의 상호작용
5. 계획과 평가
6. 학습과 발달
7. 보호와 교육
8. 건강 9. 안전
10. 품질을지원하는 운영
1. 보육환경
2. 운영관리
3. 보육과정
4. 상호작용
5. 건강과 영양
6. 안전
7. 가족 및 지역사
회와의 협력
한국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는 국가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호주 NCAC의 평가인증제도와 유사하다. 보육시설의 질 관리와 함께 보육시설의 사회적 책무성을 강조하는 부분에서는 호주의 평가인증 제도와 유사하고, 평가인증 절차에 관해서는 5단계로 나눈 호주의 유형보다 인증신청, 자체평가, 외부평가, 인증위원회의 결정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 미국의 제도와 유사하다. 평가결과 유형에 있어서, 인증, 불인증 2단계로 구분하는 호주의 유형과 달리 인증, 인증지연, 인증거부의 3단계로 구분하는 미국의 유형과 비슷한 인증, 인증유보, 불인증의 3단계로 구분하는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평가결과에 따른 지원여부에 있어서 현재 평가결과에 따른 보상이 없는 미국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장기적인 계획에 있어서는 호주와 같이 평가결과를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연계하려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미국과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시사점(이재완·류수연, 2006)은 우리나라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보육예산이 인증제도를 통해 보육의 질을 높이는데 사용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으며, 인증제 운영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의 정보공유가 중요하고, 평가받은 기관과 그렇지 않은 지관에서의 차이를 종사자들의 정확한 인식과 이해가 이 제도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수한 보육시설의 질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참고자료
1. 서문희이상헌임유경,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의 도입방안연구, 『한국보건 사회 연구원』, 2002.
2. 유희정 외, 보육시설 인증제도 실시모형 개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3.
3. 유희정, 보육발전 기본계획 시안개발, 『한국여성개발원』, 2002.
4. 유은미, 보육시설 종사자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 한서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0.
5. 이대균, 한국과미국, 호주의 보육시설평가인증제도 비교분석, 『유아교육학회지』, 제9권 제2호, 2005.
6. 이미애,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논문, 2007.
7. 이순영 외, 보육학개론, 『학지사』, 2008.
8. 이옥,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보육의 질, 한국보육학회 추계학슬대회자료집, 2002.
9. 이윤정,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2005.
10. 이재완류수연,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006.
11. 최명희김선영, NAEYC 평가인증제의 개정에 관한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제11권 1호,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1.0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