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인구 순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과제의 목표

2. 과제의 차례

( 3 - 1 ) 1960년 자료 분석

( 3 - 2 ) 1970년 자료 분석

( 3 - 3 ) 1980년 자료 분석

( 3 - 4 ) 1990년 자료 분석

( 3 - 5 ) 2000년 자료 분석

4. 결론

본문내용

천시
71,449
50
온양시
66,346
51
공주시
65,190
52
동광양시
64,847
53
여천시
63,823
54
남원시
63,157
55
삼촌포시
62,831
56
경산시
60,504
57
오산시
59,482
58
대천시
56,918
59
서산시
55,943
60
김제시
55,138
61
나주시
55,306
62
밀양시
53,067
63
상주시
51,868
64
영천시
48,888
65
장승포시
48,603
66
점촌시
47,802
67
삼척시
41,675
( 3 - 4 ) 1990년 자료 분석
1990년대에는 도시 인구가 가장 적게 증가하는 시기이다
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도시의 수는 2배 정도 늘어났지만 대구, 대전, 인천, 광주는 직할시가 되어 자료에 빠진 것도 있지만, 대도시의 인구는 크게 증가 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도시의 인구는 크게 증가하진 않았지만, 수도권지역의 인구는 상대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도시는 이제 도시 인구 집중의 중심지 역할에서 벗어나 도시 간 인구이동의 새로운 역할로 그 모습을 변모하고 있다.
또한 승용차로 인해 기동력이 증가하여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 하지 않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2000년 각 도시 인구 순위
1
수원시
946,704
2
성남시
914,590
3
고양시
763,971
4
부천시
761,389
5
전주시
616,468
6
청주시
586,700
7
안양시
580,544
8
안산시
562,920
9
창원시
517,410
10
포항시
515,714
11
마산시
434,371
12
천안시
417,835
13
용인시
386,124
14
의정부시
355,380
15
평택시
345,306
16
구미시
341,550
17
남양주시
340,932
18
진주시
339,791
19
광명시
334,089
20
김해시
331,979
21
익산시
323,687
22
시흥시
305,268
23
여수시
303,233
24
제주시
279,996
25
경주시
275,842
26
군산시
272,715
27
원주시
268,352
28
목포시
250,480
29
순천시
265,930
30
군포시
263,760
31
춘천시
252,547
32
강릉시
228,232
33
경산시
228,206
34
충주시
217,927
35
양산시
191,975
36
안동시
182,098
37
아산시
180,763
38
이천시
179,719
39
파주시
178,434
40
거제시
168,022
41
구리시
160,839
42
김포시
150,194
43
김천시
147,855
44
제천시
143,710
45
서산시
143,154
46
논산시
137,452
47
안성시
133,421
48
광양시
132,639
49
공주시
130,376
50
정읍시
129,152
51
진해시
127,578
52
영주시
126,507
53
통영시
123,842
54
하남시
120,513
55
의왕시
117,821
56
상주시
116,493
57
밀양시
115,962
58
영천시
111,392
59
사천시
111,078
60
보령시
109,535
61
오산시
102,697
62
김제시
102,589
63
나주시
99,533
64
동해시
96,679
65
남원시
94,926
66
문경시
90,846
67
속초시
87,985
68
서귀포시
80,860
69
삼척시
75,647
70
동두천시
73,502
71
과천시
66,706
72
태백시
54,196
( 3 - 5 ) 2000년 자료 분석
2000년대에는 확대개발정책 등으로 인구가 수도권 지역에 많이 증가하기도 하였지만, 비수도권의 도시는 많이 줄어들게 된다.
위 표의 높은 인구수를 차지하는 도시를 보면 도시의 역할이 인구 중심지에서 벗어나 인구 이동의 새로운 출발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 예로 수도권에는 성남시, 고양시, 부천시, 안양시, 군포시 등의 5개 주택신도시가 건설되었다. 이런 주택 확대개발정책은 주택시장실패현상을 교정한다는 데 근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확대개발정책에는 규제를 완화하여 성장이 가능한 지역은 더욱더 집중적으로 육성함으로써 비수도권의 성장은 급격히 퇴조하고 있다.
★ 새로 생긴 도시
고양시
용인시
남양주시
익산시
양산시
거제시
광양시
통영시
파주시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아산시
논산시
정읍시
사천시
보령시
문경시
☆ 없어진 도시
이리시
충무시
정주시
송탄시
미금시
온양시
동광양시
여천시
삼촌포시
대천시
장승포시
점촌시
4. 결론
이 과제를 통해서 도시화를 공부하면 항상 도시화의 문제점을 공부 했었다. 그래서 주택문제, 교통문제, 환경 파괴 등을 일으킨다고 배웠었는데, 어떻게 도시가 형성되고, 또 어떻게 없어지는지를 알 수 있어서 지금까지와느 다른 공부를 할 수 있었다. 또한 자료 정리 할 때 통계청에서 수집하였는데 자료가 따로 정리 되어 있지 않아 하나 하나 숫자를 비교해 가면서 맞춰볼 때는 여간 힘든게 아니었다.
하지만 이렇게 정리해 놓고 공부해 보니, 현재의 서울시, 직할시가 인구가 많이 몰릴 수 밖에 없는지, 또 어떻게 거대한 도시를 형성해 낼 수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과제를 하면서 20 ~ 30년 후 미래의 도시를 생각 해 보았는데, 그때에는 지금과 같이 많은 도시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시민의 안전과 복지를 위한 도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 전체를 위하여 질서를 확립하고, 행정 제도 및 재정 투자가 시민위주의 복지와 안전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는 생산과 소비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발전 기반을 가지고 생산력을 높일 수 있는 도시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대외 경쟁력을 갖추어 국내 및 국외에서도 경쟁을 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 하여야 한다.
도시 발전의 과정을 보면서, 환경 및 다른 기타 사항도 중요하지만 도시정책이 나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도시정책은 시민의 삶의 질을 얼마나 향상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여야 한다고 본다.
가장 바람직한 도시 정책이란, 시민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1.07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1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