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마케팅][장소마케팅의 목적][장소마케팅 전략][장소마케팅의 활성화 방안]장소마케팅의 정의, 장소마케팅의 목적과 장소마케팅의 등장 및 장소마케팅의 전략 그리고 장소마케팅의 활성화 방안 심층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소마케팅][장소마케팅의 목적][장소마케팅 전략][장소마케팅의 활성화 방안]장소마케팅의 정의, 장소마케팅의 목적과 장소마케팅의 등장 및 장소마케팅의 전략 그리고 장소마케팅의 활성화 방안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장소마케팅의 정의
1. 영미식 정의
2. 네덜란드식 정의(사회마케팅social marketing)
3. 한국식 정의

Ⅲ. 장소마케팅의 목적

Ⅳ. 장소마케팅의 등장
1. 지역발전론의 어제와 오늘
2. 장소전쟁의 시대

Ⅴ. 장소마케팅의 전략
1. 도시개발 전략의 변천
2. 지방자치 시대의 세계화 논리와 마케팅 전략 채택

Ⅵ. 장소마케팅의 활성화 방안
1. 목표시장을 중심으로 한 장소마케팅 전략
2. 전략상 장소마케팅 개념도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과 기업의 참여를 전제로 지방자치단체는 장소의 발전방향을 계획하고 제시하게 된다. 장소의 비전으로는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인큐베이션 도시, 연구개발 도시, 아카데미 도시, 정주모델 도시, 스포츠·이벤트 도시, 도시 연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장소는 장소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장소가 지속적인 생존·성장·발전을 위해 수립하는 전략은 방문자 유인전략, 기업유지 및 확장전략, 투자유치 및 수출전략, 중소기업지원 및 창업전략, 인구구조 변화전략, 기업유치전략으로 세분된다. 지방자치단체는 기업과 마찬가지로 장소의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서 장소가 보유한 문화요소, 경영환경요소, 인적요소, 자연요소 및 삶의 질 요소를 결합하여 장소의 목표고객에게 제시하게 된다.
Place Marketing 성공의 결정요소는 첫째,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마케팅주체의 연결이 중요하다. 광범위한 환경 속에 현황을 파악하고 장소 관계자의 필요와 선택기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략 참가자의 확대가 필수적이다. 둘째,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비전의 제시가 장소의 성장을 결정짓는다. 장소의 능력을 현실적으로 분석한 토대위에 제시된 비전만이 장소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실현시킬 수 있다. 셋째, 고객 지향적 사고와 행동만이 장소의 성장을 보장해 줄 수 있다. 장소는 다양한 고객이 존재하며, 이들 고객의 가치구조는 매우 상이하다. 장소의 목표고객의 명확화와 이에 맞는 적절한 장소의 요소결합이 장소의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인 장소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Ⅶ. 결론
1970년대 이후 포드주의에서 포스트포드주의로의 변화라는 선진자본주의 경제의 급속한 재구조화 과정은, 사회문화공간철학에 이르는 사회 전반의 새로운 구조변동으로 연쇄작용을 일으키면서 모더니즘(혹은 모더니티)과 포스트모더니즘(혹은 포스트모더니티)간의 논쟁을 인문사회과학 전반에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화는 현실과 과학 전반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고,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할 만큼, 정치경제사회이데올로기적으로 점차 그 의미와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세계화와 지방화의 국면 속에서 각 지역들의 공간상의 상대적 역학관계는 새롭게 변화하였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지역간의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이른바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을 위한 일련의 도시개발전략들이 구사되기 시작하였고, 각 지역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는 이러한 전략의 핵심적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기존 도시 및 장소의 퇴락한 이미지를 재구축함으로써, 지역경제의 활성화 및 지역주민의 사회적 통합을 이루려는 도시문화전략들이 중요한 지역정책으로 부각되었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이라는 장소의 상품화차별화 전략이다.
미국와 영국을 중심으로 서구사회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던 장소마케팅전략은 1980년대에 들어 그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나면서 많은 논의와 비판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각 지역의 구체적인 컨텍스트에 따라 장소마케팅의 방식과 성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역시 1990년대에 들어 이러한 장소마케팅의 성격을 지니는 도시문화전략 및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했고, 지방자치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그 양상은 더욱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서구사회와 한국의 장소마케팅이 지니는 성격을, 그 장소의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장소마케팅이 지니는 특수성과 그 함의를 도출해 내고, 향후 한국의 도시문화전략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 공자원 외, 장소마케팅의 등장 배경, 개념 및 유형에 관한 고찰, 관광지리학 11호, 1999
◇ 박은실, 문화활동의 유형에 따른 문화지구 형성과 장소마케팅, 공간과 사회, 2002
◇ 송주희, 장소마케팅을 통한 도시이미지와 지역주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이희영, 장소마케팅 전략을 활용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06
◇ 임재진, 지역축제의 성공을 위한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충남대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05
◇ 조은미, 관광자원 활성화를 위한 장소마케팅 전략, 계명대학교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6
◇ 정기영, 지방자치시대의 도래와 장소마케팅의 적용에 관한 소고, 대불대학교논문집 제9집 1호, p153~175, 2003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0.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1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