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NGO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NGO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논

Ⅱ. 본 논

- NGO란 무엇인가 -
1. 시민사회의 전개
2. NGO 개념
3. NGO 역할

- 한국의 NGO -
1. 한국 NGO 역사
2. 한국 NGO 현황
3. 한국 NGO 문제점
4. 한국 NGO 발전방안

Ⅲ. 결 논

본문내용

소외계층의 입장을 대변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NGO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 사회에 NGO와 더불어 시민운동이 나타난 것은 이제 겨우 10년이 조금 넘었다. 짧은 연륜 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NGO와 시민운동이 갖는 영향력은 매우 크며, 시민운동에 대한 평가도 매우 긍정적이다.
특히 지난 4, 5년 사이에 시민운동의 발언권은 매우 확대되어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정부나 언론보다도 더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점진주의적·비폭력·평화·합법 운동의 형태를 지니고 사회의 공공성을 추구하는 시민운동은 중간계층에게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가 강력하고 시민사회가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취약함을 고려할 때 최근의 시민운동의 성숙은 놀랄만한 현상이다. 그렇지만 그에 못지않은 많은 비난과 우려도 쓸데없는 기우만은 아닌 셈이다. 국가의 권력에 도전하는 새로운 권력의 창출은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만큼 부정적인 모습도 많이 눈에 띄기 때문이다.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과 국가에 대한 시민의 자율성이 확대되고 보다 폭넓은 활동이라는 찬사를 받아 왔던 시민운동, 그렇지만 앞서 보았던 한국과 세계적인 NGO들의 문제점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NGO에 대한 연구와 문제점 파악은 대다수가 실태파악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 NGO에 대한 도덕성 및 책임성에 관한 비판과 함께 소위, 우리나라 정부에 적용되고 있는 압축성장의 특성이 NGO의 발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NGO에 대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그 중요성과 기대감은 간과할 수 없는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중요한 위치를 자리 잡고 있는 NGO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NGO를 활성화시켜서 국민의 보다 적극적인 NGO 참여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국민들의 절대적인 지지와 참여 속에서 진정한 NGO가 정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부차원에서나 민간차원에서나 모두 많은 노력과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끊임없이 개선하고 시민들에 의한 시민운동이 진행된다면 그것 또한 바람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즉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은 시민으로 하여금 참여를 통해 자신들이 정치의 주체임을 스스로 깨닫도록 해야 하고 사람들이 정치적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기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참여가 얼마나 가치가 있는가를 알게 되고, 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내야 한다. 그 패러다임은 생명 중심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삶의 양보다는 삶의 질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개인의 자유보호도 중요하지만 잃어버린 공동체 정신을 되살려내야 한다. 이것은 시민사회의 몫이다. 시민사회가 이러한 모습을 이끌어갈 때 우리 사회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NGO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누차 느끼면서, 위에서 언급했던 내용지지만 거듭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NGO는 제 5부이고, 21세기는 'NGO의 시대'라는 말이 있다. 단순히 제 5부, NGO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느끼는 것에서 머물러서는 안 되는 것이다. 제 5로서 여겨지는 것은 그만큼 역할을 중요시 여기고 있고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NGO의 시대를 예상하는 것은 단순히 NGO가 제 5부이여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어서가 아니다. 앞으로의 사회와 세계는, 그리고 미래는 사회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더 크게 부각될 것이고, 그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시민들 개개인의 참여가 절실히 필요하다. 참여와 더불어 문제해결에 한발씩 다가섰을 때, NGO는 진정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그들의 목표와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을 예상하기에 21세기를 NGO의 시대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예상이 현실로 되고, 진정으로 우리 사회, 세계의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NGO의 확고한 목표의식과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제시된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발전적인 방안을 수립하여 실행시켜 나갔을 때 'NGO의 시대'는 진정으로 도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들을 고찰한 것으로 끝낸다면, 해결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체계적으로 실행하여 NGO를 발전적으로 새로이 이끌어내지 못한다면, NGO의 미래는 결코 보장할 수 없다.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모습을 위한 노력들을 그동안 보여줬던 NGO 특유의 활력을 통해서 보이고 실행에 옮기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처럼 NGO의 미래가 언제나 밝을 수는 없다.
Ⅳ. 參考文獻
장성호, 『민주시민사회와 NGO』, 학문사, 2002
김동춘, 『NGO란 무엇인가』, 아르케, 2000
박상필,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한울, 2001
박원순, 『NGO 시민의 힘이 세상을 바꾼다』, 예담, 1999
박상필, 『NGO와 현대사회』, 아르케, 2001
박상필 · 김상영, 『NGO의 역할과 한계』, 한국행정연구, 2001
김영래 · 김혁래, 『한국 비정부조직의 현황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국회학술 발표회, 한국정치학회, 1999
김광식, 『한국NGO 시민사회단체, 21세기의 희망인가』, 동명사, 1999
신광영, 『비정부조직(NGO)과 국가정책』, 한국행정연구, 1999 제8권
덴츠총연,『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시민 경영학』, 삼인, 1999
정동근, 『정부의 역할과 NGO의 기능』, 한국행정학회, 2000년도 기획세미나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00
Cleary. S, 『The Role of NGOs under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 London : Macmillan Press Ltd, 1997
- 참고 웹사이트 -
http://www.oxfam.org
http://ngo.joongang.co.kr
http://www.ww.or.kr/world/ngo-lecture/ngo-lecture-1.htm
http://www
.globalsharing.org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4.06.21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