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쇼핑환경과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태도 ( 소비자태도 )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목적과 문제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쇼핑몰에 대한 태도는 긍정, 부정의 양극단으로 치우칠 것이다. 그러나 쇼핑을 해보지 않는 소비자도 인터넷 쇼핑에 대해서 특별히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 쇼핑 경험을 많이 할수록 인터넷 쇼핑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특히 3회 이상의 쇼핑을 하게 되면 절차에 대한 어려움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불안감이 급격히 줄어든다. 3회 구매는 인터넷 쇼핑의 억제 요인에 해당되는 어려움, 불안이 감소되는 비교적 명확한 기준이다. 이것은 소비자 교육이나 정부의 정책,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방영할 가치가 있는 정보이다.
연구 결과, 인터넷 소비자를 세분화시키는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소비자가 어떤 쇼핑오리엔테이션 차원을 주로 추구하는가에 따라서 인터넷 쇼핑에 대한 태도는 달라진다. 심심하거나 지루할 때 쇼핑을 하는 사람은 인터넷 쇼핑을 시대에 앞선 소비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매장내 제품 관련 정보 탐색을 많이 하는 소비자는 판매 가격이 저렴하고,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실제 쇼핑에 비해서 없다고 생각한다. 같은 물건을 사도 어디서 샀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는 앞서 언급한 인터넷 쇼핑을 시대에 앞선 소비라고 더 강하게 생각한다. 이와 같은 심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인터넷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특성에 맞는 개별 마케팅을 실시하는 것이 향후 중요하다. 또한 어떤 소비자가 인터넷 쇼핑을 정보화 시대에서 앞선 소비 행동이라고 어느 정도 생각하는지를 알아보면 그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인터넷 쇼핑을 타인에게 추천하는 행동을 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인터넷 쇼핑이 주는 사회적 존중감을 강조하는 광고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쇼핑몰에 대한 평가는 구매를 5회 이상한 사람이 가장 높다. 소비자의 막연한 불안과 걱정은 쇼핑을 해 볼수록 줄어들고 실제 쇼핑에 비해서 더 좋은 측면들을 직접 체험하게 된다. 인터넷 쇼핑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안전한 쇼핑이란 점을 부각해서 공익 광고나 기업 광고를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각각의 쇼핑몰은 자사의 판매량을 올리기 위해서 소비자를 세분화해야 한다. 특히 전문 쇼핑몰 등의 경우에 어떤 소비자의 특성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세분화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아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소비자의 쇼핑 오리엔테이션 차원을 제안할 수 있다. 인터넷 소비자들은 추구하는 쇼핑 오리엔테이션 차원별로 평가하는 기준이 다르다. 자사가 원하는 소비자는 어떤 특성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해서 파악하고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쇼핑몰의 특정 측면에 신경을 기울여 강화시킨다면 실질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 여성을 타켓으로 구축한 쇼핑몰이 신경을 써야 할 쇼핑몰의 측면이 기존의 쇼핑몰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포탈 사이트의 경우에 제품 판매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소비자를 다시 방문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소비자의 방문 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쇼핑몰을 보기 좋게 디자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쇼핑몰은 판매가 목적이기 때문에 방문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미적 요소뿐 아니라 즉각적인 질문에 응답해주기, 배달 체크를 손쉽게 하는 등의 측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소비자들이 쇼핑몰을 찾아가는 주된 방법은 쇼핑몰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다. 이렇게 쇼핑몰에 찾아가면 시간이 절약되고, 정확히 원하는 쇼핑몰을 찾으며,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검색 실패에서 오는 짜증도 덜 난다. 이 결과의 의미는 아직까지 인터넷 쇼핑이 활성화되지 못 했다는 것을 시사하는 바이다. 기억에 의존한 쇼핑몰 찾기 방식인 주소 입력은 저장해야할 주소가 소수인 경우에 가장 강력한 방식이다. 그러나 기억 용량은 한계가 있고 그 한계를 넘는다면 주소 입력은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가장 편리하고 정확한 쇼핑몰 검색 방식은 아니다. 특히 인터넷 구매 초보자인 경우에 카테고리를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볼 때, 체계적이고 간편한 카테고리 검색 방식에 대한 기술적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김상용과 박성용. (1999). 전자상거래에서의 혜택요인과 위험요인에 따른 실제 및 잠재 소비자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10권 제13호. 45-66.
이용호, 김은, 김진우. (1998). EC환경 하에서의 소비자 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전산원.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1997). 소비자 행동(2nd). 범문사.
이혜갑(1997). 온라인 사용자 조사 결과발표 : 제 1회 KFAA 인터넷 사용자조사 결과 data. '97 온라인 광고 심포지움.
이혜갑(1998). 인터넷 사용자의 웹광고 인식 및 행태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9권 제4호,213-237.
한국 인터넷 정보센터. http://stat.nic.or.kr/public_html/iuser.html.
Crisp, C., Jarvenpaa, S. L., & Todd, P. T.(1997).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ternet Shopping Attitudes and Intentions. 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 .
Fishben, M., & Ajzen. I.(1967). Behavioral Theory Approach To The Relations Between Beliefs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e Object, In Readings In Attitude Theory And Measurement(Ed. Fishbein, M.). John Wiley And Sons.
IMResearch(1999). KNP 보고서.
U.S. Dept. of Commerce(1998). The Emerging Digital Economy.
Vinson, D.E., Scott, J.E., & Lamont, L.M.(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vol. 41. 44-50.
  • 가격1,7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2.1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