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 성호 이익의 과거제 개혁 -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육사 - 성호 이익의 과거제 개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성호 이익의 생애

3. 실학자들이 생각했던 조선후기 과거제의 문제점 ;성호사설을 중심으로

4. 이익이 주장한 과거제 개혁안

5. 이익의 과거제 개혁론의 의의
; 나의 생각을 중심으로

6. 결론

본문내용

학자로 분류되는 인물들의 비판론과 그들의 개혁안을 바탕으로 한 추론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과거제도 개혁안이나 사회개혁안, 그리고 학제개혁안 등은 그 이전의 사회체제나 과거제도, 학교제도와는 달리 혁신적인 것이었고, 이러한 문제제기가 개화기 지식인들에게 계승되어 한국에서의 근대 교육적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갑오개혁 때 실학파의 사상적 후손이라 할 수 있는 개화파에 의하여 과거제가 폐지되고 현대적 관리등용법이 만들어졌을 때 그들이 내세운 관리 등용법은 고시제와 천거제를 병용한 것으로 이익의 과천합일제를 방불케하고 있다.
(2) 이익의 과거제 개혁안의 의의 ; 나의 생각
- 올바른 인재를 뽑는 방안에 대해서
그는 관직을 얻기 위해서 매관매직을 하며 스스로 선비의 길을 버린다는 말에서 그가 조선후기 과거는 인격적으로 뛰어난 인재를 뽑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대비책으로 그가 개혁안으로 내세운 오년대비론에서 그는 고시제만으로는 덕행에 뛰어난 사람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거제를 아울러 실시할 것을 주장했다.
그리고 여기서 문득 떠오른 것이 임용고사이다. 임용고시라는 제도가 조선시대 과거제가 갖고 있었던 문제점과 같이 정말로 교사라는 인재를 뽑는 것에 대해서 너무 지력만 우선시 한 것은 아닌가, 그리고 처음에 논의하려고 마음먹었던 수능 역시 지금 우리나라 교육을 지식위주가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사범대학교에 들어와서 가장 먼저 느낀 것이 학생들이 너무 착하구나, 라는 생각이었다. 내가 다니는 중학교는 대전에서 명문과는 거리가 멀었고, 고등학교 역시 마찬가지였는데 반에서는 성격이 대놓고 모난 아이들도 많았고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스트레스를 반 아이들에게 푸는 아이들도 있었는데 사범대학교에 오니 그런 것이 하나도 없다고 생각했다. 또, 나는 학교 다닐 때 많이 혼나고 말썽도 피웠는데 여기 학생들은 정말 다 착하고 훌륭한 학생이다! 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내가 생각하는 것만큼 아름답지 않다는 것이었다. 어떤 수업에서 들었던 이야기와 그리고 주변에서 들리는 소문 등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해서 어떤 사람들은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 이야기를 먹고 조금은 충격을 받았다. 나는 사범대 학생들에 대해서 정말 천사 같은 사람들이다, 라고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조금은 이기적인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과 함께 자신의 친구와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도 인색한 사람이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인가? 라는 의문을 가졌다.
내가 중학교 때, 내 짝이 가출을 해서 결국 거의 강제로 전학을 보내졌다. 그 때 반 아이들과 가장 많이 했던 이야기 중 하나는 “담임선생님이 조금만 신경 썼다면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을 착했던 아이인데, 담임선생님이 그냥 무작정 전학을 보낸 것 같다”였다. 교사는 지식만을 전수하는 사람은 아니다. 만약 교사가 지식만을 전달한다면, 학교의 교사와 학원선생님의 차이는 없는 것이 되어 버린다. 교사는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역할까지 맡고 있다. 그리고 그 상호작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의 인성이다. 교사의 인성으로 어떤 학생은 자신의 인생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최악의 경우 어떤 아이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자신의 학생에 대한 지도로 그 아이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정도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영향력을 줄 수 있다. 그런데 그런 잠재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교사의 인성이 올바르지 않는다면 그것은 큰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평가 전문가도 아니고 아직 대학교 2학년이기 때문에 어떤 완벽한 대안은 제시할 수 없다. 그렇지만 우리가 교원을 선발할 때 이익이 주장했듯이 인성적인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이익의 의견처럼 인재선발에 있어서의 인성이라는 측면의 역시 평가에 영향을 주어야 한다는 점은 분명 현대 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의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7. 결론
성호 이익의 과거제 개혁안에 대해 조사를 하기 전, 서론을 썼을 당시에는 너무 수능시험에 대해서만 생각한 나머지 다른 쪽으로 시선을 돌리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론을 썼던 당시에는 이익의 과거제 개혁안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을 수능시험에 적용해야겠다는 생각만 갖고 있었다. 임용고시에 대해서 아직 2학년이기 때문에 별로 생각을 하지 않은 것도 있었지만, 머릿속에서는 중요한 평가 = 수능 이라는 생각이 아직도 머릿속에 크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익의 과거제 개혁에 대해 조사를 하면 할수록 느낀 것은, 너무 수능에 대해 집착을 해 버렸고, 그의 이론은 수능에도 역시 큰 의의를 주지만 그것보다 전반적인 한국교육의 평가문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서론에서 수능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을 했다고 하더라고 그의 이론을 조금 더 넓게 적용하고 싶어서 의의의 부분에서는 임용고사와 이익의 과거제 개혁과 연결을 지었다.
비록 이익의 과거제 개혁론은 조정에 의해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의 역사로서 미래에 대한 지침이라는 점에는 틀림이 없다. 그것이 교육계의 어떤 분야이던지 간에, 이 세상 아니 우리나라 사람들 모두가 100% 만족할 수 있는 교육제도는 아마 만들어 질 수 없을 것이다. 아마 그 문제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뿐만 아니라 먼 미래의 세대 역시 그 문제로 고민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의 선조들의 노력을 되돌아보고 지금 문제를 갖고 있는 제도를 변화시킬만한 추진력이 있다면 언젠가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교육제도를 만들 것이라고 믿는다.
※ 참고문헌
이익(1999) 『성호사설』 한길사
이문원(2002) 『한국의 교육사상가』 문음사
조좌호(1996) 『한국과거제도사연구』 범우사
한우근(1980) 『성호이익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경용(2003) 『과거제도와 한국 근대교육의 재인식』 교육과학사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8.08.12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