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공책봉 제도와 식민지 체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공책봉 제도와 식민지 체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통시대 중국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2. 유교문명권
3. 중화사상
4. 조공책봉제도
5. 결 론

본문내용

가 많이 설치되어 청왕조의 주권이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동요 속에서도 근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동치중흥(同治中興)을 통해 근대 공업이 일기 시작했으나 청·일전쟁이 일어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청·일전쟁 직후에는 캉유웨이[康有爲]의 점진개혁론이 활발했으나 무술정변(戊戌政變)에 의하여 실패하고 의화단(義和團)의 북청사변(北淸事變)은 청왕조를 더욱 궁지로 몰아넣었다. 러·일전쟁 후 쑨원[孫文]이 신해혁명(辛亥革命)에 의하여 임시 대통령에 취임하여(1912) 2,000년 이래의 전제군주제가 무너지고 공화제의 중화민국(中華民國)이 탄생되었다. 그러나 그 후 약 20년 간 군벌의 압제에 시달려야 했다.
쑨원의 사후에 후계자가 된 장제스[蔣介石]는 북벌(北伐)의 성공으로 양쯔강 유역에 진출하였다. 난징사건[南京事件]이 일어나 소련과 단교한 장제스는 군벌 장쭤린[張作霖]을 몰아내어 국민정부를 정통 정부로 만들었다(1928). 장제스는 소련과 단교했을 때 중국 공산당도 탄압하였다. 이때 공산당은 지하로 숨어 소련의 원조를 받았다. 일본의 침공이 격화되자 장제스는 다시 공산당과 화해하여 일본에 대항하였다. 그 동안에 공산당의 세력이 증대해갔다. 공동의 적인 일본이 패하자 국민정부와 공산당은 다시 적대관계로 돌아가 국공 내전이 계속되다가 국민정부가 패하여 타이완으로 물러가고 공산당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웠다.
중국에서 제기된 동아시아론
- 청일전쟁->5.4 운동 시기까지
ⅰ. 중화주의적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지 못함 ( 양계초의 '강국몽' 이나 손문의 아시아주의 )
ⅱ. 초기 공산주의에서도 "중화가 아시아 문명의 비조이며 아시아 각 민족이 중국과 혈연관계를 맺지 않은 국가가 없는" 중국은 '아시아 문명의 대표'라는 인식을 갖고 중국을 중심으로한 동양이 서구와 대결하자는 논리로 비약되기도 함
- 5.4 운동 이후
ⅰ. 일본의 팽창주의와 직면하면서 아시아주의의 한계를 느끼고 다른 방법으로서의 민족주의 채택
ⅱ. 국가를 초월한 단위의 연대가 아니라 민족국가 단위의 연방 주장
ⅲ. 대외관계 이념으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채택 -> 약소민족과 피압박민족의 연대의식 적극적 표명
-> 민족주의가 지닐 수 있는 팽창주의와 파시즘적 요소를 견제하는 역할 수행
ⅳ. 한국전쟁 참여, 미국에 대한 보호막으로서의 한반도의 필요, 50%이상이 몰려있는 동북지방의 중공업단지 보호, 동아시아 안정을 통한 군사비 절감
->민족주의적 요소
ⅴ. 북한에 대등한 관계를 바탕으로한 연대의식과 존중 표명, 참전군들에게 중국에서와 동일하게 행동하라고 지시, 1958년 11월 북한의 요구에 따라 인민군 완전 철수
->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적 요소
ⅵ. 최근까지 북한에 무상원조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음을 증거
ⅶ. 애국주의 : 사회주의이념 몰락에 따른 대체이념으로 등장한 내부결속용의 성격이 강함.
ⅷ. 타국을 향한 팽창이데올로기적 성격보다는 대내적인 민족통합이데올로기적 성격이 강함
ⅸ. 미국의 공격적 중국정책으로 인해 더 강조되는 성향이 있음
(4) 서구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동아시아론
공동체론
동아시아에서의 미국의 영향 약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아시아의 낙관적인 발전을 전망하지만 동아시아 발전의 커다란 축 중 하나가 될 중국의 근대 동아시아 인식을 패권주의라고 바라보는 시각은 그 기반에 서구에 위협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황화론을 근거로 하고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 황화론
황인종의 진출로 인하여 백인종에게 재화가 미칠 것이라는 황화론이 공식적으로 제기된 것은 1895년 독일 황제 빌헬름 3세에 의해서였다. 징기스칸에 의해 유럽대륙이 잔인하게 짓밟힌 이래, 황화의 공포는 서구인 사이에 이미 짙게 두리워져 있었다. 그러나 청일전쟁(1984-95)이 끝날 때 빌헬름 황제가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거론함으로써, 황화론은 되살아 났다.
사오년전 중국 대륙을 비롯한 세계 각지의 독서인들을 사로 잡았던 정치예언 소설이 <<황화>>란 제목으로 출간되면서, 다시 널리 회자(膾炙)되기에 이르렀다. 필명 '빠오 미'(保密)가 암시하듯이, 소설은 현재의 통치체제를 비판하는 내용도 담고 있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조심스레 전망하는 중국 분열이 현실화됐을 때 전세계에 미치는 비참한 결과를 주로 그리고 있다.
그러나 소설이 가장 충격을 주는 장면은 수억의 중국인이 세계 각지로 표류하는 모습이다. 각양 각색의 중국인이 여기저기에서 떼를 지어 몰려드는 모습을 상상만 해 보아라!
소설의 가상(假想) 장면과 관계없이, 황화론을 이미 현실로서 인식하는 목소리가 세계 도처에서 들리고 있다. 자그만치 2천 5백 만명의 중국인이 이미 세계의 여기저기에 퍼져 살고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이민의 물결이 계속해서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중국인 불법이민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부상해 있다. 현재 중국대륙에서 '망리유'(盲流)라 불리우는 떠돌이들이 1억 이상을 상회하기 때문에, 그같은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황화론에 대한 반박
가. 황화론은 미국의 서부개척이 끝난 시점에서 등장해서 필요할 때마다 작동되어 미국 내의 위기의식을 고취하고 중국에 대한 강경책을 만들어냄
나. 원래 태어난 곳에 살지 않고 다른 곳에서 삶을 영위하는 인구가 이미 2억 이상을 돌파한 현재의 시점에서, 이민에 대한 막연한 공포심이나 경계심은 점차 설득력을 상실하게됨
다. 현재 우리 사회나 일본 등지에서 주장되고 있는 공동체론 (동아시아 공동체론)은 중국에 대한 인식을 황화론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문제가 제기된다.
(5) 결 론
- 현대의 중국의 동아시아론은 민족주의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가 병행해서 수행되는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그것이 서로 견제의 의미를 가짐으로 인해서 패권주의로 비약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 최근들어 고취되고 있는 애국주의 또한 미국의 공격적 정책에 대응하는 내부결속용의 성격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따라서 우리는 기존의 다분히 서구적이고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을 버리고 새로운 동아시아 질서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12.2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9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