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산업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국내 캐릭터 산업 현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캐릭터의 정의

2. 캐릭터의 산업화 및 특징

3. 캐릭터의 종류

4. 캐릭터의 상품화

5. 국내 캐릭터산업의 규모
(1) 국내시장 규모
(2) 국산 캐릭터의 시장 점유율

6. 국내 캐릭터산업 현황
(1) 국산 캐릭터의 역사
(2) 캐릭터업계 현황
(3) 국산 캐릭터의 종류
(4) 기관 및 단체 캐릭터 현황
(5) 지방자치시대와 캐릭터

본문내용

성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유통시장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주)캐릭터랜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92년 디자인 전문회사로 출범하여 종합광고대행사로 성장한 캐릭터랜드는 최근 캐릭터라이센스, 상품제조, 전자상거래, 유통, 애니메이션영화제작사업, 캐릭터 테마파크 등 토털 캐릭터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기능성 향제품에 대한 월트디즈니 독점라이센스권과 폭찹 캐릭터의 국내 독점 마스터라이센스권을 획득하고 전국 120여개의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다.
(3) 국산 캐릭터의 종류
캐릭터의 종류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팬시 캐릭터에서부터 기업ㆍ단체 캐릭터, 브랜드 캐릭터, 이벤트(캠페인) 캐릭터, 스타 캐릭터, 광고ㆍ프로모션 캐릭터 등으로 캐릭터 사용 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팬시 캐릭터란 독자적인 제품군의 주인으로서 활용되는 캐릭터를 말한다. 기업ㆍ단체 캐릭터는 기업이나 지자체 및 각종 단체가 상징으로서 사용하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브랜드 캐릭터는 브랜드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일환으로 사용하는 통일된 제품 이미지를 형성하는 캐릭터다. 이벤트 캐릭터는 각종 행사, 체육대회, 박람회 등에 사용되는 엠블렘이나 마스코트 등의 캐릭터다.
스타 캐릭터는 연예인 스포츠맨 등의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인물 캐릭터이다. 광고ㆍ프로모션 캐릭터는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광고나 프로모션을 위해 개발된 캐릭터를 말한다.
(4) 기관 및 단체 캐릭터 현황
캐릭터를 만든 주요 기업체 및 정부 기관 및 단체는 다음과 같다.
기아엔터프라이즈, 나래블루버드, 나산플라망스, 남원시, 대구동구청, 대우제우스, 대우로얄즈, 대전시트즌, 도서출판 대원사, 동양오리온스, 두산베어즈, 디자인 마케팅 연구소, 디자인뱅크, 레뎀, 로이비쥬얼(서울애니메이션센터), 롯데자이언트, 부천SK, 빨간망토 차차, 삼성라이언스, 삼성썬더스, 삼성영상사업단, 서울공대, 세인디자인, 수서경찰서, 수원삼성블루윙스, 쌍방울레이더스, 아담소프트, 아트랑, 안동문화방송, 안양LG치타스, 애니하임, 엠씨아이, 영 프로덕션, 온디자인, 울산현대호랑이, 인천남부소방소, 전남 장성군 홍길동캐릭터, 전남드래곤스, 전북다이노스, ㈜디자인파크, ㈜워프, ㈜탐스코리아, ㈜MCI, 진진과 캐릭터, 천안일화, 청도소싸움, 캐릭터영상디자인스쿨, 캐릭터존, 코오롱, 포항스틸러스, 포항시청, 퓨처아트(서울애니메이션센터), 프로덕션조범진팀(서울애니메이션센터), 한들 인터내셔널, 한얼디자인, 한화이글스, 해태타이거스, 행정자치부, 현대다이넷, 현대유니콘스, 현대인포메이션, chezmoi, Imagefactory, LG세이커스, LG트윈스, SBS스타즈, SK나이츠 등 <총 67개, 자료 출처: KIDP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designdb.com)>
(5) 지방자치시대와 캐릭터
지방자치시대의 출범과 아울러 각 지자체는 관광사업과 문화사업을 다양하게 유치·홍보하고 수익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축제 하나 없는 지역이 없을 정도로 각 지역마다 축제 붐이 조성되고 있다. 각 지역의 특징을 살린 ‘강화 고인돌 축제’, ‘정읍 내장산 단풍 축제’, ‘이천 도자기 축제’ 등등…
이런 고유한 친근감을 통해 지역 주민과 지자체, 관광객을 자연스럽게 하나의 이미지로 연결시킬 수 있고, 공동체라는 동질감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장성의 홍길동’, ‘영월의 김삿갓’ ‘남원의 춘향과 이도령’ 등과 같이 지역과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통해 효율적인 지역홍보를 겸할 수 있다. 그동안 자체 캐릭터를 개발한 지자체는 지역 특성을 살린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이러한 홍보전략은 관광수입 등을 통한 지자체의 재원 확보와도 직결된다.
그러나 차별화가 약하고, 관(官)이라는 경직된 이미지를 조성하는 경우가 많다. 좀 더 친근한 이미지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산업, 이벤트산업, 지역산업 등 각 부분을 하나로 통합할 이미지가 필요하다.
각 지역의 다양한 문화축제와 각종 이벤트들, 그리고 지역내의 산업을 ‘그 지역의 것이다’라는 인식의 확보를 위해서는 반드시 이미지 통합(Image Identity)전략이 필요하다.
지자체 캐릭터 개발의 또 다른 이유는 지방자치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지역주민을 하나로 통합할 이미지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자체 마크만을 이미지화하고 있다.
그러나 마크는 지자체간 캐릭터를 이용한 이미지 통합전략을 통해 그 지역만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주민들간 동일의식을 고취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0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7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