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외환시장, NDF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외환시장, NDF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외환시장의 의의
2.외환시장의 구조
3.외환거래의 분류
4.우리나라의 외환시장 포지션 관리제도
5.NDF(차액 결제 선물환)

본문내용

의해 움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직접적인 규제가 장기화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탄력적인 환율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역외 선물환(NDF) 거래 규제정부가 환율 방어를 위해 극약 처방을 내렸다.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를 사들이는 것만으로는 약발이 안먹히자 역외선물환(NDF) 거래를 제한하는 직접규제에 나선 것이다. 신문, 방송마다 이 소식을 크게 전했지만 일반인에겐 NDF라는 말자체가생경하기만 하다.
NDF는 두 가지 의미가 복합된 말이다. 우선‘역외’다. 즉 국내에 서는 시장이 아니라 홍콩, 싱가포르 등에 있는 시장이다. 시장이라고 해서 거래소 같은 곳이 있는 것은 아니다. 외환딜러들의 컴퓨터 속에 있는 가상의 시장일 뿐이다. 국내에서 거래를 하면 외환관리법 등 복잡한 규제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거래 장소를 외국으로 옮긴것이다. 1996년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지만 당시엔 하루 거래량이 2억달러 에도 못 미쳤다. 99년 4월 외환자유화조치로 정식 시장으로 인정을 받았다. 지금은 하루 거래량이 20억 달러를 넘는다. 국내 외환시장의 거래량과 맞먹는 규모로 커졌기 때문에 원화 환율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NDF의 두 번째 의미는‘선물 환’이다. 선물환은 장래 일정 시점에 미리 약속한 값으로 달러를 사고팔기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예컨대 한달 후 달러당 1천2백원에 1백만 달러를 사기로 하는계약 같은 것 이다. 선물 환거래는 왜 필요할까? 환율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다. 예컨대 홍콩계 주식투자가‘왕대박’씨가 한국에 1백만 달러를 투자 했다고하자. 현재 환율은 달러당1천2백원 이다. 왕대박 씨는 한국에서 달러를 원화로 바꾸면 12억원을손에쥔다. 그런데 한달 뒤 왕대박 씨는 다시 투자금을 달러로 바꿔 본국으로 송금해야한다고치자.
문제는 그사이 환율이 바뀔 수 있다는 것 이다. 한달 뒤 환율이 달러당 1천원으로 떨어지면 12억원으로 1백20만 달러를 살수 있으니 왕대박씨는 주식투자를 안 해도 20만 달러를 앉아서 벌게 된다. 그러나 환율이 1천5백원 으로 뛰면 12억원으로 80만달러(12억원/1천5백원)밖에 살 수 없어 20만 달러를 손해 본다.이익도 싫고 손해도 싫은 왕대박씨는 어떻게 해야 환율 변동의 위험을 없앨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을 하다 나온 게 선물환 이다.왕대박씨가 한국에 1백만 달러를 가지고 와서 환전하는 날 한달뒤 1백만달러를 현재의 환율인 달러당1천2백원에사는계약을동시에맺는다고해보자.즉 현재 달러 현물 1백만 달러를 팔고 한 달 뒤 달러 선물 1백만 달러를 사는것이다. 그럼 무슨 일 이벌어질까? 만약 한달 뒤 환율이 달러당 1천원으로 떨어졌다고 해보자. 왕대박씨는 달러현물 거래에서 주식투자금 12억원으로 1백20만 달러를 살 수 있어서 20만 달러를 번다. 그러나 선물 거래에선 달러당 1천2백원에 1백만 달러를 사야 하기 때문에 20만 달러를 손해 본다. 현물에서 번 20만 달러로 선물 손해 20만 달러를 갚으면 왕대박 씨는 손해도 이익도 보지 않게 된다. 즉환율 위험에서 벗어난다. 마찬가지로 한 달 뒤 환율이 달러당 1천5백원이 된다면 이번엔 현물 거래에서 20만달러를 잃고 선물 거래에서 20만달러를벌게돼역시환율변동으로인한위험을피할수있다.환위험 회피 - NDF시장NDF 시장은 이처럼 한국에 달러를 가지고 들어가거나 가지고 나와야 하는 사람들이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물환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다만 원화는 아직 외국에서 실물을 거래하는 게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달러와 원화를 직접 주고받지는 않는다. 선물 계약이 만기가 되는 날 손해를 본 쪽이 이익을 본 쪽에 차액을 달러화로 결제한다. 앞의 왕대박씨 예로보자. 한달뒤환율이달러당1천원이됐을경우왕대박씨에게달러 선물을 판 은행은 20만달러를 손해 보게 된다. 따라서 1백20만달러를 주고받지 않고 20만달러만 왕대박씨 계좌에 넣어준다. 그렇다면 정부가 NDF시장에 대한 직접규제를 한 것은무슨이유때문일까. 다시왕대박씨의예로돌아가보자. 한국에달러현물1백만달러를투자한(달리말해달러현물을판) 왕대박씨는환율변동의위험을피하기위해1백만달러어치의 달러 선물을 샀다. 즉 현물을 팔면 선물을 사야 위험이 반대방향으로분산된다.
(11) 5.25일 뉴욕역외환율 과 국제외환시장동향
고가: 947.5 저가:942.5
23일 뉴욕 외환시장에서 유로화 가치가 주요통화에 대해 일제히 하락했다. 거듭된 유로 가치 상승이 유럽 지역의 수출 둔화를 야기해, 성장률을 떨어뜨릴 것이란 우려가 퍼졌다.
뉴욕 현지시각 오후 3시2분 유로/엔 환율은 전일 143.54엔에서 143.15엔으로
하락했다.
이날 유로 가치는 한국 원,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브라질 헤알, 싱가포르
달러, 대만 달러 등 기타 통화에 대해서도 일제히 약세를 나타냈다.유로/달러 환율은 전일 종가와 큰 변화가 없는 1.2868달러를 기록했다. 올들어 유로 가치는 달러에 대해 8% 올랐다. 이에 따라 프랑스 재무장관 티에리 브레튼을 비롯한 유럽 정부 관계자들은 거듭 유로 강세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Reference_
신상기, 『최신외환시장』 무역경영사
한국은행 웹사이트 http://www.bok.or.kr
서울외국환중개 http://www.smbs.biz
한국은행 외환 업무팀 보고서 “서울외국환시장의 구조 및 동향” - 2003.07
김석진 외5인 공저, 한국 증권 시장론, 서울 : 삼영사, 2002
박수웅, 증권시장, 삼영사, 2001
이종길, 한국증권시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남대학교, 1987
이준섭, 증권시장의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2001
코스닥시장 구조개선 방안, 한국증권연구원, mimeo, 2000
코스닥의 시장 중심적 운영방안, (주)코스닥증권시장, 미 발행 내부자료, 2001
코스닥 현안에 대한 견해, (주)코스닥증권시장, 미 발행 내부자료, 2001
서울사회경제연구소, 국제 금융자본과 한국경제, 한울 아카데미, 2007
주호식, 국제금융(이론과 실무), 대진, 2008
한헌주, 국제금융론, 경문사, 2008년 제 4판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11.26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