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핑 - 스포츠와 금지약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핑 - 스포츠와 금지약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도핑
1. 도핑이란?

Ⅱ. 스포츠와 금지약물
1. 약물의 분류
2. 도핑방법
3. 경우에 따른 적용
4. 스테로이드와 Clenbutenol
5. 성장 호르몬과 카페인
6. 혈액 도핑과 erythropoietin

Ⅲ. 도핑 테스트의 현재와 미래
1. 한국의 도핑 테스트 기술
2. 선진국 도핑 테스트 기술 동향
3. 세계 도핑 테스트 시장 전망

#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검사 수행을 통해 외화 지출을 절감하는 동시에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는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2. 선진국 도핑 테스트 기술 동향
생활수준이 높은 선진국의 경우 대부분 도핑 테스트 기관을 갖고 있고 비교적 높은 수준의 도핑 테스트 능력을 갖고 있다.
한편 70년대까지만 해도 '흥분제'와 '마약진통제'성분을 가려내는 수준이던 도핑 테스트는 1981년 IOC-MC 산하에 "Doping and Biochemistry of Sport" Sub-commission이 만들어지면서 금지약물에 근육 강화제 종류가 추가되었고, 1987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IOC-MC에서는 부신피질호르몬제와 성장호르몬, probenecid가 금지약물로 새로 등장했다.
<표Ⅲ-2-1> IOC가 인정하는 도핑테스트 기관 대륙별 수
Confinent
Year 2000
Year 2001
Year 2002
Europe
17
16
17
America
3
2
2
Asia
5
5
5
Australia
1
1
1
Africa
1
1
2
Total
27
25
27
이어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대회와 서울올림픽대회에서 이뇨제와 베타-차단제가 더해졌고, 계속해 근육강화제와 베타-길항제들이 추가되고 있다. 그리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대회에서 조혈제인 erythropoietin (EPO)이 정식으로 추가되어 혈액시료와 소변시료에서 약물검사를 실시하였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대회에서는 혈액시료의 검사를 강화해 소변시료보다 더 많은 혈액시료를 검사하였고, 러시아 선수에게 양성판정을 내렸다.
금지약물 수는 1970년대 30여 종에 불과하던 것이 1984년 LA올림픽대회 때는 72종,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 때는 102종, 그리고 2000년 시드니올림픽대회 때는 137종 및 그 대사체로 되었다. 금지약물의 종류는 매년 1월 1일 IOC-MC에서 발표하고 있는데 2001년부터는 국제 반 도핑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의 관리 하에 대상 금지약물목록이 결정된다.
국제 반 도핑기구(WADA)는 최근 들어 프로선수들과 아마추어선수들을 망라한 팀의 올림픽대회 출전으로 아마추어리즘의 한계가 불분명하여짐에 따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와 국제경기연맹(IF; International Federation)과 각 나라 관계자가 참여하여 1999년 11월 10일 스위스 로잔에 설립된 기구로 금지약물에 대한 규정을 관장하고 있다.
그래서 전에는 도핑 테스트를 할 때 IOC-MC에서 제정한 Medical Code를 적용하였지만, 2000년부터는 국제 반 도핑기구에서 제정한 Olympic Movement Anti-Doping Code에 따라 도핑 테스트가 이뤄지고 있다.
한편 독일과 덴마크의 의사들은 선수들이 인간 성장호르몬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핑 테스트를 지난 99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뇌하수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호르몬과 재조합 인체 호르몬 (r-hGH)으로 알려진 제조 호르몬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운동선수들은 경기력 향상과 보디빌딩 촉진, 그리고 심장을 강화하기 위해서 제조 호르몬을 신체에 주입한다. 뮌헨 (Munich) 인넨스타트 대학병원 (Innenstadt University Hospital)에 있는 Christian Strasburger 박사는 분석적인 관점에서 볼 때 r-hGH 남용은 절대로 검출할 수 없다는 신화가 깨졌다고 란셋 (Lancet) 의학 저널에 보낸 편지에서 밝혔다.
또한 새로운 도핑 수법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은 '유전자 도핑'에 대해 국제 반 도핑기구(WADA)는 유전자 도핑에 활용되는 바이러스를 찾아내는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등 유전자 도핑을 차단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3. 세계 도핑 테스트 시장 전망
현실적으로 도핑 테스트는 주로 운동선수들의 약물복용 사실을 검사하는 특수 분야임을 감안할 때 도핑 테스트 시장이 조만간 커질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물론 도핑 테스트가 마약복용 사실을 검사하거나 혹은 경마에서 말(馬)들의 약물 복용 사실을 파악하는데 쓰이는 등 여러 가지 용도가 있기는 하지만 도핑 테스트 시장은 평범한 소비자들과 기업들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도핑 테스트가 포함되는 스포츠의학 분야나 최근 도핑테스트 검사 기관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는 유전자 도핑 분야와 같은 전혀 새로운 도핑 테스트 관련 바이오산업 분야는 발전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당장 유전자 도핑 분야의 경우 운동선수들이 유전자 도핑을 이용하는 것은 문제로 볼 수 있으나 일반인들이 신체적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유전자 도핑 기술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오히려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핑 테스트 기술을 포괄하는 전체 스포츠의학 분야 역시 세계인들의 소득이 늘고 여가시간이 늘면서 건전한 운동을 통해 건강을 다지려는 사람들이 많아 질 것이란 점에서 그 전망이 매우 밝다고 할 것이다.
그동안 한국 스포츠 행정과 스포츠 의학계 등 한국의 스포츠 분야는 올림픽과 같은 거대 행사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한 엘리트 체육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단순히 국민적 즐거움과 대외적 홍보 효과만을 위한 엘리트 체육 집중보다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며 건강 수준을 끌어올리는 생활체육 진흥으로의 정책 전환과 스포츠 의학을 포함한 스포츠 산업 전반의 발전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한국의 도핑 테스트 기술과 그 연관 스포츠의학 기술처럼 엘리트 체육 육성을 위해 지금까지 만들어 진 연구 성과들이 생활체육 진흥과정에서 국민들에게 가치 있게 쓰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서둘러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David L. Costill.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 대한미디어. 2002.
2. Merle L. Foss. 운동생리학, 대한미디어. 2002.
3. 김사엽. 현대 스포츠 사회학의 이해, (주)학문사. 1998.
4. 김윤태. 체육학개론, 대경북스. 2003.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9.0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