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T산업의 문제점 및 발전전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IT산업의 문제점 및 발전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 개요 및 정의

II. 본론
1. IT산업 연구목적과 중요성
2. IT업종별 현황과 부문별 전망
- 차세대 이동통신
- 디지털TV
- 모니터LCD
- PC
- 광전송장치
- ERP
3. IT산업의 문제점
① 기술력 부족과 산업구조의 모순
② 고급인력의 부재
③ 제도와 지원상의 문제점
④ 벤처기업 경영 환경 악화
⑤ 전자상거래 기반 미흡
4. IT산업의 미래 발전전망

III. 결론
- 참고자료 및 출처

본문내용

.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외국기업을 포함하여 M&A 및 업무제휴를 적극 활용하여 경쟁력을 제고하고, 경영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직접 영입하는 등 기업의 경영능력을 배가시켜 스스로 경쟁력을 높여나가야만 한다.
Ⅲ . 결 론
정보통신기술혁명의 물결은 거세게 휘몰아치고 있다. 개개인의 사고방식은 물론 경제, 사회의 패러다임마저 송두리째 바꾸어가고 있다. 혁명을 주도하는 것은 인터넷.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 각 국은 이미 인터넷의 사업화 단계에 깊숙이 들어섰고, 우리나라 역시 도입기를 지나 초기 성장 단계에 들어선 상황이다.
98년 3천3백60억달러였던 세계 인터넷 시장규모는 해마다 90% 정도 성장, 2003년에는 8조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혁명 대열에서 뒤처지지 않으려고 맹렬하게 뒤쫓고 있다. 지난해초 3백만명 선이던 인터넷 인구는 1년 만에 9백43만명으로 늘었다. 이미 세계 10위권 국가로 꼽힌다.
시장 규모도 지난해 4천1백억원에서 2003년에는 3조6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삼성경제연구소). 골드먼삭스는 '아시아 인터넷' 보고서에서 "한국은 PC보급률이 45%로 높아 인터넷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어느 나라보다 크다" 고 말했다. 우리나라가 중국 진출을 위한 교두보가 된데다 외국자본이 폭넓게 들어와 이미 글로벌 인터넷 비즈니스의 영향권에 편입된 상태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기업동향
이를 통한 대기업 진출도 본격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구촌 전체적으로 진행중인 IT혁명에서 우리나라가 아시아권의 핵심 지역으로 떠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불어 IT혁명의 주역인 벤처기업들도 쑥쑥 커가고 있다. 작년 하반기 증권시장을 달궜던 코스닥의 폭발적인 성장이 이를 잘 말해 주고 있다. 골드뱅크, 다음커뮤니케이션, 한국정보통신 등 인터넷 기업의 주가는 불과 몇달새 수십배 폭등했다. 주가가 4백만원을 넘어선 SK텔레콤과 시가총액 1위 한국통신프리텔 등 대형 통신업체들도 만만치 않다. 뿐만 아니라 해외로 눈을 돌려 성공한 기업들도 속속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 만들기용 소프트웨어인 나모웹에디터로 지난해 미국 라스베이거스 컴덱스쇼에서 돌풍을 일으켰던 나모인터랙티브의 올해 수출목표는 지난해의 10배인 1백억원이다. 안철수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연구소도 올해 중국과 미국 일본 등 해외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전화와 컴퓨터를 통합한 CTI기술의 국내 선두주자인 로커스도 지난해말 일본 KDD사와 50만달러 상당의 프로그램 납품계약을 맺은데 이어 이어 동남아.동유럽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공장자동화 프로그램 업체인 중앙소프트는 중국에 합작회사를 설립, 5년간 2천5백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삐삐벤처에서 휴대폰 중견기업으로 발돋움한 텔슨전자는 지난해 2천7백억원어치를 수출했고 어필텔레콤과 스탠더드텔레콤도 각각 1천억원어치 이상을 수출했다.
▷ 기술동향
IT혁명으로 생겨난 새 기술들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실생활에 바로 쓸 수 있는 것들도 많다. 전문가들은 이미 우리 생활이 디지털 혁명의 소용돌이 한복판에 들어섰다고 말한다.
야후코리아는 인터넷 방송국을 설립, 방송과 통신을 융합한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한다. 인터넷 통합 E메일서비스업체인 내일정보기술은 전화.팩스.휴대폰을 하나로 합친 새로운 E메일 서비스를 상반기중 시작한다. TV와 인터넷이 합쳐진 '인터넷TV' 도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보급될 전망이다.
정보화가 고도로 진행될 경우 각종 IT기술자를 대체할 자동화기술 보급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컴퓨터가 정신노동을 일부 대체해 사람들은 보다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지식노동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 경제동향
IT혁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우선 산업지도가 통째로 바뀌고 있다. 주요 대기업치고 '인터넷 진출' 을 선언하지 않은 곳이 없다. 인터넷 없이는 미래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미국은 이미 지난98년 상무부의 '디지털 이코노미' 보고서를 통해 "인터넷은 21세기 산업발전의 원동력" 이라고 선언했다. 인터넷 장비업체인 시스코의 존 챔버스 회장은 "인터넷의 활용가치를 모르는 경영자는 현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처럼 IT 로 대변되는 우리 산업 정보 기술의 발달은 우리의 삶 전반에 걸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또 경쟁사회로 일컬어지는 현대사회의 최대의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지난 산업사회에서는 선진국의 그림자에 가려 후진국의 미래가 선진국이 좌우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 우리 나라와 같은 경우는 다른 선진국과 타국보다는 중소기업과 IT산업 또는 벤처산업에 대한 지원이 월등히 좋은 것으로 알고 있다.
경제위기에 쳐해 있는 우리 나라의 경우는 위축되어 있는 경제를 조금이라도 회복 할 수 있는 방법이 지금 보다는 좀더 많은 IT산업의 발전에 대해서 더 많은 정부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IT혁명은 지금부터라고 생각한다. 인터넷은 사람들의 오랜 습관중 가장 기본적인 습관인 통신습관과 미디어활용 습관을 바꿔놓았다. 이제 상거래 습관, 정치커뮤니케이션 습관, 교육습관 등 여러 분야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랫동안 몸에 익혀온 습관, 관행, 제도 등을 바꿀 차례이다. 한국 경제를 비롯해 정보통신산업의 미래는 바로 이런 습관을 바꾸는데 필요한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남보다 앞서 개발해내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밝은 청사진을 실현하기 위해 우리는 위에서 언급했던 여러 가지 문제들을 더욱 심각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인터넷
http://mk.co.kr 매일경제 인터넷
http://www. entews.co.Kr 전자신문
www.emic.go.kr 정보통신부
http://kdn.com 한전 KDN Webzine
http://www.kinternet.org/ 한국 인터넷 기업 협회
http://blog.naver.com/hjo0075.do 네이버 블로그 [명사실리]
■ 서적 및 잡지
월간 경영과 컴퓨터 잡지 2003.12
한국과 중국의 IT산업 비교 분석 및 한·중 협력방안
중국의 IT산업·주요IT기업
정보통신산업의 세계화 전략
  • 가격5,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5.06.1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