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환자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담석증 환자의 간호
Ⅰ. 환자 간호를 위한 필수적인 지식
1. 담낭과 담도의 해부학적 구조와 위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담낭의 기능과 담즙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시오.
3. 담즙의 조성과 분비기전 , 배출에 대해 설명하시오.
4. 담석의 성분과 유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5. 담석증의 원인과 임상증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Ⅱ. 담석증 환자 간호
1. 담석증환자의 신체검진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2. 다음 검사의 목적과 임상적 의미에 대해 설명하시오.
1)Serum Amylase
2) Cholesterol-A.S.T
3)Alkaline phoshpatase
4)Abdomen CT
5)Cholecystogram-Ora(경구 담낭 조영술)
Itravenous(혈관내 담낭 조영술)
T-tube
6)Percutaeous/T-tube Transehepatic Cholangiography
3. 담석증 환자의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4. 담석증 환자의 수술전/ 후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5. 환자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6. 담석증 환자의 수술 후 식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7. 담석증 환자의 합병증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있도록 안위 대책을 계획해야한다. 간호사는 그들의 자가간호 결핍이 일시적이라는 것을 이해시킨다.
②수술 후 간호
수술직후 간호: 마취에서 회복되면 Low Fowler's position을 취해 준다. 호흡에 따른 동통이 크므로 환자는 절개 부위를 고정하고 얕은 호흡으로 동통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동통에 대한 투약은 48-72시간 동안에 자유로이 투여하고 무기폐를 예방하기 위해 매 1-2시간마다 규칙적으로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체위변경을 권장하고 침대에서 자주 움직이도록 한다. 비위관이 삽입되었다면 흡인기에 연결한다.
비위관 흡인으로 필수적인 전해질과 복부 가스가 제거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제거되어야 한다. 장음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복부가 부드러우면 보통 24시간 내에 제거한다.
상처부위의 출혈은 드물지만 처음에는 드레싱을 자주 점검한다. 혈압의 감소, 맥박의 상승, 빈호흡, 소변 배설량의 감소, 불안정, 갈증의 호소, 피부 탄력성의 감소 그리고 내출혈을 의미하는 다른 증상은 즉시 담당의사에게 보고한다.
활동의 증진: 수술당일 저녁이나 그 다음날 침대 밖으로 나오도록 허용한다. 퇴원 준비 시 반드시 휴식과 활동의 계획을 세우도록 하여 피로에 대처하게 한다. 퇴원 후 얼마동안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T-tube 배액의 유지: 담낭이 제거되고 담관이 결찰되면 배액관은 결찰부위근처에 삽입하여 복부 창상을 통하여 나오게 한다. 이 배액관은 담즙과 작은 양의 혈액 및 장액이 배액되고 삼출물이 드레싱에 배도록 한다. 배액관은 배액이 크게 줄어든 5-6일째에 제거한다.
T-tube는 총담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삽입하고 총담관의 부종이 가라앉고 담즙이 정상적으로 십이지장으로 배액 될 때까지 둔다.
수술당일은 적어도 2시간마다 배액의 색깔과 양을 점검한다.
5. 환자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예방의 주요 초점은 합병증의 예방이다. 간호사는 담석증의 고위험 진단을 알고 조기 발견해야 한다. 일차적 예방으로 비만과 좌식생활을 피하게 한다. 이는 혈청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킨다.
6. 담석증 환자의 수술 후 식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수술 후 우선 유동식으로 하고 지방도 거의 들어있지 않은 음식으로 한다. 열량은 당질 곡류나 단 것을 중심으로 취한다. 점차 고형식으로 진전하고 조금 지나서부터 지방이 적은 생선이나 육류에 우유나 스킴밀크, 두부 등을 섭취한다. 그 후 식성에 따라 점차 밥이나 빵도 먹을 수 있다. 비만하지 않으면 단 것을 섭취하여 에너지 부족을 보충한다.
7. 담석증 환자의 합병증에 대해 설명하시오.
급성 담낭염: 담낭관을 폐쇄하여 나타남.
Mirizzi 증후군
담낭을 빠져나온 담석에 의한 담관폐쇄.
급성담낭염으로 인한 empyema 및 담낭 천공, 천공 후 소화관과 누공 형성, 누공을 통과한 담석에 의한 장 관 폐쇄, 췌액 배출 장애에 의한 급성 췌장염, 담낭암 등.
담도염, 췌장염, 담석루공, 당뇨병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현문사
-기본간호학 홍근표 외 수문사 2000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임난영 외 수문사 2002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0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