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파트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아파트 브랜드 특성
제1절 브랜드의 개념
제2절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업 전략

제3장 아파트 브랜드의 활용 전략
제1절 브랜드 네임
제2절 우리나라 아파트 브랜드의 변천사
제3절 CI, CIP 디자인
제4절 브랜드 슬로건
제5절 색채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제6절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제4장 결론

본문내용

광고모델이 미치는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더욱이 이미지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현대의 시대적 감각에 비추어 볼 때, 브랜드나 제품의 이미지로 전이되는 광고모델의 이미지는 소비자로 하여금 특정 브랜드에 대하여 친근감을 느끼게 하고 남다른 신뢰감을 부여하기도 한다(한국방송광고 공사, 1992). 다시 말하면 브랜드의 광고모델 자체가 가지는 이미지가 그 광고 자체에 대한 효과적 측면뿐 만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측면으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소비자의 구매의사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표12]는 아파트 브랜드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정리한 내용인데 표에 의하면 10개사 아파트 광고는 80%가 광고 모델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편한세상과 월드메르디앙만 일반모델을 활용하였으며, e-편한세상은 ‘집은 쉼이다’라는 광고카피를, 월드메르디앙은 ‘집은 이세상 가장 아름다운 쉼표입니다’라는 광고카피를 통하여 자사 슬로건을 홍보하고 있다.
[표8]아파트 브랜드 광고 커뮤니케이션
아파트 브랜드
건설사
광고카피
모델
힐스테이트
당신의 H는 무엇입니까?
(초기 런칭광고)
세상을 가치있게
사는 방법
고소영
임권택
윤도현
유순신
최인호
래미안
클라이맥스를 산다
장서희
김성수
푸르지오
보이는 크기보다 가치의 크기를
아는 그녀
김남주
e-편한세상
집은 쉼이다
모녀이미지
일반모델
SK VIEW
사랑은 SK VIEW를 타고 옵니다
지진희
윤정희
자이
당신을 빛나게
하는 이름
이영애
월드메르디앙
집은 이세상 가장 아름다운 쉼표입니다
수영미이지
일반모델
신일해피트리
행목은 집에 삽니다
최지우
더샵
어고노믹스 디자인
생활의 샵
장동건
롯데캐슬
이세상 가장
높은 꿈은 캐슬입니다
장진영
제4장 결론
현재 한국의 아파트 브랜드시장은 한참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다. 성숙기에 접어든 브랜드는 ‘fad'가 아닌 ’trend'로 자리잡기 위한 지속적 관리가 무엇보다다 중요하다. 아파트 건설의 고급화와 한글 브랜드를 사용함으로써 얻은 확고한 브랜드 파워 등 아파트 주거환경의 많은 부문이 개선되었지만, 이에 못지 않게 아파트 구입 비용에 거품이 많아졌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글브랜드명 사용으로 강화된 긍정적인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소비자드에게는 분양가에 대한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여 의혹을 제거해 주는 등의 지속적인 관리야 말로 아파트 브랜드 파워의 유지를 위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사항이다.
국내 아파트 브랜드의 브랜드 요소는 연관성 즉, association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였다는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이후에 펼쳐지는 커뮤니케이션에도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일관성을 높이고 매체의 효과를 높이고 비용의 효율성을 높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첫째, 아파트 브랜드 전략에서 시각적 요소는 그 자체의 의미에 기업의 촉진프로그램이 통합되어 전략적인 이미지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전개되어야 한다.
둘째, 시각요소의 사용에 있어 산업에 적합한 이미지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가능성은 기업 이미지 전략의 수립과정에서 사전에 시장과 소비자조사를 통해 표적 소비자계층이 보다 쉽고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는 색상과 디자인 요소를 이용해 기업 이미지를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특히 시장 또는 소비자조사에서는 기업이 표적으로 지향하는 계층을 대상으로 특정 산업에 적합한 시각요소와 마케팅 컨셉을 동시에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차별화된 아이덴티티를 가지기 위해서는 독특한 이미지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아파트 브랜드와 기업이 가져야 할 전반적인 차별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경민(2003). 소비자 특성에 따른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김승현(2003) 광고 사례 분석을 통한 아파트 브랜드 리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김상영(2000), “제품군과 광고의 소구형태에 따라 광고모델이 미치는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김혜영(2003) 브랜드 충성도 형성을 위한 브랜드 네임 유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용주(2007) 브랜드 슬로건에 숨은 의미들, 스포츠칸 5월 13일
노장오(1997)“브랜드 마케팅”. 서울 : 김영사,
배정익, 손재룡, 이경회(2003). 브랜드아파트의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의 선호도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9호(통권179호), 9월
손명곤(1997). 아파트 구매고객의 특성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안광호, 유창조(1999), 광고원론, 법문사.
안광호(2004). 전략적 브랜드 관리, 학현산
오명열(2003). 브랜드자산의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일반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호배, 정이규(1997), “유명인 광고모델속성이 광고태도와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8권, 2호.
정정희 (1996), 기업의 CI개편이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최일도(2002)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 東西言路 제14호 (2002. 12)
최미선(2003)『디자인의 폭을 넓혀주는 웹 스타일북』.(서울: 안그라픽스)
허진민(2003). 단일가구 대상 중소형 아파트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한길원(2002). 수요자를 위한 아파트 상품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홍성민(2000) 인터넷 브랜드의 성공전략과 확장
홍종우(2003). 아파트 단위세대 평면의 변화특성.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Kevin L. Keller(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 Hall.
Max Luscher(1973) 이미지역, Signal of Dersonality(Germany)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2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12.12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