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유 시장 동향과 전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효유 시장 동향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효유
1. 유산균
2. 유산균의 종류
3. 발효유
4. 발효유의 기원 및 국내 발효유 산업의 발전
5. 발효유의 제조공정
6. 보존 및 유통기간
7. 발효유제품의 종류
8. 발효유의 기능
9. 발효유의 영양효과

Ⅱ. 발효유 시장 동향과 전망
1. 유산균 발효유 시장의 현황과 전망
2. 발효유 시장 동향

본문내용

-
프랑스
16.7
17.2
17.3
17.7
18.2
18.5
19.1
핀란드
37.3
36.3
37.5
37.4
37.4
38.3
42.8
한국
9.3
10.5
10.6
11.6
13.2
12
14.2
호주
3.8
4.1
4.3
4.7
5.2
5.1
5.5
2. 발효유 시장 동향
1) 전체 시장 동향
국내 발효유시장은 '90년대 평균 7 8%대의 성장률(매출액 기준)을 기록하였는데, 이 기간에는 주로 평균 성장률 20%대를 유지한 드링크 발효유가 성장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IMF라는 국가적 위기를 거치면서 한때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소비자들의 소비위축으로 인하여 '98년 한때 매출액 기준 약 10%, 소비물량 기준 약 25%가 감소하는 현상을 기록하였다. 매출액 기준 감소 폭이 15% 정도 적은 것은 이 시기에 환율 폭등으로 인한 원자재가격의 인상 등으로 제품 가격이 인상되어 감소 폭이 어느 정도 상쇄되었기 때문이다.
IMF 이후 한 때 기업들의 투자심리도 위축되어 신제품의 발매도 상당수 줄어들었으나, 최근 경기 회복과 더불어 다양한 제품이 잇달아 출시되고 있다. 특히 2000년 4월부터 각 유업체에서 경쟁적으로 발매한 스틱형 요구르트는 연간 1,000억원대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4 15세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이 제품은 기존의 호상 발효유와는 차별화 된 새로운 용기를 도입함으로써 침체된 호상 발효유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또한 2000년 하반기 이후 드링크발효유 시장에는 기존의 장건강(腸健康) 이외에 위장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한 차원 높은 고기능 발효유가 출시되면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2000년 9월 한국야쿠르트에서 '윌(Will)'을 처음 출시함에 따라서 소비자 가격 1,000원대의 고가(高價) 고기능 발효유 시대가 열렸으며, 2001년 4월과 5월에는 남양유업과 매일유업이 각각 '위력'과 '구트'라는 제품을 출시하였고 다른 유업체 역시 유사한 제품을 앞 다투어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 시장은 소비자의 호응에 힘입어 상당한 매출 신장을 기대하게 하고 있다.
< 그림 Ⅱ-3 > 윌, 위력, 구트
2) 발효유 종류별 시장동향
'90년대 초 액상과 호상 발효유 제품의 시장 점유비율(매출액 기준)은 각각 61.7%, 34.3%였던 것이 드링크 발효유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하여 2000년에는 액상, 호상, 드링크 발효유가 각각 43.2%, 20.6%, 36.2%를 차지하게 되어 저가 중심의 액상발효유에서 고가 고기능의 드링크 발효유로 소비가 전환되었다.
액상 발효유의 경우 비타민과 칼슘 등의 기능성 첨가물이 강화된 80ml의 고급 액상 발효유가 발매된 1995년 이후 매출액 측면에서의 증가는 있었으나 총 판매수량은 더 이상 늘지 않고 '90년대 후반부터는 오히려 전체 액상발효유제품의 판매수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호상 발효유는 나머지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축된 양상을 보이며 상대 시장 점유비 20%이하로 떨어지기도 했으나, 2000년 상반기부터 붐이 일기 시작된 스틱형 발효유의 판매 호조로 전년대비 12.2%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스틱형 발효유 시장을 제외한 전통적인 호상 발효유 시장의 감소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액상 발효유와 호상 발효유제품의 경우 제조업체에 따라서는 대형 할인점에서 20 30%의 가격할인을 시도하여 단기간에는 매출 증가가 나타나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비자에게 저가 제품이라는 인식을 주어 판매에 악영향을 주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드링크 발효유는 빠르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발효유 전체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드링크 발효유 시장의 이러한 성장세는 최근 출시되고 있는 고기능성 발효유 제품의 성공에 힘입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Ⅱ-4> 발효유 종류별 시장 점유비율
* 2000년도부터 스틱형 요구르트 판매량 포함
<표 Ⅱ-2> 발효유 종류별 판매량 추이
년 도
액상(60㎖)
호상(100g)
드링크(150㎖)
전 체
1991
12,623,923
1,655,826
231,730
14,511,479
1992
12,736,705
1,778,877
589,228
15,104,810
1993
12,930,547
1,604,932
849,004
15,384,483
1994
14,156,180
1,736,151
1,062,647
16,954,978
1995
14,754,733
1,856,324
1,521,477
18,132,534
1996
14,054,718
1,640,671
1,766,469
17,461,858
1997
13,781,611
1,640,984
2,001,372
17,423,967
1998
11,627,747
1,206,454
1,527,960
14,362,161
1999
12,160,909
1,331,155
1,632,534
15,124,598
2000
12,252,118
1,725,214
1,800,137
15,777,469
(단위 : 본 수/일)
<그림 Ⅱ-5> 발효유 종류별 매출액 변화
3) 국외 시장동향
세계 발효유 시장은 어느 정도 성숙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1994년 365억 달러(냉장 디저트 포함)에서 409억 달러로 완만한 성장을 보였으며 2004년까지도 3%대의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선진국의 경우는 완만한 성장이 예상되며, 중국, 인도 등이 포함된 아시아 지역이나 브라질이 포함된 중남미 지역 등 경제성장이 활발한 지역에선 비교적 높은 성장이 예측된다. 한편 서유럽 시장은 10%대의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고 북미의 경우는 거의 증가하지 않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는 다양한 제품의 개발에 힘입어 생산량 기준으로 20%대의 성장을 하였다.
<그림 Ⅱ-6> 세계 발효유 시장매출(chilled dessert 포함)
■ 참고문헌 ■
농수축산신문
발효유 시장 동행과 전망 -백영진 (한국유가공협회지 2001년)
식품의약품안정청 홈페이지
식품연감
식품저널
한국무역협회 수입통계자료
한국야구르트 홈페이지
한국야구르트 중앙연구소
한국유가공협회 홈페이지
기타 인터넷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6.0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