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거생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일본의 촌락형태
2. 기후와 일본식 주택양식의 특징
3. 주택의 내부 구조
4. 방의 크기
5. 일본의 전통가옥
6. 일본식 주택에서 주의할 점
7. 다다미 (たたみ)
8. 갓쇼즈쿠리
9. 아파트
10. 고타쓰
11. 이로리
12. 후스마
13. 쇼지
14. 도코노마
15. 게슈쿠
16. 가시야, 시키킨, 레이킨
17. お庭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 나무 창살이 방 안쪽에 오게 되어 있어서 바깥에서 보면 한지만 보이고 창살이 보이지 않는 것이 일본식 주택의 특징이며 채광을 목적으로 한다.
14. 도코노마
일본의 갸쿠마라는 방에는 한쪽 벽에 바닥보다 한 단 높은 곳이 있는데 이러한 곳을 도코노마라고 한다. 대개 다다미 한 장 넓이에도 못 미치는 좁은 공간이지만 벽에는 족자를 걸거나 꽃병을 놓아두기도 한다. 이 도코노마 앞자리가 일본식 방에서는 가장 상석이 된다. 도코노마에 가까울수록 상석이고 출입구에 가까울수록 낮은 자리가 된다.
15. 게슈쿠
게슈쿠는 우리말로는 하숙이 된다. 우리나라의 하숙은 숙소와 식사를 모두 유로로 제공하는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일본의 게슈쿠는 우리의 월세와 같이 집이나 방을 빌려 자취하는 형식이다.
16. 가시야, 시키킨, 레이킨
가시야는 셋집을 가리킨다. 일본 셋집의 경우 월세가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월세의 경우 야친이라 하는데 한국의 계약금에 해당하는 시키킨을 낸다. 시키킨은 월세의 한 배에서 8배에 이르는 곳까지 다양하다. 시키킨 외에 레이킨이라는 사례금까지 내는 지역도 있다. 레이킨은 월세의 한 배에서 3배 정도까지 지불하는 것이 통례이다. 시키킨과 달리 레이킨은 다시 돌려받을 수 없다. 시키킨의 경우에도 집에 손상을 입혔을 경우 원상태로 복구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비용을 제하고 돌려주는 점이 한국과 다르다.
17. お庭
일본 정원에는 교목과 관목 뿐 아니라 바위, 모래, 인공 언덕, 연못, 유수 등이 예술적으로 사용된다.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서양식의 정원과는 달리 일본정원은 전통적으로 가능한 한 인공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자연에 가까운 경관을 조성하였다.
경관조성을 위해 정원 조경사들은 3가지의 기본 원칙을 따르는데 그 원칙이란 바로 규모의 축소, 상징화, ‘경치의 차용’등이다. 첫 번째 원칙은 산과 강의 자연적 경관을 축소하여 만듦으로서 제한된 공간에 모두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시 안에 산간마을의 경관을 창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징화’는 예를 들자면 흰 모래가 바다를 상징하는데 쓰이는 것과 같은 추상성을 뜻한다. 조경사들은 정원 뒤 또는 주위의 배경경관을 이용하여 그 ‘경치를 차용’ 하는데 이는 경관조성의 주요한 부분이 되었다.
결론.
일본의 촌락은 주로 산 밑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한국의 촌락과 달리, 들 가운데에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여름형 주거로 개방적인 주택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지진에 대비한 주거로는 목조 건축과 붙박이식 가구가 있다. 일본 주택관련용어를 살펴보면 다다미, 도코노마, 고타쓰, 쇼지, 후스마, 이로리 등이 있으며 일본식 주택에서 주의할 점은 첫째, 현관에 들어갈 때에는 신발을 나올 때 신기 편한 방향으로 돌려놓는 것과 둘째, 일본식 방에서는 도코노마의 앞부분이 가장 상석이라는 점이다. 셋째로는 손님에게 목욕을 맨 먼저 할 것을 권하는 풍습이 있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 유지원과 함게하는 전공일본어 下 (유지원)
- 일본 문화를 알다 (교육과학기술부)
- 일본사정입문 (다락원)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2.28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