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telling 영어교육 분석 및 모형과 활성화방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torytelling 영어교육 분석 및 모형과 활성화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총체적 언어교육
1. 총체적 언어교육의 이론적 배경
2. 총체적 언어교육의 의미
3. 총체적 언어교육의 원리

Ⅲ. Storytelling 영어교육
1. Story의 활용방안
2. Story 종류 및 선택
3. Storytelling을 위한 자료
4. Storytelling의 기술

Ⅳ. storytelling의 의의 및 활용 효과
1. storytelling을 통한 영어 학습의 효과
2. storytelling의 지도 방법

Ⅴ. 교사의 역할

Ⅵ. Storytelling의 수업 절차
1. Storytelling 준비
2. Storytelling을 듣는 동안의 활동
3. Storytelling을 듣고 난 후의 활동

Ⅶ. Storytelling 수업모형
1. Storytelling 수업모형 1 (절차와 평가 수업모형)
2. Storytelling 수업모형 2 (The Three Little Pigs)
3. Storytelling 수업모형 3 (Mrs. Monster)

Ⅷ. 결 론

본문내용

activity
* 주제 :숫자와 색깔을 활용하는 activity
이야기에서는 숫자하고 색깔에 대해서 계속 나왔으므로 숫자와 색깔을 활용하는 activity이다.
* 준비물
숫자를 한 3-4cm로 두 겹으로 쓴다. 그래서 어린이들이 그 안에 색을 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몇 개의 숫자를 쓴 다음 그것을 복사한다. 그것을 어린이들에게 나눠준다.
* 방법
교사가 문장을 말하게 되면, 어린이들이 그것을 색을 칠하는 listening 연습이 된다.
* 교사의 지시문
① Three is green.
② Two is yellow
③ Eight is blue.
④ Six is black.
⑤ Four is pink.
① 교사가 " Three is green."하게 되면 어린이들은 그것을 듣고 얼른 3을 찾아서 3에다 초록색을 칠하게 된다. ② "Two is yellow."하면 역시 같게 2를 찾아서 노란색을 칠한다. "Eight is blue, Six is black. Four is pink."속해서 숫자와 색깔을 연결해서 어린이들이 Listening을 하게 된다. 이때 교사가 한 문장씩 불러줄 때에 문장을 말한 뒤에 충분한 시간을 준다. 즉, 어린이들이 그것을 듣고 색깔을 칠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이렇게 listen and color를 한 번 해줄 수 있다.
(2) What's Missing.
* 주제: 신체에 대한 어휘 연습
* 준비물
동물이나 사람의 얼굴에서 한 부분을 빼서 그린다. 또는 몸의 한 부분을 빼고 그려줄 수 도 있다. 복사해서 어린이들에게 나눠준다.
* 방법
① 위의 복사물을 나눠준 주고 나서 어린이들에게 질문을 한다.
② 어린이들은 그림에서 무엇이 빠졌다고 대답을 한다.
* 질문과 대답의 예시문
① T: No.1 What's missing? S: Nose.
② T: No. 2. What's missing? S: an ear.
③ T: No.3 What's missing? S: a mouth.
먼저 교사가 "1번에는 무엇이 빠졌지?."하고 질문을 하니까, 학생은 '코'라고 대답한다. 두 번째, 세 번째도 같은 방법이다. 여기에서 'a nose, an ear, a mouth. '간단하게 대답한다. 여기에서 교사가 full sentence로 연습을 시키고 싶으면, "Its' a mouth(a nose, an ear)라고 대답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어린이들이 질문하고 대답을 다 끝내고 난 다음, 몸의 빠진 부분을 그리게 한다.
6) 기대효과
이렇게 어린이들은 한 번 배운 단어를 잘 잊어버린다. 어린이들이 배운 단어를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다시 말할 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그것이 흥미를 느끼는 방법으로 해주면 더욱 좋다. 그런 방법의 하나가 'what's missing'이 될 수 있다. 그 방법은 숫자로 말할 수 있다. 숫자를 One, two, 하고 말을 안해주면, three,가 되고 다시, four five가 되고 그 다음에 six가 되는 숫자로도 할 수 있다.
Ⅷ. 결 론
이야기를 사용한 영어교육은 크게 두 가지로 운용될 수 있다.
첫째는 이야기를 전체 수업중의 일부로 이용하는 것이다.
둘째는 일정한 수업시간을 할애할 수도 있다.
2주에 한번 혹은 한 달에 한번 이야기시간을 정해 놓고 이야기를 진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 자신의 판단이다. 자신이 실제 가르치는 아동들의 특성과 제반 여건을 고려한 후 어느 한 쪽을 택할 수도 있고 그 밖의 다른 대안적인 선택도 가능하다. 어떤 방식이 더 적합한가가 중요하지, 절대적으로 좋은 방식은 없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영어에 대한 친숙감과 자신감을 심어주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중. 고등학교 영어 교육의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영어 교육에 있어 이야기의 비중은 더욱 더 강조되고 있다고 본다.
Storytelling은 우리 초등 영어 교육에서 아동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요소임에는 틀림없다. 다만 그것을 준비하는 과정이나 자료 제작에 있어 생기는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교사들이 그 가치를 인정하고 있지만 꺼리는 이유일 것이다. 좀 더 보편화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이야기자료나 교사 자료가 많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초등학교 영어교재에서 빠져있는 Storytelling에 관한 연구를 좀 더 계속하여 아동들이 재미있고 흥미롭게 영어를 학습할 수 있으며 교사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Storytelling과 그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개발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Storytelling을 적용할 것이다.
동화를 활용한 영어교육 방법을 연구하고 적용하면서 storytelling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 영어 교육 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영어 동화책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동화책의 개발 및 동화책 활용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하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언어의 4기능 중 다른 기능으로의 전이효과가 크고 의사소통활동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듣기 지도를 우선적이고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생각할 때 영어 교과서나 지도서에 학년 수준에 맞는 동화를 수록하는 것이 좋겠다.
셋째, 영어 동화책의 선정과 제작은 일반 교사에게 과중한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영어 동화책이나 인터넷을 통한 영어 동화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storytelling을 활용한 수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 학습 모형이 개발, 보급되어야 하고 더불어 교사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
다섯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네 가지 전 영역을 고르게 신장시킬 수 있는 storytelling 활용 수업은 현재 교사들이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권장되고 있는 현실에서 적지 않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강조하며 관심 있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08.02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36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