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P의 개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HP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II. AHP 배경의 이해
1. AHP의 등장배경과 연혁
2. AHP의 이해를 위한 문제 제기

Ⅲ. AHP의 개념
1. AHP의 정의
2. AHP의 원리
3. AHP의 분석과정
4. AHP의 절차
1) 문제의 구조화(structuring hierachy)
1-1) 예시
2) 우선순위(중요도)의 측정방법 및 척도(setting priorities)
2-1) 설문구성의 예시
3) 논리적 일관성(logical consistency)

Ⅳ. AHP의 특징
1. AHP의 장·단점
2. AHP의 특징 요약 (satty, 1982)

Ⅴ. 결론
- 표목차-
<표1. AHP의 원리>
<표2. AHP의 분석과정>
<표 3. 분석적 계층화 절차의 기본적인 의사결정 스키마(schema)>
<표 4. AHP에서 사용하는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척도의 정의와 성질>
<표 5. 가중치를 구하는 방법>
<표 6. AHP의 장·단점>

본문내용

의 종합된 최종 추정치를 제공해 준다.
☞ 일관성(consistency) : AHP는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판단에 대한 논리적 일관성을 검증할 수 있다.
☞ 측정(measurement) : AHP는 무형의 것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와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해 준다.
단 점
☞ 피설문자(전문가)가 국내로 한정되어 국내여건에만 기준한 응답이 가능(예: 교통문제의 중요성 부각)
☞ 자료변환에 무관한 가중치 선정으로 자료와의 관련성이 취약(개념적인 상대적 중요성만 파악)
2. AHP의 특징 요약 (satty, 1982)
① 통일성(unity)
② 복잡성(complexity)
③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
④ 계층구조(hierarchic structuring)
⑤ 측정(measurement)
⑥ 일관성(consistency)
⑦ 과정반복(process repetition)
⑧ 합성(synthesis)
⑨ 판단 및 동의 (judgment and consensus)
⑩ 교환(tradeoffs)
Ⅴ. 결론
일상적인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수리적 방법을 정량적 의사결정 방법이 자주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량적 의사결정은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과학적이고 설득력이 있어 보이나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척도가 다르거나 척도가 없는 요소가 있을 경우 정량적 의사결정 방법에서는 이들 요소를 합리적으로 비교, 판단 할 수 없다. 갈수록 복잡해지는 기업 환경 속에서 숫자적 표현이 가능한 정량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수량화하기는 어렵지만 조직의 흥망 성쇠를 좌우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성적인 요소들을 의사결정자의 경험, 지식 등과 함께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면 보다 좋은 의사 결정, 합리적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문제에 대한 해결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의사결정의 문제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상충되는 기준 하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해야 하는 문제이며, AHP는 이러한 다기준 의사결정을 해결하기 위한 분석의 틀을 제공해준다.
이 기법이 갖는 참신성은 다수의 목표, 다수의 평가기준, 다수의 의사결정 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문제를 계층화한 후 상위계층에 있는 한 요소(또는 기준)의 관점에서 직계 하위계층에 있는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 또는 가중치를 쌍별 비교(Pairwise Comparison)에 의해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최하위의 계층에 있는 대안들의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를 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계층화의사결정은 정량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문제까지도 해결이 용이하며, 정성 적인 문제의 쌍별비교중 일관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연비를 구하여 가중치를 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결정해야할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이해도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AHP는 의사결정자의 오랜 동안 축적된 값진 경험, 지식 등을 쌍대비교(요소간 1:1 비교)와 고유치 계산을 통하여 정량화 함으로써 기존의 정량적 요소와 함께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응성이 매우 놓은 의사결정이론이다.
AHP의 커다란 장점 중의 하나는 다수 의사 결정자들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반영하여 합의의 도출과 만족도 및 설득력을 제고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각 의사결정 참여자의 다양한 의견을 비율척도로 단일화, 정량화 함으로써 다수의 의견을 수리적 계산을 통하여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양한 전문가 또는 관련자들의 지식, 경험, 생각 등을 합리적으로 수렴하는 뛰어난 기능 때문에 AHP는 설문 등을 통한 그룹의사결정 도출에 가장 적합한 방법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 참 고 문 헌 》
1. 박용성 외, 의사결정론(AHP를 위한), 자유아카데미, 2001년
2. 이성근 외, AHP 기법을 이용한 마케팅의사결정, 석정, 1994
3. 김정권, 제3분과 : 마케팅 2. 최적 자원배분을 위한 SD / AHP 분석, 한국경영학회, 95춘계학술연구발표논문집, 1995
4. 오경환·유일근, AMS의 실질적 경제성 평가를 위한 수정된 경제성 평가모델의 도입과 AHP 기법의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1990
5. 서의호·서창교, AHP기법을 이용한 의사충돌의 조정,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1994
6. 김승렬·전희숙, AHP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외주업체 선정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1994
7. 김충영·남인석, AHP를 활용한 정부 R&D 사업 선정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1994
8. 김영문·손달호, AHP를 이용한 집단의사결정의 단계와 이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춘계 학술발표회, 1996
9. 김영문·채수원, 관광지선택에 있어서 AHP 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관광학 연구, 1996
10. 김향자, AHP에 의한 관광정책 우선순위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1998
10. 박노국·송문익·문희영, 품질기능전개와 A . H . P 기법을 이용한 기능평가, 한국품질경영학회, 품질경영학회지, Vol.21, No.2, 1993
11. 류한주, 종합적품질경영 ( TQM ) 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일본기업에 대한 AHP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품질경영학회지, Vol.22, No.1, 1994
12. 황규승, 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 ) 기법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논총, Vol.32, No.0, 1989
13. 김정권·송면, 해외시장 진출유형의 선택을 위한 AHP 분석, 한국무역학회, 무역학회지, Vol.19, No.1,
14. 양영순·장범선, AHP 기법을 이용한 최적 구조 설계, 대한조선학회, 대한 조선 학회 논문집, Vol.36, No.1, 1999
15. 이인성, 수치변환척도 및 단순화 방식 적용에 따른 계층분석과정 ( AHP ) 의 일관도 및 정확도의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Vol.33, No.3, 1998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7.0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