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행동 분석) 인라인 스케이트에 대한 소비자 안전행동 관련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조사개요
ⅰ) 조사배경 및 목적
ⅱ) 조사내용 및 방법
ⅲ) 조사기간
ⅳ) 조사대상

Ⅱ. 문제제기
ⅰ)인라인 스케이트의 안전실태
ⅱ) 문제점 및 해결방안

Ⅲ. 이론적 고찰
ⅰ) 소비자 정보탐색
ⅱ) 안정정보탐색 전략

Ⅳ. 조사결과 및 자료분석
① 정보탐색의 중요도
② 정보탐색시 이용 매체 및 그 매체의 신뢰도
③ 광고의 영향
④ 성별 안전성 중요도
⑤ 신체보호장비의 유무 및 신체보호장비 미착용 이유
⑥ 연령대별 구매시 고려사항
⑦ 구매선호도
⑧ 안전교육
⑨ 위험지각

Ⅴ.결과 및 자료 요약

Ⅵ.참고 자료

본문내용

착용유무가 낮게 나타났다. 신체 보호장비 미착용의 이유로 갑갑하다와 귀찮다는 의견이 전체의 35%를 차지하였고,“ 거치장스럽다“와 “인라인을 잘탄다“는 의견이 12%를 차지하였습니다. 그 외에 그냥 착용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6%로 나타났습니다.
그림4) 신체보호장비의 유무 및 미착용이유
⑥ 연령대별 구매시 고려사항
그림5) 연령대별 구매시 고려사항
- 연령대별 구매시 고려사항을 볼 때 20 ~ 35세 연령대에서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항목들 중에서도 특히 피해보상항목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14 ~19세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그 중에서 안정성에서 가장 낮은 응답을 하였으나 이 연령대 역시 피해보상에서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7 ~13세의 연령대에서는 선호상표와 경제요인보다는 안정성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조사결과를 보아 구매시 응답자들은 다른 어떤요소들 보다도 안전성과 피해보상에 대한 것을 중요시한다고 보여진다.
⑦ 구매선호도
-소비자들의 구매선호도를 선호상표, 고가제품, 제조국, A/S영향, 안전성으로 나누어 볼 때 응답자들은 안정성을 구매선호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연령별차이는 있지만 선호상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매선호도로 가장 높게 나타난 안전성은 20~35세의 연령층이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4~19세 연령층에서 안전성을 중요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6) 구매선호도
⑧ 안전교육
-응답자의 경우 63.3%가 교육의 경험이 없다고 답하였는데 안전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귀찮아서, 필요성을 못 느껴서, 안전교육의 기회가 없어서, 등의 이유를 들었다.이것으로 보아 무엇보다도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것과 기회의 제공이 중요시 된다.
그림7) 안전교육의 중요성
-7~14세는 응답자는 “그렇다“에 많은 응답을 해주었고 15~19세는 그렇지 않다가 제일 많았다. 20~35세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으며 36~59세는 그렇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다. 안전 교육의 중요성은 연령대별로 생활방식과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료에 나타났듯이 기성세대가 저연령층에 비해 안전 교육을 중요시한다고 응답한 것이 눈에 뛴다.
⑨ 위험지각
-7~13세는 보통이다가 많았고 14~19세는 그렇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다. 20~35세는 그렇지 않다로 응답한 사람이 많았으며 36~59세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사람 제일 많았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조사 결과는 20~35세가 인라인 스케이트는 위험하지 않다고 보았고 36~59세에서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매우 위험하다고 본 것이 특징이다.
그림8) 연령별 위험지각
Ⅴ. 결과 및 자료 요약
-인라인 스케이트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나 구매시 정보부족과 안전장치 미착용으로 인한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에게 인라인 스케이트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 너무나 다양해서 구매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한다. 그래서 본 조사에서 인라인 스케이트 구매시 소비자의 태도에 대해 조사해 본 결과, 연령과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한 응답반응이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안정성과 피해보상, 광고 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늘어나는 인라인 이용자를 위해 기본적인 안전 교육과 보호장치 착용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며, 구매에 있어 소비자들의 현명한 선택을 위한 장치가 뒷받침되어야 할것이다.
Ⅵ. 참고 자료
한국 소비자 보호원 -www.cpb.or.kr
소비자 행동론 저자: 박영봉 출판사: 전영사
소비자 행동론 저자: 유동근 출판사: 예지각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3.28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