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경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폐경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화폐수요
□ Marshall의 현금잔고방정식
□ Keynes의 화폐보유동기
□ Baumol의 재고접근
□ Tobin의 portfolio 접근
□ Friedman의 신화폐수량설 (축약된 버전)

2.통화지표 ; 무엇을 화폐로 보아야 하는가?
m1,m2

3.통화는 외생적인가 내생적인가?

4.우리나라의 통화정책 수단

5.통화정책의 파급경로

본문내용

화승수는 어떻게 계산되는가?
o M1에 대한 통화승수 = M1/MB
o M2에 대한 통화승수 = M2/MB
(2) 통화공급의 내생성 : 통화승수는 일정한가?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통제할 수 있는가?
① 경제활동(Y)이 활발할수록 예금·대출 등 금융중개도 활발 ; Y ↑ ⇒ M ↑
② 이자율이 화폐수요 뿐만 아니라 화폐공급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
; 이자율이 높을수록 ⇒ 현금보유성향 ↓ , 지불준비율 ↓ ⇒ M ↑
- 만약 이자율이 경기순응적(procyclical)이라면, ①과 ②에 의해 내생성 강화
③ 현실적으로, 중앙은행은 민간부문의 화폐수요를 수용(accomodation)하는 경향
; 약간의 호황(소득증가) ⇒ 화폐수요증가 ⇒ 이자율상승압력 ⇒ 통화공급증가로 대응
; 단, 경기과열 ⇒ 선제적 이자율 인상 ⇒ 경기진정 유도
* MV = PY ⇒ ψ·MB·V = PY ; MB를 통제해도 ψ 뿐만 아니라 V도 움직일 가능성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수단
① 재할인율정책(대출정책)
- 재할인금리(시장금리의 상한) 조절방식 : 선진국
- 재할인한도 운용방식
o 우리나라의 \'총액한도대출\' : 증권담보대출 + 일시부족자금대출
o 일정한도의 금액을 저리로 대출하는 형식
② 공개시장조작
- 중앙은행의 국공채 매입·매도
o 매입 ⇒ 본원통화 증가 ⇒ 승수 배만큼 통화량 증가
o 매도 ⇒ 본원통화 감소 ⇒ 승수 배만큼 통화량 감소
- 신규발행된 국공재의 매입·매도는 재정정책과의 mix
- 통화안정증권(MSB)의 활용
o 중앙은행의 부담으로 발행
o 단순매매 : 단기지만 대규모의 유동성 조절
·매입(유동성 공급) - 증권 단순매입, 통안증권의 환매(발행한 것을 다시 매입)
·매각(유동성 환수) - 증권 단순매각(*실시된 적 없음), 통안증권 발행(*주로 사용)
o RP 매매(환매조건부) : 단기적 fine-tuning 목적
·RP 매입 : 단기 유동성 공급
·RP 매각 : 단기 유동성 환수
* 현재 가장 중요한 공개시장조작수단으로 그 대상이 통안증권을 포함.
* 통화팽창 억제를 위한 통안증권 발행 ⇒ 이자지급부담 증가 ⇒ 본원통화 증가
※ 공개시장정책의 성공요건
- 공개시장정책은 풍부한 대상증권과 발달된 유통시장의 존재, 그리고 자유로운 시장금리의 형성 등 여러 가지 여건이 갖추어져 있어야만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음.
③ 지급준비율
- 통화승수 자체에 영향을 줌.
- 자주 사용하지 않는 방식
※ 단기이자율의 조절 : 실질적으로 중앙은행이 (목표)콜금리를 정하는 형식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1) 이자율 경로(interest rate channel) : IS-LM
M ↑ ⇒ r ↓ ⇒ I ↑ ⇒ Y ↑
- 가격경직성(sticky prices)의 가정
※ liquidity effect vs. anticipated inflation effect
(2) 기타자산가격 경로 (other asset prices channel)
1) 주가 경로 (equity price channel)
- 기업
M ↑ ⇒ Pe ↑ ⇒ q ↑ ⇒ I ↑ ⇒ Y ↑ (자본비용을 낮추는 효과)
- 가계
M ↑ ⇒ Pe ↑ ⇒ W ↑ ⇒ C ↑ ⇒ Y ↑
2) 환율 경로 (exchange rate channel)
- 긍정적 효과
M ↑ ⇒ E ↑ ⇒ NX ↑ ⇒ Y ↑
- 부정적 효과 (기업 및 은행의 외화부채가 많은 경우)
M ↑ ⇒ E ↑ ⇒ NW ↓ ⇒ L ↓ ⇒ I ↓ ⇒ Y ↓
M ↑ ⇒ E ↑ ⇒ NWb ↓ ⇒ L ↓ ⇒ I ↓ ⇒ Y ↓
3) 부동산가격 경로 (real estate prices channel)
M ↑ ⇒ Ph ↑ ⇒ H ↑ ⇒ Y ↑
(3) 신용 경로 (credit channel)
1) 은행대출 경로 (bank lending channel)
M ↑ ⇒ Bank\'s Reserves and Deposits ↑ ⇒ L ↑ ⇒ I ↑ ⇒ Y ↑
2) 대차대조표 경로 (balance sheet channel)
- 기업
M ↑ ⇒ Pe ↑ ⇒ NW ↑ ⇒ information cost ↓ ⇒ L ↑ ⇒ I ↑ ⇒ Y ↑
⇒ i ↓ ⇒ Cash Flow ⇒ information cost ↓ ↗
⇒ P ↑ ⇒ debt burden ↓ ⇒ NW ↑ information cost ↓ ↗
- 가계
o 유동성 효과
M ↑ ⇒ Pe ↑ ⇒ financial assets ↑
⇒ likelihood of financial distress ↓ ⇒ Cd ↑ , H ↑ ⇒ Y ↑
o 자산 효과
M ↑ ⇒ Ph ↑ ⇒ W ↑ ⇒ C ↑ ⇒ Y ↑
- 은행
M ↑ ⇒ Pr ↑ ⇒ NWb ⇒ L ↑ ⇒ I ↑ ⇒ Y ↑
※ 자산가격경로와 신용경로 중 대차대조표 경로는 서로 중복되어 작용하는 경향
(4) 비용 경로 (Cost Channel)
- 운전자본의 중요성
o 운전자본(working capital)
·대차대조표상의 모든 유동자산(현금, 매출채권, 재고 등)
·순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o 운영자금의 의미를 갖고 있는 운전자본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나타냄.
·운전자본의 조달 : 장·단기 부채
o 긴축통화정책(금리인상)은 운전자본 조달의 부담을 초래하여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약화시킴.
※ 문헌 : Fuerst(1992), Christiano & Eichenbaum(1992), Christiano, Eichenbaum(1992), and Evans(1997), Barth & Ramey(2001)
- 모형의 주요 내용
요소가격지불 → 생산 → 판매수익
↖ 가정 : 차입으로 해결
Ld = f( W/P , μ , R ) , W: 명목임금, μ: mark-up, R: gross nominal interest rate
- 긴축통화정책의 효과
o 전통적인 수요 경로가 주로 작동한다면? \"물가는 하락하거나 변동 없음\"
·가격(P)이 경직적인 경우
AD ↓ ⇒ Ld ↓ ⇒ W ↓ ⇒ W/P ↓
·임금(W)이 경직적인 경우
AD ↓ ⇒ P ↓ : W/P ↑
o 비용 경로가 주로 작동한다면? \"물가 상승 : Sims(1990)의 price puzzle 해소\"
R ↑ ⇒ Ld ↓ ⇒ W/P ↓ (가격·임금의 경직성 없이)

키워드

  • 가격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0.2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