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스마트폰의 동향 및 전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마트폰] 스마트폰의 동향 및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스마트폰이란?
2. 이동통신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3. 모바일 산업의 현황
1) 모바일 산업의 개요
2) 모바일 기기 현황
3) 모바일 SW 현황
4) 모바일 서비스 현황
4. 스마트폰 업계의 플랫폼 경쟁
1) 폐쇄적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2) 미디어 플랫폼과 위치기반 플랫폼의 확보 경쟁
5. 스마트폰과 모바일웹
1) 모바일웹의 필요성
2) 모바일웹의 발전 전망
6. 스마트폰이 정보통신산업에 미치는 영향
1) 하드웨어 산업
2) 통신서비스 시장
7. 스마트폰 단말 제조사의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8. 삼성 스마트폰이 고전하는 이유
9. 스마트폰 시장의 전망
1) 리모ㆍ립스 통합, Symbian 개방화로 시장 환경 급변
2) 20011년 스마트폰 판매량 5억 5,000만대
3)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스마트폰 시장 변화

참고자료

본문내용

OS 및 플랫폼 시장에 강력하게 도전해 온 Google에게 커다란 타격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노키아는 전 세계 스마트폰 OS의 60%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Symbian과 노키아의 S60 플랫폼, 모토로라ㆍ소니에릭슨의 UIQ, NTT도코모의 MOAP 등을 통합한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하기로 발표했다. 이를 위해 Symbian의 잔여 주식을 인수해 재단화할 방침이며, 통합 플랫폼을 오픈소스화해 회원사 및 협력사들이 로열티 없는 라이선스 방식으로 공유할 예정이다.
한편, 리모(LIMO)의 립스(LiPS) 통합은 리눅스 진영의 기술 통합과 함께 기존 삼성전자, LG전자, NTT도코모, 모토로라, 보다폰 등 회원사에 화웨이, TI, 엑세스, 프랑스텔레콤 등이 가세하면서 세를 불리게 되었다. 또한 그 동안 리눅스 진영의 확장에 걸림돌로 지적되었던 표준화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향후 스마트폰 OS 및 플랫폼 시장에 노키아의 가장 강력한 대항마로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2) 20011년 스마트폰 판매량 5억 5,000만대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체 휴대폰 단말 비중의 12.6%인 1억 7,000만대 수준에서 2011년에는 5억 5,000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글로벌 통신서비스 업체들이 정체중인 음성수익을 극복할 신성장 동력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한 데이터 매출 성장에 기대를 걸면서 보급 확대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추이 및 전망
자료: 가트너, 하나금융경제연구소 재인용
특히, 아이폰이 빼어난 디자인은 기본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운영체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한 컨텐츠 서비스 모델(아이팟의 성공 요인인 아이튠스 사업모델의 적용)로 북미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면서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더욱 높게 점쳐지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가장 핵심이 되는 운영체제 시장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노키아가 4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Symbian이 60%의 시장 점유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리눅스가 12%, Microsoft, RIM이 각각 11%씩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스마트폰 OS 시장 점유율(2008년 1분기)
자료: 가트너, 지식경제부/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재인용
3)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스마트폰 시장 변화
지난 10년 동안 휴대단말기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노키아의 성장, 모토롤라의 쇠퇴), 컨버전스화(컬러LCD, 카메라, MP3 등), 저가폰 시장의 성장(중국, BRICs) 등과 같은 3번의 커다란 변화를 겪어 왔다.
최근 스마트폰의 등장과 시장 성장은 휴대 단말기 시장이 더 이상 하드웨어 중심이 아닌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넷에서 컨텐츠와 서비스에 대한 고객 수요가 증가하면서 하드웨어 중심의 휴대단말기가 더 이상 소비자들에게 차별적인 매력과 구매 포인트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의 변화는 사업자들에게 컨텐츠, 서비스 및 OS 라이센싱, 광고 등 수익모델의 다양화와 함께 운영체제 및 플랫폼 개방화를 통한 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면서 단말기 및 통신서비스 사업자들도 이러한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통신사업자들은 킬러 애플리케이션 발굴에 주력하고 있으며,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제품ㆍ서비스ㆍ마케팅 로드맵을 미리 제안하는 등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OS 및 플랫폼 개방화를 추진하는 등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노키아는 단말기 제조사에서 벗어나 휴대폰 플랫폼 사업자로서의 역할에 다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단말기 중심의 성장 한계 돌파를 기대하고 있으며, 플랫폼 및 운영체제 개방화를 통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서비스까지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
아이폰은 운영체제에는 한계가 있지만, 컨텐츠, 서비스, 광고 등 스마트폰의 성장잠재력과 소프트웨어의 적용 가능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구글폰도 개방형 운영체제와 플랫폼을 기반으로 컨텐츠, 서비스, 광고 등을 핵심 사업영역으로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휴대폰 시장에서 제4의 물결을 일으키는 핵심 동인
핵심 동인
주요 내용
비즈니스 모델 변화
ㆍ단말기→ 토탈 서비스(서비스 포함)
ㆍ단말기→ 플랫폼 중심
차별 포인트 변화
ㆍ기능 중심 하드웨어
→편리성 중심의 소프트 경쟁력
개발 효율성 혁명
ㆍ기존의 사업자별 대응 중심 Native OS
→표준화된 오픈 OS 플랫폼
자료: LG경제연구소, 재편집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장악한다는 것은 무선 인터넷 사용 활성화에 따른 모바일 시장 성장에 있어서 보다 유리한 경쟁 환경과 도구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인터넷의 사용 활성화는 다양한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제공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이 이들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의 게이트키퍼로서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파급효과 때문에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물론, 통신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사업자, 콘텐츠 제공업체 등 휴대전화단말기 및 스마트폰 제조와 관련된 모든 이해 당사자가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으며, 합종연횡에 나서고 있는 이유이다.
참고자료
1. <고전하는 삼성 스마트폰, 결정적 이유는?> 스포츠서울, 경제, 오승혁 IT 컨설턴트, 레아파트너스 대표 2010.03.13
2. <이동통신 산업의 패러다임은 변화되고 있는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전문가 칼럼 여재현 2010
3. <스마트폰 경쟁에 비춰진 강자들의 속내> LG경제연구소 신동형 2010.03.03
4. <개방화 물결이 몰아치는 스마트폰>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8.07.07
5. <모바일 산업 아웃룩(Outlook) 포럼> 지식경제부 2010
6. <스마트폰의 함의(含意)와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공형일 2010.03.05
7. <스마트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의덕 2009
8. <모바일 웹-모바일 웹이 필요한 10가지 이유> 전자신문 2010.02.04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