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방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교육방송의 정의 및 의의
1> 교육방송의 정의
2> 교육방송의 의의

<2> 교육방송의 활용 유형
1> 일관된 전체 수업(Total teaching)
2>강의를 대치하는 학습자료(Complementary basic resource)
3>학습활동을 풍부하게 하는 학습자료(Supplementary enrichment program)
4>교사를 위한 프로그램(Teaching training program)
5>유아를 위한 프로그램(Pre-schooler`s program)
6>성인교육을 위한 프로그램(Adult educational program)

<3> 교육 방송의 제작 과정
1>사전제작단계
2> 제작단계
3> 사후 제작 단계

<4> 교육방송의 장점 및 단점
1> 장점
2> 단점

<5>교육방송 활용 시 유의 사항

본문내용

의 내적 준비를 도모할 수 있다.
4> 교사의 참여 : 방송을 청취 또는 시청할 때에는 교사 자신이 주의 깊게 청취 또는 시청하는 태도를 보여 주어야 한다. 교사는 열심히 프로그램을 들으면서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나 용어 등이 방송될 때에는 시청 후 지도를 위하여 칠판에 써두고 어떤 특정한 지역이 거론될 때에는 지도에서 그 고장을 지적해 주며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학습자들을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로 하여금 청취 중 중요 내용을 필기하도록 권장하나 지나친 필기는 오히려 듣고 이해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삼가도록 지도한다.
5> 평가 : 평가는 매체 사용에 있어 마지막에 실행되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단계이다. 그러면 방송 프로그램을 청취한 뒤 그 프로그램의 사용이 과연 효과적이었는지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전형적인 방법으로는 프로그램을 청취 후 질문을 하여 청취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얼마나 많이 기억하고 있는가를 알아냄으로써 평가를 할 수 있다. 또는 매 프로그램을 청취 후 미리 준비된 설문지에 답을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지만 권장할 방법은 아니다. 유능한 교사라면 <표1>와 같이 학생들의 반응, 표정, 호기심, 동기유발 등을 관찰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그램 청취 후, 프로그램의 주제에 관해 많은 질문을 해 오거나 좀 더 알고 싶어 한다면 설문지나 질문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청취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로 하여금 <표2>와 같은 방송 학습 기록 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평가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

키워드

교육,   방송,   교육방송 ,   교육공학,   영상,   교사,   유아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1.06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9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