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영유아기의 학습장애의 예방과 간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교육) 영유아기의 학습장애의 예방과 간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학습장애의 예방

B. 장애아동 조기발견의 중요성

C. 조기중재가 중요할 수 밖에 없는 인간발달의 네가지 원리

D. 조기 뇌발달의 결정적 시기

E. 장애와 문화적 차이의 구분

F. 영유아기의 학습장애의 판별

G. 조기판별의 두가지 접근
○ 포괄적인 접근
○ 구체적인 접근

H. 조기중재가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나?

I. 인기있는 조기중재 프로그램

J. 조기중재의 법적 요구

K. 조기아동기 프로그램의 질 평가하기

○ 조기교육의 몇가지 경향과 논쟁

본문내용


3. 유아의 사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4. 집에서 유아원, 유아원에서 유치원으로의 전환에 대한 강조
5. 유아교육에 있어서 가족 참여와 가족중심교육에 대한 강조
Inclusive Education(통합교육) : 무조건적인 완전통합이 아니라 각각의 아동에게 최적한 환경을 찾아주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Developmentaiiy Appropriate Practices(DAP) :
아동발달의 지식에 근거하여 아이의 나이와 개인적 요구에 적절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포함
Alternative Assessment(대안적인 사정) : 수행평가, 포트폴리오사정, 교육과정중심 사정, 교사의 관찰
Education for Transition(전환교육) : 가정에서 유아원으로, 유아원에서 유치원으로, 계속 해서 1학년으로 옮아감에 따라 아동이 더 자립을 하고, 성인에게 덜 의존하도록 사회적 의사소통. 과업관련, 자조능력 등의 능력을 기르는 것.
가족중심교육
유아특수교육이 의학적 모델에 근거한 "아동중심"에서 생태학적인 모델인 "가족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했다. 그 요인으로
1. 장애자의 거취가 시설 중심에서 가정중심으로 이동
2. 교육의 효과적인(반복과 일반화) 측면에서 가족이 보조교사, 협력교사로 참여
3. Bronfenbrenner의 구조주의가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아동의 가족과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
: 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가족참여의 요지이다.
예방과 조기중재는 장애아동교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미숙아, 저체중아 및 선천성 대사이상아와 같은 생물학적 위험아동을 등록·관리하고 있고 필요한 경우 의료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이 있지만 교육적인 지원도 배제되어 있고 가족의 요구에 맞게 다양하지 못하고 생물학적 위험이 있는 아동만이 등록·관리 대상으로 규정되어 있고 장애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환경적 위험아동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선별도구의 부재,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학습장애나 정서장애 등의 아동에 대한 조기발견이 어렵고 부모 및 유아교육교사의 장애에 대한 지식 부족과 소아과 의사의 장애에 대한 조기발견에 대한 전문성 및 시간, 관심의 부족, 선별검사에 대한 진료비 책정제도의 미비, 대중인식 프로그램의 부재 등 많은 문제가 산재해 있다.
중재에 있어서도 이미 판별된 장애아동에 대한 중재도 중재기관의 태부족과 과다한 치료교육비 등의 영향으로 제 때에 이루어지지않고 있으며 영아에 대한 중재는 거의 생물학적 위험이 있는 아동에 대해서만 한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세계적인 추세가 non-category화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장애유아가 특수교육의 혜택을 받으려면 법적으로 특 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어야 한다. 이는 영·유아에게도 학령기 아동과 동일한 기준과 정의를 사용하고 학령전기부터의 낙인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에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발달의 지체가 보이거나 위험이 있는 아동에 대한 조기의 무상의 적절한 중재가 시급하다.
참고 문헌 ------------------------------------------------
1. 학습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2003
2. 장애영유아의 통합교육, 범한,2001
3. 발달장애용어사전, 학지사, 2002,
4. 유아특수교육개론, 학지사, 2002
5.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3.
6. Early Intervention : A Global Perspective, James A Blackman, 2002
7. Introduction to Learning Disabilities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7.25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