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분쟁의 원인, 경과, 시사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역 분쟁의 원인, 경과,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역분쟁 현황
- 문제제기
- 전세계 무역분쟁 현황
- 한국관련 무역분쟁 현황

2. 사례분석 (1992년 대규모 제소)
- 배경
- 경과
. 미국의 제소
. ITC의 산업피해 긍정판정
. 상무부의 예비판정
. 상무부의 최봉판정
. ITC의 최종판정
. CIT 항소
- 영향

3. 결론
- 무역분쟁의 시사점

본문내용

전세계 무역분쟁 현황 - 1
1997,8년을 전후, 선진국의 분쟁추이는 증가추세에서 감소추세로 전환.개도국은 감소추세에서 증가추세로 전환. 개도국의 피소 또한 증가추세
-> 개도국 간 분쟁이 증가하고 있음을 반영.
선진국에 의한 분쟁발발 비중이 매우 높음
- 전체 제소 건수 중, 선진국의 제소건수가 65%를 차지.
- 미국과 EU에 의한 제소건수가 50%를 차지
선진국간 분쟁의 경우 미국, EU, 캐나다, 일본, 호주 등 극히 일부 국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
미국과 EU간의 분쟁이 국제무역분쟁의 주류 (미국 26건, EU 22건).
주요 제소 개도국 : 브라질, 인도, 한국, 멕시코 등이 선진국에 대한 집중적 제소 경향
전세계 무역분쟁 현황 - 2
양자간 합의 43.6% (초기 단계 합의 41건, 패널과정 중 합의 20건),
패널판정만으로 해결 11.4%(16건)
상소절차 진행 45% (63건, 패널판정 후 약 80%)
국가군별 비교
개도국이 피소될 경우 가능한 한 합의를 통해 해결하는 경향.
상소는 주로 법적 소송에서 기술적, 비용적 부담 상대적으로 적은 선진국에 의해 활용.
양자간 합의
제소의 경우 거의 비슷(선진국의 경우 44%, 개도국의 경우 42%)
피소의 경우 개도국이 월등히 높음(선진국 37%, 개도국 54%)
패널 후 상소절차 진행
선진국의 경우 피소의 경우(87%)가 제소의 경우(75%)로 높은 반면 개도국의 경우 피소의 경우(65%)보다 제소의 경우(88%)로 더 높음
  • 가격2,1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7.1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3593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