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와 국제정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포트]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와 국제정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카스피해와 투르크메니스탄

Ⅱ. 투르크메니스탄의 일반 개황
1. 기본제원
2. 투르크메니스탄의 역사
1) 고대국가의 형성
2) 투르크化 시기
3) 몽골의 침입과 종족의 분열
4) 러시아의 진출
5) 분열과 혁명
6) 소비에트化와 스탈린의 억압
7) 2차세계대전 이후
8) 소연방의 붕괴와 독립
3. 투르크메니스탄의 정치
1) 권력구조
2) 투르크메니스탄의 대통령
4.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제
1) 경제개황
2) 에너지 관련 경제정책

Ⅲ. 투르크메니스탄과 에너지
1. 투르크메니스탄의 자원 실태
2. 투르크메니스탄의 파이프라인 시스템
1) 기존 파이프라인
2) 계획 파이프라인
3) 파이프라인과 국제정치
① 러시아
② 미국 ․ EU
③ 러시아의 기선제압
④ 중국

본문내용

스를 외부로 반출하려면 송유관 확보가 필수다. 이 송유관이 어디를 통과해 어디로 가는지도 주변국의 이해관계를 좌우한다. 특히 현재 사용 중인 파이프라인만으로는 생산능력 증대를 감당하기 어렵게 되자, 새 파이프라인 건설을 둘러싼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① TAP 파이프라인
Turkmenistan ~ Afghanistan ~ Pakistan 연결 가스 파이프라인
- 과거에 건설된 파이프라인이 모두 러시아를 경유하도록 건설되어 러시아는 국제정치에서 파이프라인에 대한 권력을 바탕으로 횡포를 일삼았다. 이에 따라 미국은 러시아의 입김 약화를 위해 러시아를 경유하지 않는 새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기 위해 TAP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 매장량 세계 5위의 다울레타바드-돈메즈 가스전(2조 8,500억m3)에서 파키스탄으로의 가스 수출을 위한 파이프라인 계획
- 수송거리 1,650㎞, 수송능력 300억㎥로 투자비는 32억 달러가 예상된다.
- 건설 운영을 위한 국제 콘소시엄 구성을 추진중이지만 아프가니스탄 치안 불안, 파키스탄의 수요 불확실, 자금 조달 문제로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② 투르크메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중국 연결 가스 파이 프라인
- 다울레타바드 가스전에서 중국 상해까지 총 수송거리는 7,000km(투르크메니스탄 구간 : 520km, 우즈베키스탄 구간 : 430km, 카자흐스탄 구간 : 1,400km, 중국 구간 : 4,650km)
- 2009년부터 중국에 30년이상 300억㎥의 천연가스 공급예정
③ 투르크메니스탄 ~ 카자흐스탄 ~ 유럽 연결 파이프라인
3) 파이프라인과 국제정치
① 러시아
과거 카스피해 내륙에 건설된 파이프라인은 모두 러시아를 경유하도록 건설되어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력은 지배적이었다. 러시아는 자국의 가스는 주로 내수용으로 사용하고 중앙아시아의 가스를 수입해 유럽으로 비싸게 되파는 전략을 취해 왔다.
② 미국 EU
- 미국은 세계 최대의 석유 소비국가
- EU는 천연가스 소배량의 25%, 수입량의 40%를 러시아에 의존
- 미국과 EU는 러시아를 거치지 않는 파이프라인 건설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래서 미국과 EU는 작년 5월 남카프카스가스관을 완공하였고, 러시아를 우회해 카스피해 해저를 횡단하는 파이프라인을 구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 해저 파이프라인은 경제적 부담과 환경 우려 때문에 실행가능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③ 러시아의 기선제압
- 2007년 5월, 러시아는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과 함께 카스피해 연안을 따라 새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 러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카자흐스탄 3국을 연결하여 총 2000km의 수송거리, 100억㎥의 수송능력을 가진 가스파이프라인으로 2012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새 파이프라인이 완공될 경우 러시아로 공급되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가스는 현재의 배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 이번 합의로 러시아는 천연가스 확보 경쟁을 벌여 온 미국과 EU에 ‘외교적 패배’를 안기고 중앙아시아에서 에너지 통제권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④ 중국
- 중국은 2005년 12월 카자흐스탄 중부에서 중국을 잇는 송유관을 완공함으로써 중앙아시아에 대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 최근에는 투르크메니스탄과도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중국에 가스관을 연결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다. 두 나라는 투르크메니스탄 Armu Dariya River에서의 가스개발을 원칙으로 PSA로 공동개발에 합의하였고, 또한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중국까지 수송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건설에 합의하였다. 이 파이프라인은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을 거치게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1.09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