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학에 나타난 통일의식에 대한 분석과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문학에 나타난 통일의식에 대한 분석과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동향
3. 연구 방법 및 범위

제 2 장 본론
1. 통일 주제 문학의 새로운 경향과 당의 문예정책
1) 1990년대 북한의 문예이론
2)『주체문학론』에 나타난 민족 문제
3) ‘통일 주제 문학’의 새로운 양상과 당의 대응
2. 조국 통일 주제 문학에 드러난 변화 양상 분석
1) 조국 통일 주제 문학에 나타난 문학적 자율성
2) 통일 주제 소설과 공식적 이데올로기와의 조화

제 3 장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원한 인간의 심성인 혈육의 정에 대한 그리움을 탈이데올로기적인 범주에서 작품화한 것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혈육에 대한 그리움과 상봉의 갈망은 오늘날 남북 간의 냉엄한 분단의 장벽을 허물고 민족 공동체의식을 찾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또한 중요한 점은 조국 통일 주제 소설이 공식적인 당의 이데올로기에 적절하게 부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위 작품들이 새로운 경향의 통일 주제 소설에 대한 경고성 지적이 있은 이후에 발표되었기 때문에 당의 공식적 이데올로기에 대응되는 내용이 전면에 등장하게 된 것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제 3 장 결론
1990년대 이전 통일에 대한 북한의 기본적인 생각은 미국으로부터의 남한의 해방과 자본주의 사회의 열악한 환경에서 고통 받는 남한 동포의 해방이라는 두 중심축을 바탕으로 작품에 투영되었다. 하지만 최근 북한의 문학 작품에 드러난 통일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두 중심축이 붕괴되고 새로운 기류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로 분단으로 인한 한과 혈육에 대한 그리움이다. 혈육에 대한 정은 가족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족적인 범위로 보편화되어 결국 ‘우리는 하나’라는 민족의식으로 귀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조국 통일 주제 문학의 새로운 변화 양상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는 자료의 미비로 인해 80년대 이전의 작품 연구에 치우치거나 주체사상과의 관련성에 치우쳤었다. 하지만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북한에서 새롭게 보이는 변화의 양상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이후 이러한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북한에서 조국 통일 주제 문학의 양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에 주목하여, 이재인 등이 중국과 한국을 오가면 원전 자료를 수집하고, 이와 더불어 김재용과 김종회 등에 의해 북한의 통일 문학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던 것이 북한문학 연구사에 큰 이정표를 남겼다고 생각한다.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조국 통일 주제 문학이 가지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사회에 대한 비방이 아닌 북한 사람들의 개인적인 아픔을 상세히 그리고 있다. 둘째, 월남의 이유가 납치나 강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이다. 셋째, 진부하지 않은 일상적인 소재가 사용되어 독자와의 거리감이 줄이며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넷째, 민족의 개념이 중요하게 등장하여, 가족에서 민족으로 통일의식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다섯째, 북한의 문예정책을 염두에 둘 때 비교적 자율적으로 창작되었지만, 당의 공식적인 이데올로기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필자는 새롭게 변화하는 통일 주제 문학의 자율성과 당의 공식적 이데올로기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주목했다. 주유훈의 「어머니 오시다」를 중심으로 통일에 대한 염원과 의지가 개인적 차원에서 어떻게 민족적 공식적 차원으로 확대되어 ‘통일용사’로 변모하는 지에 주목했다. 또한 김교섭의 「누이의 목소리」를 통해 개인의 희생을 바탕으로 통일을 이룩하려는 성향을 살펴보았다. 즉, 최근 북한에서 발표되는 조국 통일 주제 문학도 당의 문예정책 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며, 적절한 수준에서 작가의 자율성과 당의 공식적 이데올로기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분단으로 인한 개인의 아픔을 일상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친밀하게 호소하면서 점차 민족적인 차원으로 확대해 가고 있으며, 통일을 위해서는 개인의 희생도 감안하는 것이 한 겨레의 아름다운 모습으로 추앙하고 있다.
문학과 사회는 분리될 수 없다. 특히 당의 문예정책에 의해 많은 영향력을 받고 있는 북한의 문학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우리 식대로 창조하자」라는 당의 공식적 이데올로기 하에서도 북한의 통일 주제 문학이 전반적인 변화를 보이는 경향이 더욱 의미가 있다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앞으로 통일 주제 문학 연구를 통해 북한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
Ⅳ. 참고문헌
『뻐꾹새가 노래하는 곳』, 살림터, 1994.
『쇠찌르레기』, 살림터, 1993.
백남룡, 『벗』, 서울 : 살림터, 1992.
김문환, 〈김정일 문예관과 문예정책의 기본원리 연구〉, 계문사, 1998.
김인숙, 『민족의 운명과 김정일 령도자』, 평양출판사, 1995.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김재용, 「김정일 시대의 주체문학론」, 『문예중앙』, 1995, 봄.
김재용, 『민족문학운동의 역사와 이론 2』, 한길사, 1996.
김재용,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소명출판, 2000.
김재용,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4.
김재홍, 홍용희 공저, 『통일시대의 남북한 문학』, 청동거울, 1999.
김종회 편, 『북한문학의 이해 3』, 청동거울, 2004.
『북한문학의 이해 2』, 청동거울, 2002.
김홍섭, 「단편소설의 양상을 다양하게 살리자」, 『조선문학』, 1981, 1.
명일식, 「단편소설에서 사회적 문제성을 더 예리하게 제기하자」,
『조선문학』, 1984, 2.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 강좌』(하), 창작과 비평사, 1995.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 문학사 인식』, 창작과 비평사, 1991.
박태상, 『북한문학의 현상』, 깊은샘, 1999.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평양, 사회과학연구소, 1985, 힘 재출판, 1988.
신형기, 오성호 공저, 『북한 문학사』, 평민사, 2000.
이명재 편, 『북한문학사전』, 국학자료원, 1995.
이명재, 『북한문학의 이념과 실체』, 국학자료원, 1998.
이재인, 이경교 공저 『북한문학강의』효진, 1996.
이재인, 『북한문학의 이해』, 열린길, 1992.
이종석, 『새로 쓴 현대 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조선작가동맹 간, 월간 《조선문학》, 1990.1~2003.12(소재 : 통일의식).
최동호, 『남북한 현대 문학사』, 나남출판, 1995.
최상, 「우리식 문학건설의 강령적 지침」, 『조선문학』, 1990, 1.
통합문화연구소, 『김정일과 북한문화예술』, 삼보사, 1996.
현길언, 『소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나남출판, 1997.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5.12.1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