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축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의 축제
1)축제의 기원
2)축제의기능과 방향
3)축제의 현대적 성격과 의의

2. 한국의 굿
1)무속의 성격
2)무의 유형과 분포
3)무속의 제의
4) 굿의종류

3. 한국의 탈춤
1)기원

본문내용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가산오광대, 수영야류, 동래야류 등이다.
한편 이와
계통을 달리 하는 서낭제 탈놀이 중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단오굿의 관노탈놀이는 농경의례설과 관련되지만 마을 굿의 일부로써 연희되며, 세시의례(歲時儀禮) 연극의 성격을 지닌 향촌형의 탈로 분류할 수 있다.
②춤의 특징]
탈춤은 극의 내용과 탈의 표정을 살리는 동시에 극의 한 단원(과장)을 마무리짓는 구실과, 대사와는 관계없이 예술적이고 흥겨운 춤을 추기도 한다.
춤사위를 비교해 보면, 해서지방의 춤은 대체로 팔목중들의 사위춤(한삼춤)이 주가 되어 타령 장단에 맞추어 춘다. 북방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이 춤들은 한삼의 휘돌림과 힘찬 도무(跳舞)로 짜여 있으며, 무폭(舞幅)이 커서 마치 악귀를 쫓는 듯한 전투무용적 성격을 보인다.
경기지방 탈춤은 다양하고 잘 정리되어 있으며, 주된 춤사위는 마디마다 신명을 집어넣는 ‘거드름춤’과 신(멋)을 풀어내는 ‘깨끼춤’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춤에는 손을 내놓고 추는 춤사위가 많으며, 매듭이 확실한 타령 장단을 쓰기 때문에 동작도 맺고 끊는 매듭춤으로 되어 있다.
영남의 야류나 오광대춤은 ‘배김새사위’외에는 별다른 춤사위가 없고 즉흥적인 허튼춤을 추는 경우가 많다. 이는 민중적인 춤이 성행한 증거이며, 사물(四物)을 중심으로 한 농악연주로 춤을 추기 때문에, 한층 흥이 나고 구수한 멋이 있다.
춤사위 중에서 몸짓춤을 보면, 방어적인 동작과 악귀를 격퇴시키는 무술적인 동작, 풍년을 기원하는 축원무와 농경행위의 모방동작, 성행위를 상징한 동작, 동물과 사람의 흉내를 통한 풍자 묘사, 그리고 부락인의 단합을 위한 대동춤이 있다.
탈춤사위는 정신을 한
곳으로 모아 맺고, 어르다가 푸는 순서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춤에 따라서는 동작의 시작과 끝이 뚜렷한 매듭춤과, 뚜렷하지 않은 유동적인 춤들이 있다. 이러한 춤들은 자연의 모방과 농경행위, 성행위 또는 귀신을 격퇴시키는 무속신앙과 결부된 행위이던 것이 점차 풍자적인 춤 등 민중들의 의지가 담긴 상징동작과 민중적 미감에서 나온 예술적 표현으로 변모하였다.
③탈춤의 우수성
탈춤을 살펴보면 연희자가 관중의 한 사람으로서 등, 퇴장하고 극중 인물이 관중에게 말을 걸거나 직접 요구하기도 하며 관중도 기회 있을 때마다 연희자의 극중 행동에 간섭하면서 능동적으로 개입하기도 하고 신이 나면 탈판 속으로 뛰어들어 군무를 이루기도 한다. 극중 인물이 이와 같이 관중과 같은 위치에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판 자체가 곧 극중 장소이기도 하다.
이러한 탈춤은 민중의 실제적인 삶의 모습을 놓고 한데 어울려 논다는 뜻에서 "대동놀이"라는 성격을 분명히 지니고 있다. 대동놀음으로서의 축제판인 것이다. 이러한 축제는 인습적인 타부를 깨뜨리며 전도된 가치를 행동으로 성취하려는 반란이 그 주지가 되어있다. 거기에는 공동의 적을 퇴치하고 공동체적 삶을 옹위하며 그 공감대를 일상 생활선상에서 확충하고자 하는 민중의 의지를 담고 있다.
탈춤은 공동체의식의 공유와 그 실현이라는 배경아래서 진행되어 왔고 탈춤에서의 공동체 의식은 민중들의 실제 생활상의 유대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농사를 위주로 하는 그들의 노동생활은마땅히 연희를 필요로 하였고 그러한 연희를 통해 그들은 반복적인 노동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아울러 삶의 고통이나 나아가 사회적인 억압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
또한 극의 내용으로 볼 때 서민계층의 생활경험을 엮은 것으로 사회의 부도덕을 고발하고, 양반계급을 야유하며, 승려들의 파계나 축첩을 비난하기도 하는 등 민중의 불만을 풍자를 통하여 표현한다. 탈춤 속에는 한국인의 낙천적인 성격과 여유가 담겨 있으며 이 춤을 통해 평소의 불만과 갈등을 해소하고 이어지는 뒤풀이에서는 춤을 추는 사람들과 관중들이 한데 어울려 춤을 춤으로써 하나로 단결되는 동시에 넘치는 생명력을 되찾게 된다.
평소에는 서민으로서 사회에 대한 비난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만 탈이라는 매개체가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즉 탈이라는 것은 은폐성, 신비감, 역할 대행, 판 놀음의 신명 등을 증폭시켜 탈춤 특유의 표현성을 북돋아주는 열쇠이다.
④탈춤의 종류]
1) 서울을 중심으로한 중부지방의 탈춤 :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2) 황해도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방의 탈춤 : 강령탈춤, 봉산탈춤, 은율탈춤
3)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방의 탈춤 : 통영오광대놀이, 고성오광대 놀이,
수영들놀음, 동래들놀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