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경비현황 및 발전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계경비(機械警備)의 의의

2. 기계경비시스템의 개념

3. 기계경비의 발전 과정 및 현황

4. 무인기계경비시스템의 장 . 단점

5. 기계경비 발전 방안

6.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설이 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기계경비업을 단순한 영리추구의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정부의 태도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불안정, 통신선로 불안정, 건물접지의 미비 등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기계경비는 첨단산업으로 분류되어 연구개발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통신 주파수할당 등의 초보적 문제에서부터 신기술 개발로 민생치안능력의 강화에 기여하는 과학화된 경비업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로, 건물 준공 시 소방시설 설치의 의무화처럼 방범설비체계 설치의 의무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건축법의 개정이 필요하겠으나, 방범기능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시급한 대처가 필요하다.
이밖에도 기계경비업체로 구성된 기계경비협회의 결성과 기계경비협회를 통한 일치된 기술개발 노력, 기계경비에 숙달된 재범자의 특별관리, 오보발생 시 경찰의 이해 및 경찰관 교육훈련시의 방범기기에 대한 교육 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기계경비업무만을 총괄할 수 있는 기계경비업법의 제정과 사회 인식도 및 신뢰 회복해야 하며 경비원의 전문화, 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지역간의 격차 해소, 관계기관과의 상호협력 체제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두현. 김정현(2002). 민간경비론. 백산출판사.
이강열(2001). 경비지도사 기계경비개론. 한국고시회.
이산원(1999). 경비지도사 기계경비개론. 육서당.
이영남(2001). 경비지도사 민간경비론. 한국고시회.
정태황(2001). 기계경비개론. 백산출판사.
정태황(1996). 기계경비원론. 서울. 쟁기
김순열(1999). 경호경비안전산업의 경영에 관한 연구: 연구개발과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태민(2002). 민간경비 업무 수행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 위 논문.
김종양(1996). 민간경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김문재(2002). 효과적인 시큐리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김태민(2003). 기계경비 대처요원의 임무수행 실태 및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
주일엽(2000). 효율적 경호를 위한 시큐리티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
박병식(1998). 기계경비업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 치안연구소 치안논총.
박훈기(2000).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강열. 무인전자경비 시스템, 선택 아닌 필수개념으로 정착. 시큐리티월드 2001년7월호.
이상철.김태민(2002).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3권
제5호.
정진환(2002). 개정 경비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경비협회보 월보25호.
사이버 경찰청. HTTP://WWW. POLICE.GO.KR
에스원. HTTP://WWW.S1.CO.KR
캡스. HTTP://WWW.CAPS.CO.KR
한국경비협회. HTTP://WWW.KSAN.OR.KR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2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