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연구 - 카자흐스탄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시아 지역연구 - 카자흐스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카자흐스탄의 역사와 문화
1. 카자흐스탄의 개관
2. 카자흐스탄의 역사
3.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4. 카자흐스탄의 문화
II. 카자흐스탄의 경제
1. 경제 일반
2. 카자흐스탄 산업다변화
3. 경제 현황
4. 카자흐스탄 경제 요약
III. 카자흐스탄의 정치
1. 대통령
2. 의회구성
IV. 카자흐스탄의 외교
1. 현 상황
2.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외교관계

본문내용

, 한국은 93~99년 외국인 총투자(82억불)에서
19.9%를 차지하며 미국 다음 제2의 투자국이 되었음
(1) 삼성물산의 국영구리광업공사 대리경영
- 95년 삼성물산이 국영구리광업공사 대리경영(위탁경영)을 통해 파산 상태에 있
던 국영기업을 1년만에 정상궤도에 올려놓음
→ 카자흐 내의 동광 12군데, 제련소 2군데로 시작하였다가, 안정적인 전력 확
보를 위해 추가로 발전소 3군데와 발전용 채탄을 위한 탄광 2군데 추가 인수
→ 현재 총 5만 8000명 고용에 연간 매출액 거의 10억불
→ 95년부터 3억불 이상 투자, 회사 지분 40% 인수
→ 국영구리광업공사는 원가절감 및 수직수평계열화로 국제 경쟁력을 가진 회
사로 탈바꿈
→ 생산되는 구리는 대부분 유럽으로 수출해 EU 구리 수입 수요의 20%를 공
급, 카자흐 총수출의 11%
(2) LG전자
- 연산 30만대 규모의 TV조립라인을 근간으로 오디오, 비디오, 세탁기를 현지에
서 조립생산, 생산품의 절반 가량 수출
- 알마티 LG제품은 현지인들에게 가전제품 분야의 최고급 브랜드로 자리잡음
- 생산품목을 컴퓨터 모니터, 냉장고, 진공청소기 등으로 확대하여 중앙아시아 5
개국 공급기지로 육성, 러시아를 포함한 CIS지역에 공급하는 전략적 우회기지
로 키워가기 위해 투자를 확대할 계획
(3) 포스코개발주식회사의 유통단지 건설 프로젝트
- 1880개의 가게를 가지는 4800만 달러 규모의 대규모 유통단지 건설 프로젝트가
한국업체 주도하에 착공될 예정
- 동대문 시장을 벤치마킹해 시장 주변에 많게는 100개 정도의 생산공장까지 유
치하며, 장거리 버스 운송업까지 함께 운영해 중앙아시아의 물류거점으로 키워
나갈 예정
- 한국 동대문남대문 시장과 연계해 한국과의 교역증진에도 중요한 몫을 할 것
으로 기대돼 상점분양에 대해 이미 국내외의 관심이 큼
3)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에너지자원 협력
- 한국의 석유공사, 삼성, LG, SK, 대성 등은 원유개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카
스피해(Caspian Sea) 유전개발 참여를 추진 중
- 한국의 원유 컨소시엄은 카자흐스탄 석유가스공사 측과 카스피해 유망 광구인
잠빌(Zhambyl) 광구에 대한 공동개발 양해각서
→ 2004년 3월 체결
→ 2006년 9월 지분 양·수도를 포함한 실무협상을 마무리
→ 2008년 5월 한승수 총리 방문 시 본 계약을 체결
→ 2009년 5월 이명박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방문을 계기로 잠빌 광구 공동운
영 회사를 설립
- 광물자원공사 등 한국기업은 카자흐스탄 몰리브덴(Molybdenum)·연·아연 등 유
망광물 개발사업 참여를 적극 추진 중
- 2002년 한국수력원자력은 카자흐스탄 카즈아톰프롬 측과 우라늄 장기 공급계
약을 체결, 연간 960톤을 카자흐스탄에서 공급받는 중
- 2008년에는 신규 우라늄 장기 도입계약을 체결
4) 카스피해 유전 개발
- 석유공사 카자흐스탄 8개 광구에서 하루 100드럼 생산
- 하루 15000배럴 하루 이익 20억원
→ 다른 나라 유전을 개발하는 종자돈
- 2015년까지 하루 생산량 50000배럴까지 늘릴 계획
- 중앙아시아 물류항만 신시장 개척 중
→ 한국과 카자흐스탄 해운물류, 항만개발 MOU 체결
→ 도로, 철도, 공항 등 SOC부분으로 확대
5) 공적개발 원조(ODA)지원 현황
- 카자흐스탄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중점협력대상국
→ 카자흐스탄의 경제·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한국은 프로젝트, 연수생
초청, 봉사단 파견, 전문가 파견 등 지원 사업을 활발히 시행
- 2009년 11월 한국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
이후 카자흐스탄이 수원국 리스트상 최상위 그룹인 고중소득국(UMIC) 소속 국
가임에 따라 지원사업이 축소
-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무소 2010년 8월 철수
- 한국 정부는 1992년부터 2009년까지 무상원조 2,740만 달러, 1996년 통신망
현대화 사업에 총 2천만 달러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을 유상원조로
제공하여, 총 4,740만 달러를 지원
6)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해군 교류(국방교류협력 MOU체결)
- 2010년 9월 28일 아딜벡 작시베코프 카자흐스탄 국방장관 방한, 김태영 국방
부장관이 최초로 한·카자흐스탄 국방장관 회담을 가짐
- 2004년 셈비노프 카자흐스탄 국방차관이, 2007년에는 김영룡 前 국방차관이
상호방문
- 2006년에는 우리 해군의 노후 고속정 3척을 카자흐스탄 해군에 무상 이양
- 2006년부터 카자흐스탄 장교들이 우리 군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으며,
현재 해군사관학교에 2명, 해군대학에 1명이 각각 교육
- 한국 해군의 윤영하급 고속정 카자흐스탄 측에서 수출 요구
※ 카자흐스탄 해군의 필요성
- 카스피해 유전 보호
- 영토가 넓어질 경우, 바다를 접하게 될 가능성 염두
7)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주요 인사 교류 현황
일시
인사교류일지
1990년 11월
나자르바예프 소연방 공화국 대통령 방한
1995년 5월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국빈 방한
2003년 11월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공식 방한
2004년 9월
노무현 대통령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2009년 5월
이명박 대통령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8) 한국-카자흐스탄 간의 협정 체결 현황
일시
인사교류일지
1992년 7월
무역협정
1995년 5월
과학기술협정, 문화협정
1996년 3월
투자보장협정
1999년 4월
이중과세방지 협정
2003년 11월
형사사법공조조약(미발효), 범죄인인도조약(미발효)
2004년 9월
원자력협력 협정(미발효)
2007년 6월
외교관, 관영여권사용 면제 협정
출처
www.kimchi.kz, 주카자흐스탄 한국 대사관, 코트라 알마티 무역관 자체 통합
알마티무역관 인터뷰 조사
[중앙아시아의 거인 카자흐스탄] 김일수 외
[고려인이 사는 나라 까자흐스탄] 권영훈 저
[유라시아 골든 허브] 윤영호, 양용호, 김상욱 외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 김병학
[문명의 실크로드를 걷다] 장준희
[CIA World Factbook]
[한국 무역협회]
[통계청]
[네이버 지식 백과]
[위키 백과]
[네이버 개인 블로그, 카페]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9.03.2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