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이론]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접근과 목회상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격 이론]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접근과 목회상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1) 로저스의 생애
2) 인간중심적 상담방법과 발달 과정

2. 주요 개념
1) 인간관
2) 자아실현 경향성(self-actualization tendency)
3)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The fully functioning person)
4) 성격 이론(부적응 행동의 발달)

3. 상담 목표

4. 상담의 과정

5. 인간중심 상담 기법에 나타난 목회상담자의 돌봄의 역할
1) 진실성(congruence or genuineness)
2)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3)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6. 나가는 말

본문내용

이해란 타인의 내적인 준거 틀(frame of reference)을 정확하게 마치 그때(as if~then~) 자신이 그 사람인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단순한 반영 이상의 것이며 상담자가 일률적으로 사용하는 인위적인 기법 그 이상의 것이다. 상담자가 내담자와 더불어, 함께 생각하고, 느끼고, 그들과 함께 행동에서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감적 이해의 요소: 준거의 틀을 벗을 수 있어야 한다. 내담자의 내면에서 진행되는 논리(상상, 환상, 생각)등을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 이다.이 때 주의할 점은 절대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서두르다 보면 내담자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런 경우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이 임의로 설정한 문제와 씨름하는 우를 범하게 되어 내담자들에게 성급하게 조연하거나 직접적인 도움이나 해결책을 주려는 경우가 많다.
◆오성춘 교수의 참여적 공감
첫째, 목회상담은 성령님께서 고난당하는 사람들 가운데 개입하셔서 그들을 그 고난 가운데서 구원하시도록 상담 한다.
둘째, 목회상담은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동일화하며 사랑으로 용서하는 공감적 이해와 자비의 바탕 위에서 하나님의 진리에 기초하여 내담자를 검토하고 권면하여 내담자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촉구하는 진리의 측면을 동시에 강조한다.
셋째, 목회상담은 전인적(holistic)인 관심과 신앙적인 관심에서 상담에 임한다.
-예수님의 참여적 공감 모델(막1:40~44, 눅15:11~32)
목회상담의 치료적 모형
돌봄의 상담관계 형성을 위한 3가지 필요충분조건
1) 일치성 혹은 진실성
2)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3) 정확한 공감적 이해
6. 나가는 말
◆ 인간중심적 상담의 시사점과 한계점
첫째, 전통적인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난 로저스는 그의 학문적 연구방법에 기독교적 영향을 받아 내담자가 변화하려면 ‘무조건적 경청과 수용’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한계점으로는 능동적으로 영성적 성장을 촉진한다는 명확한 가치 기준을 설정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모든 문제 속에 내재한 심리, 사회적 차원과 영성적 차원들에 동시에 정신을 집중해야 함에도 그의 관심은 인간심리 내면에만 치중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목회상담의 영성적 차원의 목표는 내담자를 도와 그들의 삶의 모든 국면들에 능력을 줄 수 있도록 그들의 영성적 삶에 깊이와 활력을 성장시켜주는 것이다.
둘째, 로저스의 인간을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이 현상학적 관점이라는 점에서 한계성을 드러냈다. 내담자의 과거나 진단 등의 예비지식 없이 지나치게 현재 경험을 강조하면서 내담자의 과거경험을 무시 한다는 것은 효과적인 상담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셋째, 성장촉진에는 많은 공헌을 하였으나, 성장역동에 대해 무관심했다는 것이다. 내담자의 심리적 고통을 통해 비성경적 사고와 정서와 행동을 갖고 있을 때 상담자는 이를 능동적이고 건설적인 맞닥뜨림이나 재교육적인 방법으로 내담자의 행위의 결과를 통찰하게 하고 행동 수정을 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
네 번째, 그의 이론은 인간에 대한 죄 성을 무시하고 성령의 창조적 개입을 간과하고 있다. 예를 들면 그의 주요 개념 중 ‘자아실현 경향성’과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은 낙관론 적 이해이며 인간의 죄 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자아실현 경향성과 충분히 기능하는 가능성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창조물이기에 하나님의 도움이 없는 그의 견해는 자기기만적인 입장을 취할 가능성이 많다. 폴 비츠(Paul Vitz)는 “자아실현의 이름으로 자아를 숭배하는 것은 무의식적 이기주의의 동기에서 작용하는 단순한 우상숭배”라고 언급하고 있다.
  • 가격2,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1.05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