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주기 간호(전반적인 내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주기 간호(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거나 말초혈액을 채혈하여 검사한다. 수술 전후에 혈당이 높거나 낮은 대상자는 처치가 필요하다.
(5) 수술 당일 아침 간호
preoperative check list
① V/S checked (BP, BT)
② 심리적인 상태
③ skin preperation 여부
④ 밤사이 소변량 대변횟수
⑤ pt의 위치,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
⑥ 반지 등 신체 부속물을 빼도록 함
⑦ 수술복 착용 시 속옷을 모두 벗었는지 끈이 뒤로 가게 입었는지
⑧ 매니큐어는 지웠는지
⑨ 금식을 잘하고 있는지
⑩ 수술 후 검사결과가 나와 있는지 관찰
(6) 수술 전 투약
① 목적 : 수술전 불안을 제거하기 위함, 외과적 마취상태를 쉽게 할 수 있음
② 투약시간 수술 30분전에 투약
③ 투약의 3가지 종류 : 진정제, 마취 성 진통제, 점액분비 감소제
2) 수술 중 간호
(1)신체준비
: 환자가 수술대 위에 안전하게 자리 잡은 후, 간호사는 환자에게 필요한 모니터 장치들을 부착하고(환자가 한 눈에 보이도록) 의료인은 필요한 부위의 피부소독을 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2) 체위
: 마취된 환자는 주위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을 스스로를 보호하지 못하므로 상해를 입기 쉽다.
· 안전 : 침상난간, 안전벨트 , 안전기구
· 체위 : 적절한 체위 유지
(3) 수술 중 기록 (기록의 유지)
: 거즈의 관찰(수와 무게), 수술 중 사용된 기구 바늘의 숫자 계산, 수술 시 사용된 전자기구의 기본 유지, 작동된 모니터, 지혈대의 위치 등을 확인한다.
(4) 수술 중 간호사의 역할
① 순회간호사
: 환자가 수술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수술 전 사정을 한다. 필요로 하는 기구와 물품고급, 수술실 조명 조절, 생검한 검사물을 검사실로 보내기, 멸균물품이 든 수술 꾸러미 펼치기 등 무균술 실시와 안전한 수술실 환경점검 및 오염된 기구를 치우는 업무를 책임진다. 수분과 전해질 균형유리를 위하여 마취의사와 함께 수술 동안의 혈액소실량, 소변과 비위관 배액을 잘 관찰한다. 수술환자의 저체온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의 온도를 18~21℃사이로 유지한다.
② 소독간호사
: 소독간호사는 수술절차 동안 멸균영역을 유지하는 책임을 지고 엄격한 외과적 무균술을 지킨다. 수술과정에서 필요한 물품들을 제공하고 처리한다. 다양한 기구 사용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고, 거즈와 수술 기구에 대해 책임을 진다.
3) 수술 후 간호
(1) 회복실의 수술 직후 간호
①수술 직후 환자는 집중감시를 위해 회복실로 옮겨진다.
②환자의 전반적인 상태 ~ 안정 상태, 통증, 신경학적 상태 등을 사정
1. 수분전해질 균형
2. 맥관계 기능(순화상태)
3. 드레싱, 튜브, drain
③호흡기와 순화기 상태를 매 15분마다 혹은 더 자주 평가한다.
(2) 병실의 수술 후 간호
① 체위 : 수술 후 환자는 처방에 따른 체위를 취하지만 특별한 처방이 없는 이상 환자가 선호하는 체위를 취해주도록 한다. 척수마취를 한 환자는 8~12시간 동안 똑바로 누워있도록 하고 무의식이나 반의식 환자는 측위를 취하거나 구강 내 분비물 배출이 용이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② 심호흡과 기침
③ 다리운동
④ 움직임
⑤ 수화
⑥ 정상적 장배설과 적절한 영양관리 : 가벼운 식사 - 정상식이
⑦ 배뇨 : 보통 수술 후 8~12시간 내에는 자가배뇨를 한다.
⑧ 통증 : 수술 후 12~36시간이 최대, 2-3일 후 감소 (진통제 투여 : 수술 당일 3-4시간 마다, 수술 후 3일 째 먹는 진통제)
⑨ 창상간호 : 드레싱이 깨끗하고 건조된 상태인지를 규칙적으로 점검
⑩ 자아개념의 유지/ 증진 : 상처의 모양, 큰 부피의 드레싱, 돌출된 배액관 등 간호사는 산호하는 전 과정동안 환자의 자아개념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배려하면서 필요한 간호를 해야 한다.
⑪ 흡인 - 휴대용 흡인기 : 음압을 생성모터와 배약병 구성
- Gomco pump :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를 압축함으로써 간헐적으로 흡인
- wall suction : 큰 기관에서는 대부분 음압의 관에 연결된 wall suction이 사용되고 있다.
⑫ 위장관 튜브 : 위관 영양 전 후, 투약 전 후, 관이 막히는 경우 위장관 튜브 관리를 한다.
4) 수술 후기의 간호과정 (위의 내용과 반복됨 교수님 ppt)
· 목적 : 합병증 예방과 치유, 수술 후 안전과 안위, 조기에 정상기능 회복
(1) 사정
① 시행 처방 유무 점검
② V/S check : 1시간 후에는 15분마다, 1-2일에는 4시간 마다
③ 조직관류 : 입술, 손톱 밑의 색깔, 피부색과 피부온도
④ 의식수준
⑤ 출혈의 유무 : 수술 부위와 배액량과 색깔 관찰
⑥ 수분섭취량과 배설량 : 손실된 체액확인과 보충
⑦ 쇼크의 증상 관찰 : 맥박과 호흡수 증가, 혈압은 초기에 상승한 후 감소, 뇌로 가는 혈류량 감소로 불안정, 불안징후를 보이면서 허약감, 기진맥진, 창백하고 축축한 피부 등을 나타냄
(2) 간호진단
① 감염의 위험성
② 신체손상 위험성
③ 체액부족 위험성
④ 통증
⑤ 기도개방유지 불능
⑥ 비효율적 호흡양상 가능성
⑦ 자가 간호 결핍 : 목욕/위생, 드레싱/몸치장, 배설
⑧ 지식부족
(3) 계획
① 체위
② 허용된 활동수준
③ 정맥수액과 약물
④ 음식과 음료의 종류
⑤ 섭취량과 배설량
⑥ 임상병리 검사
(4) 수행
① 체위 : 척수마취 8-12시간
② 심호흡 기침 : 폐확장 , 분비물 축적을 막아 폐렴 방지
③ 다리운동 : ROM 운동
④ 움직임과 기동 : q 2hr position change (동일한 압력을 2시간 이상 받게 되면 모세혈관이 허혈상태가 되어 욕창을 유발 할 수 있다.)
⑤ 수화 : 수액요법
(5) 평가
① I/O check
② Bowel sound 청진
③ OP wound & urine을 관찰
④ Deep breathing, coughing, 다리 운동 시 컨디션을 관찰함
⑤ pain, urination, defection, sleeping 과 관련된 문제 확인
⑥ 활동을 잘하고 있는지
⑦ 조직의 탄력성이나 homan 징후가 있는지 관찰
※참고문헌
기본간호학Ⅱ / 송경애 외 / 2008년 / 수문사(서울 서대문구)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0.30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7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