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경제위기 극복의 처방 및 과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시작ㆍ전개, 원인, 처방
1. 경제위기의 시작과 전개
2. 경제위기의 원인
(1) 금융부문의 취약성 등
(2) 달러화에 대한 과도한 의존
(3) 일본의 거품경제 이전
(4) 중국의 수출시장 점유
(5) 선진국들의 적정환율 무시
(6) 투기성 단기자본 등의 빈번한 유출입
(7) 무조건적인 일본형 성장모델의 모방
(8) 경상수지 적자의 누적
(9) 위기의 전염효과
3. 위기의 처방

III. 경제위기 극복의 과제
1. 금융부문 구조조정
2. 환율정책
3. 도덕적 해이와 채무조정
4. 감독기준의 강화
5. 투명성의 확보
6. IMF의 감독기능
7. 국제 금융기관의 위험관리

I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기침체, 비탄력적인 환율 제도 등 관련 국가의 내부적 취약성을 지적하기도 하나 대외여건 측면에서 세계적인 자본시장의 통합추세와 관련되어 국제금융시장에 내재해 있는 구조적 불안정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1980년대 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는 3차례에 걸쳐 신흥시장으로 자본유입이 급격히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그 직후 예외없이 신흥시장 국가에서 외환 금융위기가 촉발되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동아시아의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의 중요성을 느끼게 하며 반면에 동아시아의 금융체계의 약점이 여전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즉 이 지역은 취약한 금융부문, 금융부문에 대한 감독의 미흡, 대규모 대외부채, 고평가된 환율, 투자의 질적 저하, 수출 감소, 과잉투자, 경제위기 이후 더욱 심화된 사회갈등, 안보위기. 정치적 불안정 등은 문제 해결의 측면에서 볼 때 후퇴없는 역동적인 세계지역 이라는 잃어버린 신화처럼 요원해 보이기까지 한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데는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위기는 비효율적인 경제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고 재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호, IMF 한국 프로그램의 전개과정과 적합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1
강호병, 오정훈, 아시아 금융위기 원인과 처방을 둘러싼 논쟁, LG경제연구원, 1998.10
구달회, 경제위기와 구조조정의 정치 :한국과 영국의 노동정치를 중심으로, 고려 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김영선, 아시아 경제위기에 대한 IMF프로그램과 각국의 대응방안 비교분석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김은영, 경제위기 대응의 정치경제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비교, 성신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나라경제, 2001년 12월호
동아일보, 외환특감/구조적 문제점- 경상수지 적자누적,금융부실 겹쳐 1998.4.10
매일경제일보. 98년 2월 14일
박정수, 세계화와 동아시아경제위기 원인에 대한 정치학적 고찰,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송치영, 전염효과의 원인:동아시아 금융위기의 경우, 금융학회지, (2000).
안승국. 인도네시아 신질서체제의 위기에 관한 정치경제적 재조명: 경제적 위기
와 정치불안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1998
_____, 한국의 경제위기와 개혁방안 : 쟁점과 과제, 아태평화재단 평화논총
제3권 2호, 1999
_____, "한국의 경제위기와 개혁방안 : 쟁점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국가개혁 특별
학술회의 논문집, 1999
_____, 한국의 경제위기와 개혁방안 : 쟁점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국가개혁 특
별학술회의 논문집, 1999
_____, 한국에 있어서 포드주의의 위기에 관한 정치경제적 재성찰: 조절이론의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3집 2호, 1999
양원규, 한국외환위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경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이성칠, IMF 경제위기와 구미지역의 대응 전략, 경북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지혜, 한국경제의 위기와 아시아적 가치에 관한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2
장성현, 경제위기 전후의 소득분배 비교 분석, 국방대 국방관리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2
정한규, 동아시아 경제위기와 IMF 프로그램,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1
조현준, 동아시아 경제위기에 관한 연구 :한국과 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외 국어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최은화, 외환위기 전후 한국경제의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호남대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2
한국일보, 감사원 발표 외환위기의 원인분석과 평가요지 1998.4.10
홍순영, IMF거시정책 프로그램 평가 및 98년 경제전망 연구보고서, 삼성경제연구 소, 1998.01
홍순영, 동아시아 경제위기와 구조조정 :한국과 태국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Bruce Cumings,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Northeast Asian Polical Economy:Industrial Sectors, Product Cycles and Political Consequenc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38 No. 1, (1984).
Devesh Kapur, "The IMF: A cure or a Curse?" Foreign Policy, (Summer 1998).
Fred C. Bergsten, "A New Strategy for the Global Crisis." The Washington Post, (20 September, 1998).
Jeffrey D. Sachs, "Global Capitalism: Making it Work." Economist, (September 1998).
______, "IMF is a power unto inself." Financial Times, (December 11 1997).
Marcus Noland, , Li-Gang Liu, Sherman Robinson, and Zhi Wang. Global Economic Effects of the Asian Currency Devaluation. (Washingt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8).
Morris Goldstein, The Asian Financial Crisis: Causes, Cures, and Systemic Implications. (Washingt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8).
________________, "Early Warning Indicators and The Asian Financial Crisis."
EMEAP Meeting on Early Warning Indicators, (February 19, 1998).

키워드

  • 가격3,4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3.1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