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품새][품세][겨루기][승단제도]태권도의 기원, 태권도의 역사, 태권도의 철학, 태권도의 정신 자세, 태권도의 기본 동작, 태권도의 품새(품세), 태권도의 공격기술, 태권도의 겨루기, 태권도 승단제도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권도][품새][품세][겨루기][승단제도]태권도의 기원, 태권도의 역사, 태권도의 철학, 태권도의 정신 자세, 태권도의 기본 동작, 태권도의 품새(품세), 태권도의 공격기술, 태권도의 겨루기, 태권도 승단제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태권도의 기원과 역사

Ⅲ. 태권도의 철학

Ⅳ. 태권도의 정신 자세

Ⅴ. 태권도의 기본 동작
1. 주먹
2. 막기

Ⅵ. 태권도의 품새(품세)
1. 태극과 품새
2. 품새 개론
1) 태극1장
2) 태극2장
3) 태극3장
4) 태극4장
5) 태극5장
6) 태극6장
7) 태극7장
8) 태극8장

Ⅶ. 태권도의 공격기술
1. 지르기
2. 치기
3. 찌르기
4. 차기

Ⅷ. 태권도의 겨루기
1. 태권도 겨루기 시대 구분 및 정의
1) 겨루기의 의의
2) 겨루기의 목적
3) 겨루기의 구성
2. 태권도 겨루기 시 유의사항
3. 태권도 겨루기 시 공격의 기회
4. 태권도 겨루기의 기술적 요인
5. 태권도 겨루기의 실제

Ⅸ. 태권도의 승단제도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하여 치명적인 타격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다.
1. 지르기
지르기 요령
① 상대의 목표(얼굴, 몸통, 아래)를 주먹부위로 직각이 되도록 가격하여야 한다.
② 주먹은 허리에서 목표를 향하여 일직선으로 나간다.
③ 정한 목표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한다.
④ 굽혔던 팔굽을 펴면서 뻗는 힘으로 행한다.
⑤ 실질적인 힘은 상체의 회전력을 이용한 원심력으로 팔을 통하여 주먹에 전달시킨다.
⑥ 지르기는 체중이동에 의하여 더욱 큰 힘을 가하게 된다.
2. 치기
팔을 이용하여 공격을 가할 때 힘은 몸통의 회전력 즉 원심력으로 행한다. 이 때 팔굽을 뻗으며 주먹 이동이 주로 일직선으로 움직여 목표를 가격할 때는 지르기라 하며 팔굽을 굽힌 채로 또는 편 채로 손이나 주먹의 이동이 원을 그리며 움직여 목표를 가격하였을 때는 치기라 한다.
3. 찌르기
찌르기 기술은 지르기 기술과 모든 것이 다 같으나 사용부위가 주먹이 아니라 손끝이므로 더욱 뾰족하여 뚫고 들어가 깊숙이 공격을 가하게 되며 또 손가락을 펴기 때문에 손가락 길리 만큼 먼 거리를 공격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반면에 단련되지 않았을 때는 손가락 마디가 많으므로 탈골 또는 골절되기가 쉽다.
4. 차기
다리를 움직여 발을 끌어올려 발의 사용부위로 상대의 목표를 가격하여 제압시키는 것을 차기라 한다. 이 때 무릎을 굽혀 접었다가 펴는 힘으로 또는 편 다리로 무릎을 굽히는 힘으로 차기도 하고 또 편 채로 다리를 돌리거나 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다리도 따라 돌면서 상대를 가격하는 것이다.
Ⅷ. 태권도의 겨루기
1. 태권도 겨루기 시대 구분 및 정의
태권도의 겨루기 시대-원시시대→제 1발전기→정체기→침체기→호란기→제2발전기→제2전성기
1) 겨루기의 의의
손과 발로 상대방을 공격하고 방어하는 운동으로 상대의 움직임으로 자신의 기술을 결정하는 운동이다.
2) 겨루기의 목적
종합신체 운동이며, 신체 각 부분의 기능 발달과 자신감 향상, 희생정신, 의욕 개발이다.
3) 겨루기의 구성
크게 맞추어 겨루기, 자유겨루기로 나뉘며 맞추어 겨루기는 세 번 겨루기, 두 번 겨루기, 한번 겨루기가 있으며 자유겨루기는 연습겨루기와 시합겨루기로 나뉜다. 연습겨루기는 호구겨루기, 스텝겨루기, 타겟 겨루기, 1인 대 1인 겨루기, 1인대 2인 겨루기 1인대 다수인 겨루기, 특수 겨루기로 나뉜다.
2. 태권도 겨루기 시 유의사항
(1) 시선-기선제압과 상대의 움직임 파악
(2) 기합-정신과 신체를 이완시키고 하나로 통합
(3) 속임수와 기회포착-상대방의 허점을 빠른 시간 내에 공격해 받아 쳐 기회를 포착한다.
(4) 특기와 다양한 기술 발차기-상황에 맞는 연결동작 훈련
(5) 공격부위를 선택한 전술-상대의 전술을 빨리 파악한다.
(6) 공수양면을 이용한 전술-공격전술은 상대에게 쉽게 노출 되서는 실패한다.
(7) 합리적인 스텝이용-언제든지 방어하고 받아치기 위한 스텝필요
(8) 체력의 안배-효율적인 안배가 경기를 성공시킴
3. 태권도 겨루기 시 공격의 기회
상대가 공격하려는 순간과 상대가 공격기 끝난 순간, 상대가 공격의 타이밍을 잡지 못해 주춤할 때, 공격자의 선제공격에 상대가 밀려나는 순간, 상대의 중심이 흐트러지는 순가, 호흡을 들어 마실 때 에 공격의 기회를 포착한다.
4. 태권도 겨루기의 기술적 요인
거리와 속도 반응 유형, 연결공격유형, 라운드별 유형 등을 파악 공격을 하며 반격의 타이밍과 공격의 기술의 흐름을 파악 후 신속하게 대처하는 상대공격의 기술유형과 상대의 거리, 상대의 자세 상대의 습관적 기술 반응 등을 파악해야 한다.
5. 태권도 겨루기의 실제
기본공격법과 기본 반격 법, 그리고 상황별 반격법등이 있다.
Ⅸ. 태권도의 승단제도
세계 전역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태권도인의 통일된 정신 및 기술의 배양을 기하고 평준화된 기술과 정신의 종합적인 계층을 정하는 제도이다. 무급에서부터 시작하여 유급자유단자로 올라간다. 유급자는 10급에서부터 역으로 1급까지이며, 유단자는 1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순에 의해 2단, 3단, 4단…9단으로 승단하게 된다.
단, 유단 칭호는 만 15세 이상자에게 주어지며, 만 15세 미만인 어린이는 단의 칭호 대신 품의 칭호를 부여한다. 사범의 자격은 4단 이상자로서 국기원(國技院)에서 실시하는 지도자 교육을 필하고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에 한하여 사범이라는 칭호를 부여받는다. 도복에 두르는 띠는 단급에 따라 분류한다. 무급은 흰색, 10~9급은 노랑, 8~7급은 초록, 6~5급은 파랑, 4~3급은 자주색, 2~1급은 빨강, 유단자 이상은 검은색(단, 유품자는 빨강과 검은색을 가로로 반분한 배색)이다.
Ⅹ. 결론
태권도는 민족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발전을 같이하여 온 우리의 국기이다. 1962년에 처음 전국체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래 1973년에는 세계 태권도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고, 1983년에는 판암(Pan-America)게임과 1986년 아시안 게임의 정식 경기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시범경기 종목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결정됨에 따라 명실공이 국제적인 스포츠로서 그 기반을 확고히 하게 되었고 계속적인 발전을 기대하게 되었다. 태권도의 인구는 국내적으로는 약 300 만 명(대한태권도협회통계)으로 추정되며 국외적으로는 세계 112개국에 약 2천2백만 4천4 백 명의 수련인구(세계연맹사무국통계)가 보고 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실제의 태권도 인구는 그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증가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참고문헌
ⅰ. 김정지(1988), 광성, 한국 태권도사, 서울 : 경문출판사
ⅱ. 김경지·최영렬·방여진·김형돈·전정우(1998), 태권도 겨루기 지도 및 방법론,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ⅲ. 국기원(1980), 태권도 교본, 국기원편, 서울: 삼훈출판사
ⅳ. 이경명(2000), 격파 단련의 모든 것, 태권도
ⅴ. 이창후, 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지성사
ⅵ. 이승국(1983), 태권도 경기의 기술 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태권도
ⅶ. 이준호(1994), 내가 만난 무도인. 태권도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