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주의적 관점에서의 현대 정부와 NGO의 역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정부의 시장 개입의 한계와 신자유주의 유입.
3. 새로운 페러다임속에서의 NGO의 활동과 정부와의 상호 관계.
4. 나가며.

본문내용

석 분쇄할 수 있는 악마의 맷돌의 두얼굴을 지니고 있어 국내 NGO들이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주장한다. (조대엽, 『세계시장주의의 도전과 시민운동의 과제중 p279, 《한국의 시민운동》나남출판사, 1999)
8) 흥사단은 긴 역사를 가진 시민단체로서 군부정권에서 정부의 재정지원없이 운영되어 온 보기 드문 단체중의 하나인데, 1980년대 후반 이후 정부의 정당성 증대와 재정압박등의 이유로 정부와 협력하며 공공서비스를 창출하면서 동시에 공명선거, 환경문제 등에서 정부견제에도 참여하였다. (박상필, 『NGO와 정부』중 p205 206, 《NGO와 현대사회》, 아르케, 2001) / 또한 지난 2001년 5월에는 투명사회운동본부를 창립하고 흥사단 운동의 3대 과제로 설정, 적극적인 참여운동형 NGO로서의 역할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영일, 흥사단 본부 차장)
9) (정동근, 『정부와 NGO관계의 재설정』중 p396, 《정부와 NGO》, 법문사, 2000)
10) (박상필, 『NGO와 정부』중 p224 225, 《NGO와 현대사회》, 아르케, 2001)
11) 이같은 사례로는 행정자치부의 비영민간단체지원사업, 국정홍보처의 민주공동체실천사업, 농림부의 농소정 협력 지원사업, 보건복지부의 생활개혁실천범국민사업등이 있다.
12) 정동근 명지전문대학 교수는 그러나 이같은 NGO의 역할에 있어 너무 이상주의적 의식으로 결과에 무책임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고 정치적 목적을 위해 활동하거나 도덕성에 의심이 가는 소위 유사 시민단체의 난립 등을 경고하면서 NGO의 건전한 발전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키워드

기능주의,   현대,   NGO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6.03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