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구조][한국산업구조][한국경제][한국산업]한국 산업구조의 변화, 광주와 전라남도(전남)의 산업구조, 전라북도(전북)의 산업구조, 대구의 산업구조, 경상북도(경북)의 산업구조, 부산의 산업구조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구조][한국산업구조][한국경제][한국산업]한국 산업구조의 변화, 광주와 전라남도(전남)의 산업구조, 전라북도(전북)의 산업구조, 대구의 산업구조, 경상북도(경북)의 산업구조, 부산의 산업구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산업구조의 변화

Ⅲ. 광주, 전라남도(전남)의 산업구조

Ⅳ. 전라북도(전북)의 산업구조

Ⅴ. 대구의 산업구조

Ⅵ. 경상북도(경북)의 산업구조
1. 견실한 산업생산
2. 지역별·업종별 편중된 산업구조
3. 생산중심의 산업단지
4. 저조한 외국인 직접투자

Ⅶ. 부산의 산업구조

참고문헌

본문내용

2.75%, 광업·제조업이 46.66%, 전력·가스·수도 및 건설이 9.39%, 그리고 서비스업이 41.19%로 나타나 부산지역 산업구조의 서비스화 진전이 전국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한 산업구조는 산출액에 의한 산업구조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농림어업, 전력·가스·수도 및 건설, 그리고 서비스업은 산출액을 기준으로 한 비중에 비해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한 비중이 각각 0.40%, 0.42%, 8.52%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광업·제조업에서는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한 비중이 산출액 기준의 비중보다 9.35%나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광업·제조업이 타산업에 비해 중간투입률이 높은 산업임을 의미한다. 서비스업은 중간투입률이 낮아 산출액은 60.31%를 차지하고 있으나, 부가가치는 8.52% 높은 68.83%를 점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는 산출액기준과 부가가치기준의 산업구조 변동에서 그 변동폭이 4.44%로 가장 크고, 전산업에서도 높은 비중을 점하고 있다.
한편 입지계수를 보면 총산출액과 부가가치 둘 다 서비스업의 입지계수가 제조업보다 높게 나타나 도시형산업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총산출액을 기준으로 분석한 입지계수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 부문에서는 섬유 및 가죽제품이 1.69, 금속제품이 1.52,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운수 및 보관이 3.51, 도소매가 2.56, 공공행정 및 국방이 1.81, 음식점 및 숙박이 1.66, 통신 및 방송이 1.40, 금융 및 보험이 1.02로 특화되어 있다. 부가가치 기준의 경우 제조업 부문에서는 섬유 및 가죽제품이 1.80, 금속제품이 1.30으로,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운수 및 보관이 2.93, 도소매가 2.15, 공공행정 및 국방이 1.73, 통신 및 방송이 1.06으로 특화업종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발전으로 생산의 우회도가 심화됨에 따라 총투입액중에서 중간투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 비중을 중간투입률이라 한다. 총투입액에서 중간투입액을 차감한 것이 부가가치이며, 따라서 중간투입비가 많은 산업은 부가가치가 적게 된다. 부가가가치를 총투입액으로 나눈 비율을 부가가치율이라고 하며, 이는 총산출액 단위당 부가가치창출액을 의미한다. 부산지역의 중간 투입율과 부가가치율을 알아보면, 부산지역 전산업의 중간투입률은 54.00%로 전국의 56.95%보다 2.95%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이 43.16%로 전국의 37.58%보다 높으며, 광업·제조업은 69.88%로 전국의 72.50%보다 2.62%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에 있어서 제1차금속의 중간투입률이 79.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47.50%로 전국의 40.93%보다 6.57%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업에 있어서 음식점 및 숙박이 74.23%, 운수 및 보관이 62.83%로 높게 나타났다. 중간투입률을 전국과 비교해 보면, 2차산업 중에서는 광산품과 비금속광물제품, 석유 및 석탄제품, 금속제품에서 부산지역이 높게 나타나고, 서비스업에서는 통신 및 방송, 음식점 및 숙박, 도소매, 운수 및 보관,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금융 및 보험에서 부산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부가가치율은 전산업평균이 46.00%로 전국의 43.05%에 비해 다소 상회하고 있다. 산업별 부가가치율은 교육 및 보건이 73.5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가 70.12%, 공공행정 및 국방이 69.90%, 금융 및 보험이 68.00%의 순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가가치율이 낮은 산업은 제조업에 있어서 제1차금속이 20.78%로 가장 낮고, 목재 및 종이제품이 26.34%, 비금속광물제품이 28.23%, 화학제품이 28.33%로 낮다. 서비스업에 있어서는 음식점 및 숙박이 25.77%, 운수 및 보관이 37.17%로 낮게 나타났다. 전산업에서 부산지역은 피용자보수가 48.92%를 차지하여 부가가치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업잉여가 34.73%, 고정자본소모와 순간접세는 각각 10.28%, 6.0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국의 경우도 피용자보수가 44.55%로 비율상으로는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부산지역보다는 4.37%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영업잉여 또한 32.37%로 부산지역보다 2.36% 낮게 나타났다.
산업별 부가가치 구성항목 중 피용자보수는 영업잉여가 없거나 매우 낮은 교육 및 보건과 공공행정 및 국방에서 각각 81.39%와 71.16%의 비율을 보이고 있어, 피용자보수가 부가가치의 주를 이루고 있다. 그 외 운수 및 보관이 67.22%, 금융 및 보험이 62.25%, 건설이 61.61%, 음식점 및 숙박이 56.85%,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가 49.96%로 서비스업에서 피용자보수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높은 영업잉여율을 보이는 산업으로는 광산품이 85.37%, 비금속광물제품이 76.36%, 제1차금속제품이 73.46%, 정밀기기가 72.75%, 화학제품이 72.47%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공공행정 및 국방은 부문의 특성상 영업잉여가 존재하지 않고, 교육 및 보건도 11.74%로 매우 낮게 나타난다. 농림어업에서 피용자보수 및 영업잉여는 전국과 부산지역의 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농림어업 중에서도 농업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국과 어업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산지역과의 산업구조의 특성 차이에서 비롯된다.
참고문헌
강철규 외(1990), 재벌: 성장의 주역인가, 탐욕의 화신인가, 비봉출판사
김세원·안세영(1996), 산업정책론, 서울:박영사
윤창호이규억이성순(1987), 정부와 시장: 우리나라의 산업조직과 구조조정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원
이춘근(1996), 경북지역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산업연관구조 비교분석, 대구경북개발연구, 연구논문집 창간호,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이영세 외(1987), 산업금융정책의 효율화 방안, 산업연구원
이규억 외(1997), 산업조직론, 서울:법문사
한국산업은행(1964), 남북한 산업의 구조 비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