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에 의한 이혼으로 아동이 받는 부정적 영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목적 및 방법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Ⅲ. 이론적 배경
1. 가정폭력의 이론
2. 가정폭력

Ⅳ. 이혼이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1. 가정폭력 노출아동의 개념

Ⅴ. 가출 청소년의 이해.
1. 청소년가출의 문제점.
2. 청소년가출의 의미.
3. 청소년가출의 원인
4. 가출청소년의 당면문제

Ⅵ. 가족치료 이론
1. 정신분석적 가족치료
2. 주요인물에 대한 묘사
3. 구조적 가족상담.

Ⅶ. 이혼 가정의 부모, 자녀를 위한 연구
1.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2. 청소년들의 회복을 위한 집단상담..

Ⅷ. 이혼가족 아이들의 실제 사례

Ⅸ.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더 심각할지도 모른다. 거기에 따른 여러 문제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은 단연 자녀들의 문제 일 것이다. 본 사례로부터 아이들이 부모의 이혼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사례 1.
이름 : 김은지(16세, B여중 1학년 중퇴)
주소 : 동대문구 용두동
아빠와 엄마가 이혼하셔서 아빠와 사는데 아빠한테 맞아서 못참고 집을 나왔습니다. 그래서 공장을 다니면서 엄마를 찾으려고 했는데 도저히 제 나이로는 찾질 못하고 전에 오빠가 말을 했는데 어떻게 알게 되어 엄마하고 저하고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아빠한테 가기 싫어 엄마를 매일 만났고 세월이 흘러 엄마가 수술을 하게 돼서 제가 벌어놓은 돈을 주고 엄마 불쌍해서 같이 살았는데 초등학교 때 잘못 만난 친구 때문에 나쁜 길에 빠졌습니다. 저 딴에는 우리 엄마 불쌍해서 나라도 그러지 말아야지 하며 생각하고 엄마에게로 돌아갔어요. 집 나온 지는 2년 됐고 그냥 호프집에 다니면서 두 달간 엄마에게 월급 타면 돈 주고 그렇게 지냈습니다.
그리고 오늘 제 아는 언니네 친구를 만났어요. 12시 넘어서 그리고 어느 술집 소주방 있는 데에서 언니랑 나랑 레몬 소주 2병 마시고 오빠 차를 타고 집으로 가려던 찰나에 검문에 걸렸어요. 그 오빠는 오늘 처음 본거구요..(이하 생략)
▷ 사례 2.
이름 : 고현주(여 17세, M여중 3중퇴)
주소 : 서울시 송파구 석촌동
초등학교 3학년 때 부모님이 이혼을 하시고, 큰 아버지 밑에서 자랐습니다. 그러다 중 1때부터 아버지와 함께 생활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중 3이 되던 해 5월에 학교를 그만두었습니다. 친구와 함께 주유소에서 알바를 하며 방황을 하였습니다. 술, 담배를 배웠고 몇 개월 후 집에 들어가 언니와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언니와 생활을 하면서 천호동 친구들을 만났고 지금 이 친구들을 만나게 되었습니다.(이하 생략)
▷ 사례 3.
이름 : 나성우(남 17세, K공고 1학년 중퇴)
주소 : 서울시 노원구 중계 4동 J아파트
저는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에 잘못한 점이 너무나 많습니다. 저 때문에 아버지와 어머님이 이혼도 하시고 걱정도 많이 하셨습니다. 그리고 제 몸에다 문신도 하고 담배 불도 지지고 하여서 부모님 걱정을 끼쳤습니다. 매일 밤늦게 돌아다니고 여자 친구들과 담배도 피우고 술도 마시며 다녔는데 지금 와서 후회가 됩니다. 제가 왜 그랬을까 하고 밤마다 부모님 걱정도 안 시켜 드린다고 해놓고는 그런데 그게 제 뜻대로 되지 않았습니다.(이하 생략)
Ⅸ. 결론 및 제언
현대 사회에서 이혼은 어쩌면 사소한 일이 되어버렸다. 결혼 한 세 쌍 중 한 쌍이 이혼한다는 인터넷 기사를 보면서 이제 결혼은 백년가약이라는 말이 조선시대에나 통하는 말이 되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가정폭력은 이혼하는데 있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사유가 된다. 이러한 폭력은 악순환 된다는데 그 심각성을 더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또한 직접 청소년과 이야기를 해보면서 느꼈던 점이, 가정에서 누구라도 폭력을 행사하게 되면 그 파장이 생각보다 심각한 결과를 가져 올 것이라고 보았다. 이는 본 보고서를 통해서도 잘 나타나지만, 우리가 지향해야 할 것은 이것이 이혼으로 가기 전에 예방을 해야 한다는 측면을 부각하고 싶다. 이혼은 그들만의 문제가 되겠지만 이것이 미치는 자녀들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데 그 문제의 심각성을 들어낸다.
부부는 본인들이 원해서 맺고 원해서 헤어질 수 있는 쉬운 관계는 절대 아니라는 생각을 말하고 싶다. 물론 대립과 갈등이 있어도 참고 살라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수 많은 노력은 해봐야 할 것 아닌가. 그들의 순간적인 판단으로 많은 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은 자명한 말이다. 물론 본 보고서의 주제가 가정폭력으로 인해 이혼한 가정의 아이들이 보이는 비행이다. 결과론적으로 우선 비행 청소년의 경우부터 생각하고 싶다. 이미 언급했듯이 불량스럽게 보인다는 아이들의 대부분의 경우 가정의 영향을 받고 양성된 아이들이다. 바꿔 말하면 충분히 예방하고 교육할 수 있었던 부분이라는 것이다.
누구나가 이야기 하듯이 아동청소년은 나라의 미래이다. 이런 미래들을 특정 일을 계기로 나락으로 빠뜨리는 것은 기성세대들의 부주의함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이혼은 그들 당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님에 분명한 인식을 해야 한다. 그로인해 심한 내외적인 갈등으로 어린 자녀들이 받는 피해와 상실을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할 것이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제가 주제를 잡았던 부분의 서적과 논문만을 참조하여 아무래도 비판적인 입장으로 치우쳐진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됩니다.
- 참고문헌 -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교육 프로그램 효과 - 전문가 과정 및 도우미 과정을 중심으로 -
(2004), 조재경,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이혼가족을 위한 대책연구(1997), 변화순, 韓國女性開發院
가정폭력의 실태와 대책(2005), 김인선, 韓國矯正學會
가출청소년 가족에 대한 대상관계 가족치료모델의 적용(2003), 남영옥, 김도애, 한국상담학회
이혼가정 자녀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1992), 주소희, 이화여자대학교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회복을 돕는 집단상담 프로그램(2006), 유정숙, 한남대학교
이혼의 원인과 부부위기 관계회복 방안에 관한 연구(2005), 김동석, 호서대학교
가족상담(2000), 김유숙, 학지사
가족치료 이론(2000), 김용태, 학지사
가정폭력과 청소년(1998), 신낙균, 문화관광부 청소년보호위원회
이혼가정의 아이들(2001), 이혜성, 한국청소년상담원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2005),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 상담의 기초(2002), 이혜성, 한국성소년상담원
폭력가정의 아이들(2002), 이혜성, 한국청소년상담원
가출청소년들과의 아주 특별한 만남(2001), 배상복, 서원
새로보는 가족관계학(1995), 웨슬리 버어 지음, 최연실 옮김, 夏雨
아동복지 및 정책(2001), 아동복지연구회, 학문사
사회복지정책강론(2003), 현외성, 양서원
사회복지행정론(2006), 김기태 외 지음, 대왕사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07.10.02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