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새라면' 상권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틈새라면' 상권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위치
2. 기본정보
3. 가격정보
4. 마케팅 분석
5. 수익성 분석
6. 내부 및 외부사진
7. 주변정보
8. 상권분석
9. 인구구성
10. 직업직종
11. 통근/ 통학
12. 주거형태
13. 결론

본문내용

7
▼-12.5%
8
▲14.29%
7
▼-12.5%
7
-
10
▲42.86%
=▶밀라노는 분식업종의 업소 수가 전년대비 증가했고,
라면김밥분식업종의 업소 수는 전년도 대비 증가했다.
밀라노상권 내 분식업종의 업소 수는 평균 11.4개이며, 현재 업소 수는 평균보다 많다.
라면김밥분식업종의 업소 수는 평균 6.4개이며, 현재 업소 수는 평균보다 많다.
6) 선택업종 소분류 업소 변화추이
업종
2005년12월
2006년06월
2006년06월
2007년06월
2007년12월
2008년06월
라면김밥분식
8
7
8
7
7
10
국수/만두/칼국수
3
3
3
3
3
5
1
0
0
0
0
0
떡볶이전문
16
10
10
11
10
11
총계
=▶ 라면김밥분식 업종의 업소 수는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전반적으로 소분류 업종의 업소 수가 증가했다.
9. 인구구성
1) 성별,연령별 인구구성
상권명
단위
총인구수
연령
10세이하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이상
밀라노
전체
137
(100%)
8
(6%)
16
(12%)
27
(20%)
22
(16%)
22
(16%)
19
(14%)
23
(17%)

68
(100%)
4
(6%)
9
(13%)
13
(19%)
12
(18%)
11
(16%)
9
(13%)
10
(15%)

69
(100%)
4
(6%)
7
(10%)
14
(20%)
10
(14%)
11
(16%)
10
(14%)
13
(19%)
=▶ 밀라노의 전체 거주인구 중 20대 인구가 가장 많고 특히 20대 여성인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인구밀도
구분
인구밀도(단위:1㎢당)
전국
474
대전광역시
2,716
 동구
1,790
밀라노
331
=▶ 밀라노의 인구밀도는 331명(1㎢당)으로
상권이 속해 있는 동구 인구밀도 보다 낮고 대전광역시보다 낮다.
10. 직업직종
1) 동구 직업분포
구분
비율
고위 관리직
2.2%
전문직
7.9%
준전문직,기술공,농어업
10.8%
사무직
16.6%
서비스 및 판매직
25.7%
기능직
25.1%
단순노무직
11.1%
군인
0.1%
=▶ 밀라노에 속해 있는 동구 내 거주인구의 직업과 직종은
각각 서비스 및 판매직과 도소매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동구 직종분포
구분
비율
농림,어업 및 광업
2.9%
제조업
14.4%
전기,가스,수도업
0.4%
건설업
11.2%
도소매업
18.9%
숙박및음식점업
10.5%
운수,창고,통신업
7.2%
금융및보험업
3.1%
임대 및 사업서비스업
9.6%
기타
2.6%
11. 통근/ 통학
1) 통근/통학여부
구분
비율
통근인구
37.9%
통학인구
18.4%
통근통학안함
43.8%
=▶ 밀라노에 속해 있는 동구 내 거주인구의 통학/통근 인구는 통근통학안함(이) 많고
통학/통근 방향은 타시군구로, 통학/통근 수단은 승용차를 이용하여 오전에 통학/통근 을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동구 통근/통학수단
구분
비율
도보
32.8%
버스
24.8%
통근버스
3.3%
고속버스
0.7%
지하철
0%
기차
0.4%
승용차
33.5%
택시
0.8%
자전거
1.1%
기타
2.6%
3) 동구 통근/통학시간
구분
비율
오전
96.8%
오후
3.2%
12. 주거형태
1) 주거형태별 분포
상권명
전체가구
아파트
비아파트
밀라노
63
0
63
=▶ 밀라노는 아파트 세대가 0세대로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
13. 결론
틈새라면은 명동에 위치하고 있어서 우선 유동인구가 많다는 점과, 음식점에서 빼놓을 수 없는 틈새라면만의 맛을 개발하여 지금의 성공을 할 수 있었다. 라면을 팔아서 한해 20억이란 매출을 올린다는 것은 성공도 대성공을 거둔것이다. 초기에는 실패했지만 좁디좁은 3평남짓한 가게에서 어엿한 100점이상의 프랜차이즈업체를 가진 사장은 단연코 돈이 중요한게 아니라고 말한다. 틈새라면의 성공은 욕심없는 사장의 한결같은 고집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틈새라면의 김복현 사장은 ‘욕심을 버려야 돈이 따라온다’고 한다. 단지 라면이 좋아서 틈새라면을 시작했고 이것저것 넣어보면서 지금의 라면을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른 기술이나 지식은 필요하지 않았다. 그는 돈없는 학생들이 오면 찬밥은 공짜로 주곤 했다고 한다. 그런 손님들은 한번씩은 더 온다고 한다. 덤이란 것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정서이다. 이것은 그의 좋은 마음씨에서 나온것이지만 틈새라면에 있어서는 하나의 마케팅전략이 된것이다. 무턱대고 시작한 사업이었고 처음엔 실패도 했지만 그의 나름대로의 차별화 전략과 욕심없는 마음씨가 합해져 비로소 지금의 틈새라면이 존재할수 있었던 것 같다. 한국인들은 일본식으로 손님을 왕으로 모시는 서비스보다는 주인과 손님이 나누는 서비스에 훨씬 더 감동한다는 것. 이것이 그의 한국식 서비스 마케팅이다. 그래서 그는 항상 손님들과 대화를 많이하고 덤도 많이 준다고 한다. 특히 소규모 가게의 경우에는 이런 ‘정(情)마케팅’이 중요하다고 한다. 단기간에 고수익을 올리려는 것 보다 욕심을 버리고 돈생각을 하지 않고 꾸준히 한자리, 한가지만 고수한 그만의 경영전략인 것이다. 틈새라면 주변에는 유동인구가 많은 것을 노리고 그런 사람들을 겨냥하여 음식점이나 분식집 등 많은 종류의 상권이 밀집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우선 주변에 사람이 많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을 끌어 모을 수 있는데 틈새라면은 틈새라면만의 특별한 라면 맛과 사장님의 푸짐한 인심, 사람들의 입소문으로 인해 손님이 점점 늘게 되었다. 또한 라면만을 메뉴로 내세웠던 음식점은 틈새라면이 거의 선두에 서있다. 이런 획기적인 생각과 21세기 시간에 쫓기는 현대인들의 생활에 잘 맞아떨어지면서 간편하게 빠른시간에 먹을 수 있는 틈새라면이 3평남짓한 공간에서 지금에 이르는 성공을 거둘수 있게 만들었고, 이러한 것들이 라면시장에 새로운 문화를 창조한 것 같다.
참고자료
- 월간 창업 & 프랜차이즈
- 해럴드 경제 2004.11.22
- 한국재경신문 2008.10.01
- 프라임경제 2008.10.07
- 장업신문 2005.06.21
- www.gwdc.co.kr
- www.teumsae.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4.1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2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